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9946579
· 쪽수 : 336쪽
· 출판일 : 2020-04-2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 경험을 통한 전인교육
2. 블랙마운틴 칼리지의 역사와 교육 철학
2.1. 설립 배경과 운영 방식
BMC의 설립 | 진정한 자치 공동체 | 학교 운영 방식 | 공동체 생활을 통한 교육
2.2. 교육 혁신에 대한 시대적 요구
존 듀이의 진보주의 교육 철학 | 2.2.2. 존 듀이와 BMC | BMC 교육의 목표
3. 존 라이스와 요제프 알베르스
3.1. 존 라이스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 민주적 인간과 예술 | 경험을 통한 개인의 성장 | 예술-경험
3.2. 요제프 알베르스
바우하우스와 BMC | 눈을 뜨고 보라 | 실험과 실습교육 | 관계의 존중
4. 학제 간 교육
4.1. BMC의 학제 간 교육
예술 영역의 위상 | 실습 프로그램
4.2. 교육과정의 특성
입학 | 수업 과정 | 졸업
4.3. 학제 간 교육의 실행
다양한 학제의 교수진 | 예술과 과학의 관계 | 무대 예술 | 예술 학생의 활동
5. 여름학교
5.1. 여름학교 운영
설립 초창기 | 주요 활동기
5.2. 버크민스터 풀러의 지오데식 돔
5.3. 창의적 협업
5.4. 존 케이지의 〈무대 작품 1번〉
5.5. 여름학교에 초빙된 화가들
로버트 머더웰 | 제이컵 로런스 | 빌렘 데 쿠닝
6. 블랙마운틴 칼리지의 유산
본문의 주
참고문헌
도판 및 자료 출처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BMC에서의 교육은 민주적(democratic)이기보다는 민주주의를 위한(for democracy) 것이었다. 즉, 교육 자체가 민주주의를 위한 수단이었다. BMC의 목표는 학생들이 윤리적으로 감응하는 것을 배워 변화하고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중략) BMC는 1930년대 유럽의 권위주의적 독재를 피해 망명한 사람들의 은신처가 되었다. 바우하우스 창립자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는 1944년 8월 BMC에서 했던 강연에서 “BMC는 정신적 영향력을 강하게 높일 수 있기에, 이곳에 오는 모든 사람은 여기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새로운 삶의 진수가 주는 매력에 빠져든다”고 말했다.
전체주의의 위협에 직면했던 시기에 전인교육을 꿈꾸고 민주적 시민으로 교육하고자 했던 BMC에서의 실험적이고 진보적인 교육의 유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감성과 이성의 균형을 이룬 개인의 전인적인 성장,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타인에 대한 배려와 존중이라는 근원적인 교육을 예술 경험을 통해 얻게 되는 상상력과 창의력에 연관시켰던 점은 현재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 1장 ‘경험을 통한 전인교육’ 중에서
BMC는 진정한 자치로 운영된 공동체였다. 교수진이 학교를 소유하고 총장과 이사회가 없는 BMC는 교수들의 천국으로 여겨지기도 했다. 설립 당시부터 교육을 담당하는 교수진이 학교 업무를 관장하여 교육과 행정이 분리되지 않았다. 교수들은 교육 정책과 학생생활 지도를 담당했을 뿐 아니라 회계, 기금 마련, 신임 교원 임용, 학생 입학 같은 행정 업무를 교대로 맡았다. 부분적으로는 대학 안에서의 당연한 책임으로서, 부분적으로는 대학 업무에 교육적인 태도를 반영하기 위해 행정 업무를 했다. 어떠한 외부의 통제도 없이 운영된 민주주의 원칙은 폐교할 때까지 유지되었다. ― 32쪽, 2장 ‘블랙마운틴 칼리지의 역사와 교육 철학’ 중에서
1941년 당시 여유가 있는 학생들은 기숙사와 식사 비용을 포함해 연간 1,200달러의 등록금을 냈다. 그러나 낼 능력이 없는 학생들은 이보다 적은 비용, 경우에 따라서는 300달러를 내고도 입학할 수 있었다. 등록금 납부 사항에 대해서는 철저한 보안이 지켜져 입학 심사위원 외에는 교장조차 누가 전액을 납부하는지 몰랐다. 등록금 전액을 내지 못하는 경우, 부족한 액수를 보충하기 위한 어떤 일도 학생에게 요구하지 않았다. 이처럼 학생의 재정 상황이 BMC 공동체 안에서의 대우나 입장에 어떤 영향도 주지 않았다. 이 점은 적어도 한 가지 면에서 가능한 한 민주주의에 가까워야 한다고 했던 라이스의 주장이 반영된 것이다. ― 36쪽, 2장 ‘블랙마운틴 칼리지의 역사와 교육 철학’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