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선교/전도
· ISBN : 9791189887261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0-07-03
책 소개
목차
추천사 ● 4
서문 ● 10
제1장 한국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 역사 ● 19
제2장 한국 교회의 교회론 ● 49
제3장 타문화권 교회 개척 이론들 ● 77
제4장 타문화권 교회 개척 사례들 ● 103
제5장 선교지 예배당 건축 지원의 이슈 ● 129
제6장 선교지 예배당 건축 지원의 배경 ● 151
제7장 예배당 건축 지원의 선교적 대안들 ● 185
참고 문헌 ● 207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 선교의 팽창기부터 한국 교회의 타문화권 선교는 큰 변화를 경험했다. 한국 선교는 협력 사역에서 독자적 사역으로 바뀌었다. 한국과 한국 교회의 경제가 크게 향상됨에 따라 선교사들이 선교지에서 독립적으로 사역할 수 있는 환경이 되었다. 한국 교회도 의욕적으로 타문화권 선교에 참여하며, 가시적 성과를 기대했다. 급증하는 한국인 선교사의 숫자만큼 협력 선교를 할 수 있는 현지 교회 파트너를 신속히 그리고 충분히 찾기도 쉽지 않았다. 독자적 사역은 흔히 물량 선교의 모습으로 선교지에서 많이 나타났고, 그 대표적인 경우가 선교지 교회에 예배당 건축 지원을 하는 것이다. 한국 선교사와 교회의 예배당 건축 지원은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많은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다.
신학적으로 교회에 대해 구체적으로 강조되는 것은, 다른 점들 이 있지만 적어도 하나님과 소통하는 신자들의 공동체라는 점에 서는 공통점을 가진다. 교회는 비인격적 혹은 물리적 구조물이 아니다. 하나님과의 말씀과 성례전의 활동이 교회이지, 말씀과 성례전을 하는 장소가 교회는 아니다.
교회는 필수적이지만, 예배당은 그렇지 않다. 예배당이 필요 없다는 뜻이 아니다. 플리머스 형제단처럼 형식적인 건물이나 직 업적인 성직자 등을 혐오하는 차원에서 하는 말이 아니다.48) 교 회가 성장하면, 궁극적으로 예배당이 필요할 때가 온다. 이때가 올 때까지, 예배당은 상황에 따라, 환경에 따라, 시기에 따라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배당의 모습이 문화적으로 다양할 수 있는 것처럼, 예배당의 유무도 문화적 혹은 상황적일 수 있다. 교회 개척에서 중요한 것은 교회를 건강하게 세우는 것이지 예배당을 건축하는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