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군사전략/무기
· ISBN : 9791190186292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3-02-22
책 소개
목차
서론 9
제1부 첩보
제1장 홈 어드밴티지 23
제2장 암호 해독 54
제3장 백도어 77
제4장 전략 스파이 102
제5장 방첩 125
제2부 공격
제6장 전략적 방해 공작(사보타주) 147
제7장 표적 파괴 169
제8장 강압 190
제9장 실험과 시연 212
제3부 교란
제10장 선거 개입 237
제11장 폭로 270
제12장 절도, 몸값, 조작 301
제13장 대혼란 323
결론 344
미주 360
감사의 말 455
옮긴이의 말 459
찾아보기 464
리뷰
책속에서
사이버 공격의 개념은 신호 중심의 사고방식이 아니라 첩보, 방해, 교란 공작을 아우르는 유리한 환경 조성의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해킹을 통해 무언가를 암시, 강압, 협박하려는 국가가 아니라 해킹을 공세적으로 사용하여 국제 환경을 자신에게 유리하게 만들려는 국가가 가장 많은 이득을 볼 수 있다. … 좋든 나쁘든 각 나라의 해커들은 세상의 미래를 바꾸고 있다.
오로라 작전에는 세 가지 목표가 있었다. 첫째, 미국의 기술을 활용하여 중국 내 반체제 인사를 감시하는 것이다. 구글은 조사 후에 “해커들의 주목적이 중국 인권 운동가의 G메일 계정을 해킹하는 것이라는 증거가 있다”고 발표했다. 구글의 보안 시스템이 잘 작동하여 이러한 해킹 시도를 대부분 막았으며, 해커들은 반체제 인사의 이메일 계정 두 개에만 접속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2011년, 북한은 한국의 핵심 기반시설, 언론, 금융기관을 공격했다(당시 공격으로 금전적 이들을 취하지는 않았다). 이듬해 북한은 한국의 여타 다른 언론기관을 노렸고 다시 1년 뒤 한국의 은행과 언론기관에 대한 와이핑 공격을 감행했다. 인구의 40퍼센트가 영양실조에 걸린 국가로서는 대단한 사이버 공격 능력을 보여준 셈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