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상담과 생활지도

상담과 생활지도

김훈희, 황영신 (지은이)
박영스토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상담과 생활지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상담과 생활지도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사회/심리학
· ISBN : 9791190151344
· 쪽수 : 230쪽
· 출판일 : 2019-08-20

목차

P_a_r_t _0__1__ 상담의 기초
Chapter 01. 상담의 의미 3
1. 상담의 개념 3
2. 생활지도 5
1) 생활지도의 개념 5
2) 생활지도의 필요성 5
3) 생활지도의 목적 6
4) 생활지도의 원리 7
5) 생활지도의 영역 7
6) 생활지도 실천의 원리 9
7) 생활지도 활동의 계획 및 운영 9
3. 상담과 생활지도, 심리치료의 비교 11
4. 상담의 목표 12
1) 행동 변화 12
2) 문제해결능력 신장 12
3) 인간관계 개선 13
4) 의사결정 촉진 13
5) 잠재능력 신장 13
5. 상담의 주요 기법 14
1) 경청 14
2) 수용 14
3) 반영 15
4) 명료화 15
5) 질문 15
6) 요약 16
7) 재진술 16
8) 직면 16
9) 해석 17
10) 격려와 재보증 17
6. 상담자의 자질과 윤리 17
1) 전문가로서의 태도 18
2) 사회적 책임 20
3) 내담자의 복지와 권리에 대한 존중 22
4) 상담관계 24
5) 정보의 보호 및 관리 25
6) 심리평가 29
Chapter 02. 상담의 유형 30
1. 집단상담 30
2. 가족상담 33
3. 진로상담 34
4. 학습상담 35
5. 비행상담 36
6. 매체(보조자료)를 활용한 상담 38


P_a_r_t _0_2__ 상담이론
Chapter 03. 정신분석 상담이론 45
1. 인간관 45
2. 주요 개념 46
1) 퍼스넬리티의 구조 46
2) 의식과 무의식 47
3) 불안 48
4) 자아방어 기제 49
3. 상담과정 51
1) 상담의 목표 51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52
3)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경험 52
4)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53
Chapter 04. 인간중심 상담이론 56
1. 인간관 56
2. 인간중심 상담이론의 특징 57
3. 상담과정 58
1) 상담의 목표 58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61
3) 상담에 있어서 내담자의 경험 61
4)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 63
Chapter 05. 행동주의 상담이론 69
1. 인간관 69
2. 주요 특성 70
3. 상담과정 72
1) 상담의 목표 72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74
3)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경험 76
4)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관계 76
4. 적용: 행동수정기법 77
1) 이완훈련 77
2) 체계적 둔감법 78
3) 혐오자극의 제공 78
4) 토큰법 78
5) 상반행동의 육성 79
Chapter 06. 인지정서행동 상담이론 80
1. 인간관 80
2. 기본 개념들 82
1) 정서장애에 대한 관점 82
2) 성격의 A-B-C 이론 84
3. 상담의 과정 88
1) 상담목표 88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90
3) 상담과정에서 내담자의 경험 93
4) 상담자와 내담자 간의 관계 95
P_a_r_t _0_3__ 상담의 실제
Chapter 07. 인간관계의 심리: 나는 어떤 사람인가요? 99
1. 성장인의 특성 99
2. I’M OK, You’re OK 103
3. 함께 생각해 보아요 107
Chapter 08. 성취동기, 회복탄력성 110
1. 성취동기 110
2. 회복탄력성 113
3. 함께 생각해보아요 119
Chapter 09. 콤플렉스 122
1. 콤플렉스의 개념 122
2. 콤플렉스의 원인과 작용 123
3. 콤플렉스의 유형 124
1) 착한아이 콤플렉스 124
2) 사내 대장부 콤플렉스 125
3) 신데렐라 콤플렉스 126
4) 맏이 콤플렉스 127
5) 피터팬 콤플렉스 128
6) 슈퍼우먼/슈퍼맨 콤플렉스 128
4. 콤플렉스의 해결(극복) 129
Chapter 10. 대화: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은? 133
1. 경청하기 133
2. 공감하기 136
1) 즉각성 137
2) 일치성 138
3) 지지 138
3.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 139
1) 효과적인 의사소통의 장애요인 139
2) 비효과적 의사소통 기술 142
3) 상담자의 의사소통 방식 147
4. 함께 생각해보아요 152
1) 경청 152
2) 공감 경험하기 158
3) 생각의 틀 발견하기 159
Chapter 11. 상담의 과정-초기단계 162
1. 의뢰와 사전준비 162
1) 의뢰 162
2) 상담의 준비 163
3) 초보상담자가 직면하게 되는 문제들 165
4) 첫 만남 165
5) 상담초기 169
6) 상담 관계의 형성; 래포 174
7) 상담초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 175
Chapter 12. 상담의 과정-중기단계 177
1. 심층적 탐색 179
2. 내담자의 자각 180
3. 상담중기에서 사용되는 기법 182
1) 심층적 공감 182
2) 피드백 주기 183
3) 직면 184
4) 즉시적 반응 186
5) 해석 186
4. 상담중기에 나타날 수 있는 문제 187
5. 특수한 상황에서의 상담 188
1) 내담자의 결석 188
2) 위기상황에서의 상담 189
Chapter 13. 상담의 과정-종결단계 191
1. 상담후기와 종결 191
2. 상담종결 후의 생활과제에 대한 논의 195
1) 독서하기 195
2) 생각하기 195
3) 정서일지 기록하기 195
4) 연습을 통한 형성하기 196
5) 예방하기 196
Chapter 14. 상담사례와 적용 197
1. 동화를 활용하는 방법 197
2. 학급 운영을 통한 공격행동 및 반항행동 관리 전략 198
3. 집단 괴롭힘 201
4. 함께 생각해 보아요. 204
부록 1: 임상에서의 의사소통 205
부록 2: 학교 상담관련 주요 서식 213

