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특수교육학
· ISBN : 9791190151177
· 쪽수 : 152쪽
· 출판일 : 2019-06-20
목차
Chapter 01 지적장애
1. 지적장애의 정의 1
1) 지적능력에 대한 제한성 _2
2) 적응행동에서의 제한성 _3
3) 지적장애의 분류 _4
2. 지적장애의 원인 5
1) 생의학적 요인 _6
2) 사회적 요인 _7
3) 행동적 요인 _7
4) 교육적 요인 _7
3. 지적장애 아동의 특성 7
1) 인지기능과 학습 _8
2) 언어발달 _11
3) 사회성발달 _12
4. 지적장애 아동의 교육방법 12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12
2) 교과교육과정 _13
3) 기능적 교육과정 _13
4) 자기결정기술 _15
5) 교수방법 _15
Chapter 02 학습장애
1. 학습장애의 정의 및 분류 19
1) 학습장애의 정의 _19
2) 학습장애의 분류 _21
3) 학습장애의 판별 _23
4) 중재-반응모델 _23
2. 학습장애의 원인 25
1) 뇌손상 및 뇌기능 장애 _25
2) 유전 _26
3) 환경적 요인 _26
3. 학습장애아동의 특성 27
1) 학업성취 _28
2) 사회-정서적 특성 _29
3) 행동적 특성 _30
4) 지각장애 _30
5) 인지 및 기억력 _31
6) 동기 및 귀인 _31
4. 학습장애 아동 교육방법 32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32
2) 읽기 기술 향상을 위한 방법 _33
3) 쓰기 기술 향상을 위한 방법 _34
4) 수학기술을 향상을 위한 방법 _36
Chapter 03 정서 및 행동장애
1. 정서 및 행동장애의 정의 39
1) 문제행동의 정의를 내리기 어려운 이유 _39
2) 정서 및 행동장애의 현행정의 _40
3) 정서 및 행동장애의 분류 _41
2. 정서 및 행동 장애의 원인 42
1) 생물학적 장애 및 질병 _42
2) 가정과 지역사회를 포함하는 환경적 경험 _43
3) 학교에서의 바람직하지 못한 경험 _44
3. 정서 및 행동 장애의 특성 44
1) 지능 및 학업 성취 _44
2) 사회-정서적 특성 _45
3) 행동적 특성 _46
4. 정서 및 행동장애 아동 교육 46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47
2) 문제행동 지도 _48
3) 사회적 기술 교수 _49
4) 학습준비기술 지도 _50
5) 긍정적 행동지원 _53
Chapter 04 자폐범주성 장애
1. 자폐범주성 장애의 개념 57
1) 개념 정립의 역사 _57
2) 자폐 범주성 장애의 정의 _58
3) 자폐 범주성 장애의 분류 _59
4) 자폐 범주성 장애의 판별 및 진단기준 _61
2. 자폐 범주성 장애의 원인 62
3. 자폐 범주성 장애의 특성 63
1) 지능 및 학업 성취 _63
2) 사회-정서적 특성 _64
3) 의사소통 특성 _65
4) 행동적 특성 _66
4. 자폐 범주성 장애 아동 교육 68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68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전략 _68
3) 장애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적 접근 _70
Chapter 05 의사소통장애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73
2. 의사소통 장애의 분류 75
1) 말장애 _75
2) 조음장애 _76
3) 유창성장애 _76
4) 음성장애 _77
5) 언어장애 _78
3. 의사소통장애의 원인 79
1) 기질적 요인 _79
2) 기능적 요인 _79
4. 의사소통장애의 특성 80
1) 언어적 특성 _80
2) 지능 및 학업성취 _80
3) 사회-정서적 특성 _81
5. 의사소통장애 아동 교육 81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81
2) 말을 활용한 의사소통 기술 촉진 _82
3) 언어 기술 교수 _83
4) 보완대체의사소통 _84
Chapter 06 청각장애
1. 청각장애의 정의 87
1) 소리의 측정 _87
2) 청각장애의 정의 _88
3) 청각장애의 분류 _90
2. 청각장애의 원인 90
1) 귀의 구조 _91
2) 청각장애의 원인 _91
3) 청각장애의 판별 _93
4) 청력 검사 _93
3. 청각장애의 특성 95
1) 말과 언어의 발달 _95
2) 사회-정서적 발달 _96
3) 농문화 _97
4. 청각장애 아동 교육 97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97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_98
3) 수화통역사의 활용 _100
4) 청각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적 중재 _100
Chapter 07 시각장애
1. 시각장애의 정의 105
1) 시각장애 관련 용어 _105
2) 정의 _106
3) 시각장애의 분류 _107
2. 시각장애의 원인 107
1) 눈의 구조 _107
2) 시각장애의 원인 _108
3) 시각장애의 판별 _110
3. 시각장애의 특성 111
1) 운동기능 발달 _111
2) 개념 발달 _111
3) 사회성 발달 _111
4. 시각장애 아동 교육 112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112
2) 시각장애 아동을 위한 특수교육적 중재 _114
3) 교수 보조도구의 선택과 수정 _116
Chapter 08 지체장애
1. 지체장애 정의 117
2. 지체장애 하위영역 118
1) 뇌성마비 _118
2) 근이영양증 _119
3) 이분척추 _120
4) 골 형성 부전증 _121
5) 경련장애 _121
6) 외상성 뇌손상 _122
3. 지체장애의 특성 123
1) 지능 및 학업 성취 _123
2) 사회-정서적 특성 _123
3) 신체 운동적 특성 _124
4. 지체장애아동의 교육 124
1) 통합교육을 위한 일반적 지침 _124
2) 통합교육을 위한 정보 수집과 교수환경 수정 _124
3) 학습자세의 중요성 _125
4) 컴퓨터 공학의 활용 _127
5) 의사소통 _128
6) 이동성 _129
Chapter 09 영재아
1. 영재의 정의 및 판별 131
1) 영재의 정의 _131
2) 영재의 판별 _133
2. 우수성의 기원 134
1) 유전 및 기타 생물학적 요인 _134
2) 환경적 요인 _135
3. 영재아동의 특성 135
1) 일반적 특성 _135
2) 정의적 특성 _136
3) 인지적 특성 _136
4) 미성취 영재아 _137
4. 영재아 교육 138
1) 일반학급에서의 영재 교육을 위한 지침 _138
2) 학제 간 지도지침 _139
3) 교육적 배치 _140
4) 교수방법 _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