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국제정치학
· ISBN : 9791189946395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19-12-11
책 소개
목차
서문 연구의 목적
제1장 지정학, 탈지정학, 대항지정학: 평화와 공존의 한국 외교정책 정체성을 향하여
I. 지금 세계는?: 배타적 정체성의 정치
II. 두 개의 세계: 지정학과 탈지정학
1. 지정학의 귀환
2. 탈지정학
III. 대항지정학과 외교정책 정체성
1. 대항지정학
2. 외교정책 정체성
3. 주변국들의 외교정책 정체성
IV. 한국 외교정책의 정체성
1. 어떠한 가치·아이디어인가?
2. 관계 차원의 역할: 북한은 적인가?
3. 그룹 차원의 역할: 국제사회의 상이한 국가들의 집단 중 한국은 어떤 그룹에 속하며, 한국의 역할은 무엇이어야 할 것인가?
V. 결론: 국내적 경합과 합의 구축
제2장 중견국 외교와 지정학: 2002-2016 터키 외교전략 사례의 함의
I. 연구의 목적
II. 지정학의 궤적
1. 제국 확장의 전략적 도구로서의 지정학
2. 냉전기 지정학: 동맹과 편승의 진영론
3. 냉전 후 지정학: 문명 충돌의 담론과 테러와의 전쟁 그리고 다양한 인간안보 쟁점의 등장
4. 터키의 지정학적 인식 변화
III. 터키 외교와 지정학
1. 터키의 지정학적 전략의 배경 및 함의
2. 에르도안 정부의 지정학적 외교전략 “Strategic Depth”
IV. 결론: 한국 외교에의 시사점
제3장 한국 외교전략 재구성을 위한 한-아세안-오세아니아 삼각협력의 지정학
I. 서론
II. 전통지정학에 따른 한국 지역 외교정책 비판
1. 한국을 둘러싼 강대국 지정학 담론
2. 강대국 지정학이 한국 외교에 남긴 유산
III. 중견국 연대의 패러다임: 한-아세안-오세아니아 삼각협력
1. 한국의 새 지정학적 공간: 아세안과 호주를 묶는 남서방면의 호
2. 아세안의 전략적 이해관계
3. 호주의 전략적 이해관계
IV. 남서방면 호와 전략적 협력을 위한 방법론
1. 기존 대아세안, 호주 정책 비판
2. 문재인 정부의 신남방정책
3. 대아세안 신남방정책의 방법론
4. 한-호 2+2 협력의 방향성
V.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