참고문헌 221

저자소개

김훈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 박사 세부영역: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원교육, 영재교육, 창의성 現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교수
펼치기
황영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교육학 박사 세부영역: 교육심리, 상담, 학습전략, 교육프로그램 개발 現 진주보건대학교 간호학부 외래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상담의 개념
사전적 정의에 의하면 상담(counseling)은 상담자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전문적 지식과 기능을 가지고 내담자 자신과 환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며,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며 효율적인 행동양식을 증진시키거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원조하는 활동이다.

상담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① 모든 행동변화나 의사결정은 내담자가 원하는 것이어야 한다.
② 상담은 자발적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제공하는 것이어야 하며 개인이 선택하고 결정할 권리를 존중해야 된다.
③ 합리적 계획, 문제해결, 의사결정, 환경적 압력에 대한 대응, 일상 행동습관 등과 같은 일상생활의 문제에 중점을 둔다.

상담(相談)의 사전적 의미는 ‘서로 의논하다’, ‘서로 마주보고 이야기하다’이다. 영어에서 상담의 뜻인 counseling은 라틴어 ‘consulere’가 그 어원이며, ‘고려하다(consider), 반성하다(reflect), 숙고하다(deliberate), 자문하다(consult), 조언을 받다(to ask consult), 조언을 구하다(to ask counsel of)’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박성수(1998)는 상담을 ‘내담자와 상담자 간에 수용적이고 구조화된 관계를 형성하고 그 속에서 내담자가 자기 자신과 환경에 대해 의미있는 이해를 증진하도록 함으로써 내담자 스스로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여러 심리적 특성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도록 도와 성장과 발전을 촉진하는 심리적 조력과정’이라 정의하고 있다.

전문적인 상담자와 일반 상담은 구별될 필요가 있다. 전문적인 공부와 경험, 훈련을 거친 전문적인 상담자는 일반 상담이 갖는 한계를 넘어설 수 있다. 일반적 상담과 전문적 상담을 구별하는 조건으로는 첫째, 상담자의 자격 여부이다. 상담을 전공한 자와 그렇지 않은 자는 인간을 이해하고, 문제를 다루고 적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날 수밖에 없으며, 상담 결과도 다를 수밖에 없다. 둘째, 내담자 호소에 대한 체계적 평가 여부이다. 일반 상담은 그저 들어주고 아파하는 차원이라면 전문적 상담은 내담자가 호소하는 문제에 대해 객관적 자료나 평가를 통해 체계적으로 접근한다는 것이다. 이 말은 내담자의 문제 해결에 있어서도 체계적이고 과학적이며 합리적이라는 의미이다. 셋째, 변화유발을 위한 구체적 절차와 방법의 동원 여부이다. 전문적 상담에서는 내담자가 가진 문제가 동일 할 지라도 내담자가 처한 상황이나 여러 가지 정황을 고려하여 내담자의 변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적용하는 이론과 기법이 달라진다. 넷째, 상담에의 규칙성 여부이다. 일반상담은 규칙 없이 그저 이루어지지만 전문상담은 상담초기의 구조화와 같은 과정을 통해 규칙성이 부여되고 그러한 규칙성에 따라 진행된다.

상담이 갖는 특성상 상담에 대한 정의가 이론과 학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상담은 개인 대 개인의 관계이며, 전문적인 조력이 주어지는 관계이고, 언어적 수단에 의한 역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학습의 과정이며 사적인 관계라는 공통점을 내포하고 있다. 세 가지 상담의 요소를 가지고 상담에 대해 정의를 내려 보면, ‘상담은 도움이 필요한 내담자가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자와의 관계를 형성하여 생활과정 상의문제를 해결하고 감정, 생각, 행동과 같은 여러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합리적인 과정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5195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