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9013302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9-09-27
책 소개
목차
한일 갈등을 넘어 동북아의 미래를 내다보는 안목을 키우는 시민 국제정치학
책머리에....................................................................... 4
1부 2천 년을 사이에 둔 과거와 현재의 대화
1. 표류하는 한일 관계.................................................... 12
악화일로의 한일 관계............................................................... 12
국제정치학의 진단................................................................... 15
한일 관계의 빛과 그림자............................................................ 20
게임이론의 해법 둘러보기......................................................... 23
Korea-Japan 패러독스............................................................ 24
2. 독립군가 발표회의 충격.............................................. 27
전쟁터를 방불케 한 캠퍼스........................................................ 27
대동아공영권에 대한 야심적인 해부............................................. 28
정치인류학으로 본 고대 한일 관계............................................... 34
3. 임나일본부설과 정한론(征韓論).................................... 38
명치유신 전후의 정한론 ........................................................... 38
세력전이 이론과 열강 일본의 등장............................................... 42
토쿠가와 체제 250년의 실력 배양............................................... 43
정한론의 기원, 임나일본부설..................................................... 45
2부 고대 한일 관계의 진실
1. 우하량 원통 토기와 일본 하니와.................................... 54
동북공정이라는 이름의 역사전쟁................................................. 54
랴오닝성 우하량 제단과 일본 고분 토기의 관찰.............................. 55
오사카 시내에서 발견한 부여 왕자 의라........................................ 60
발표와 답사의 반복.................................................................. 63
의라 왕자 일본 진출의 스토리텔링 기법 분석................................. 66
가설: 홍산문화와 일본 고분의 통형 토기는 연속된 문화 벨트의 산물이다.. 76
한국 민간 비전 사서의 기록....................................................... 85
2. 임나일본부 vs. 임나가라 정벌...................................... 88
재판정까지 간 임나일본부 논쟁.................................................. 88
사회과학으로 들여다본 백제의 국제적 지위................................... 89
임나일본부설의 텍스트 해부...................................................... 96
임나일본부 논쟁의 비켜간 핵심 .................................................. 99
‘가야=임나’는 신뢰할 수 있는 주장인가?.....................................102
정인보의 호태왕 수군 도해설(渡海說).........................................106
군사학과 역사 해석의 만남.......................................................110
호태왕 수군의 대마도 공략 가능성 .............................................117
큐슈 쿠마모토 지역의 고구려계 문화...........................................120
미어샤이머의 공세적 현실주의와 호태왕비 재해석.........................120
호태왕 수군 현해탄 도해설의 무게..............................................124
열도 원정의 가능성과 동북아 고대사의 재조명 .............................127
3. 백촌강 패전과 한일 역사 화해의 길.............................. 132
백제의 멸망과 열도에 남겨진 항전 태세의 흔적.............................132
일본의 관찬 사서에 심어진 비수.................................................138
임나일본부설을 내려놓는 화해의 길............................................141
김부식의 사대모화 역사관의 굴레...............................................143
고려 국경의 진실 게임.............................................................145
균형자 외교를 하는 강대국 고려의 실체.......................................148
중국 사료도 인정한 고려의 요하 동측 서북계................................151
사료편식증과 다원적인 역사학 생태계 복원의 과제........................152
김부식 사관의 해체는 굴절된 한국사의 복원.................................156
일본 우익을 잠재울 김부식 역사관의 성찰....................................157
미중 경쟁 구도와 한국의 선택 ..................................................160
한일 역사 화해의 나비효과.......................................................166
양국 시민사회가 구성하는 새로운 한일 관계 정체성.......................169
이야기를 맺으며.......................................................... 172
참고문헌........................................................................... 178
색인................................................................................ 1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