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91190052801
· 쪽수 : 392쪽
· 출판일 : 2021-10-08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부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이야기
페르시아 제국의 멸망
사마르칸트에 남아있는 화랑의 흔적들
아비틴의 중국 생활.
아비틴과 의상대사의 만남
원효와 의상
페르시아는 불교국가였다
꿈의 나라 바실라
구약성경과 페르시아 제국
아비틴과 죽지랑의 우정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파사마을
아비틴과 원효의 만남
2부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아비틴과 프라랑 공주의 첫 만남
원효와 요석의 사랑
아비틴과 프라랑의 사랑
페르시아 서사시와 향가 그리고 설총
요석공주와 프라랑의 이별
원효와 요석 공주의 흔적을 찾아서
아비틴의 나당전쟁
전쟁터로 떠나는 아비틴
죽지랑의 죽음
모죽지랑가
신라는 나당전쟁의 승리자였다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결혼
성대한 결혼식
쿠쉬나메의 기록
3부
페리둔의 탄생
이별 그리고 새로운 약속
아비틴과 프라랑의 마지막 이별
사마르칸트에 도착한 아비틴
아비틴의 복수
712년 아랍 이슬람의 사마르칸트 정복
페리둔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
혜초와 프라랑 공주의 만남
혜초의 페리둔의 만남
혜초의 흔적을 찾아서
4부
페리둔, 고선지를 만나다.
탈라스 전투
페르시아 유민, 안녹산
안녹산의 난
고선지의 죽음
페리둔의 탈출
탈라스 전투와 페르시아왕자
귀환
원성왕이 된 김경신과 페리둔의 우정
페리둔의 죽음
원성왕의 무덤을 지키는 페리둔
테헤란로를 걷는 신라공주
신라와 페르시아의 인연, 그 흔적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역사소설은 역사적 팩트에 근거해서, 기록이 누락된 부분을 상상력으로 메꾸거나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작업이다. 하지만 페르시아와 신라의 이야기는 관련 자료 자체가 너무 부족했다. 그래서 다른 소설에 집필 순서를 양보한 채, 조금씩 그 관련 자료를 십오 년에 걸쳐서 뒤지는 중이었다. 그런데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사랑 이야기를 기록한 페르시아의 대서사시 쿠쉬나메가 영국국립박물관에서 발견된 것이 아닌가.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사랑 이야기가 단순한 허구적 전설이 아니라 역사의 기록 속에 뒷받침되고 있음이 밝혀진 것이다.
_ 머리말 중에서
“지금 제가 페르시아 관련 다큐 제작을 한다니까 이렇게 말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그렇게 미개한 나라의 다큐멘터리를 왜 만들려고 하는 거야? 테러범 이슬람을 옹호하겠다는 거냐?’”
현철은 희석의 말을 듣고 곰곰이 생각한 후에 말했다.
“우리가 이슬람에 대해서도 잘못 알고 있어. 페르시아 하면 그냥 아랍 이슬람과 동일시하거든. 그런데 아랍의 이슬람과 페르시아의 이슬람은 완전히 달라.”
_ 페르시아왕자와 신라공주의 이야기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