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91189817923
· 쪽수 : 334쪽
· 출판일 : 2019-09-01
목차
| 책을 펴내며 | 5
제Ⅰ부 용서와 화해, 신념과 우상의 형상화 15
용서와 구원의 문제를 접근하는 두 가지 태도 17
- <행복원의 예수><벌레이야기>를 중심으로
1. 머리말 17
2. 수혜자(受惠者)의 입장 : <행복원의 예수> 19
3. 시혜자(施惠者)의 입장 : <벌레이야기> 26
4. 성서상의 입장에서 본 작가 인식의 한계 30
5. 맺음말 35
‘용서와 화해’의 방법과 문학치료 37
- 이청준의 <벌레이야기>와 공지영의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중심으로
1. 머리말 37
2. 용서와 화해의 방법 41
1) <벌레이야기> 41
2)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49
3. 용서와 화해에 대한 작가의 인식과 문학치료 56
4. 맺음말 62
‘신념’과 ‘검증’의 길항관계64
- <당신들의 천국><자서전들 쓰십시다><자유의 문>을 중심으로
1. 머리말 64
2. ‘신념’과 ‘검증’의 길항관계 69
1) <당신들의 천국> : 체화된 신념과 궤도의 수정 69
2) <자서전들 쓰십시다> : 의도된 신념과 신념의 확산 차단 75
3) <자유의 문> : 급조된 신념과 굴레의 해방 78
3. 맺음말 84
우상의 양상과 사회적 함의 87
― 이청준의 <뺑소니 사고>, 전상국의 <우상의 눈물>,
현길언의 <사제와 제물>을 중심으로
1. 머리말 87
2. 우상의 양상과 형성과정 92
1) <뺑소니 사고> : 진실은폐와 인위적인 우상의 구축 93
2) <우상의 눈물> : 합법을 가장한 음험한 세계의 활보 96
3) <사제와 제물> : 우상의 길과 사제의 길 100
3. 우상의 사회적 함의 104
4. 맺음말 109
제Ⅱ부 기독교적 상상력 113
이청준 소설의 기독교적 상상력 연구 115
1. 서 론 115
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15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124
2. 이청준 소설과 기독교적 상상력 137
1) 믿음과 사랑 : <당신들의 천국> 137
2) 거듭남과 소명의식 : <낮은데로 임하소서> 178
3) 용서와 구원 : <벌레이야기> 209
4) 율법과 자유 : <자유의 문> 246
3. 결 론 302
■ 참고문헌 / 313
■ 찾아보기 / 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