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코로나 시대, 부의 흥망성쇠

코로나 시대, 부의 흥망성쇠

(변화하는 산업구조, 살아남을 방법은 무엇일까?)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지은이)
시목(始木)
16,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120원 -10% 0원
840원
14,2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알라딘 직접배송 4개 1,500원 >
알라딘 판매자 배송 41개 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1,760원 -10% 580원 10,000원 >

책 이미지

코로나 시대, 부의 흥망성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코로나 시대, 부의 흥망성쇠 (변화하는 산업구조, 살아남을 방법은 무엇일까?)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91190224468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6-27

책 소개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전문 연구원들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거시경제 환경 변화를 예상하고, 국내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야별로 분석한 책으로, 바뀌는 산업 지형도에 따라 기업과 개인이 선택할 수 있는 여러 기회 변수에 대해 이야기한다.

목차

책을 펴내며

1장 코로나가 불러올 경제 지각변동, 무엇이 바뀔 것인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경제의 새로운 도전 - 장보형
한국경제: V자형 회복, 그 이후는? - 김영준

2장 언택트 기반의 서비스 산업이 뜬다
홈코노미: 건강관리에 힘쓰면서 집에서 먹고 일하고 공부한다 - 김유진
집콕 생활과 뜻밖의 K-문화 산업의 부흥기 - 김유진
언택트 소비가 불러온 유통업의 희비 - 김문태

3장 명암이 엇갈리는 IT & 투자 시장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를 주목하라 - 황규완
5G 주도권을 잡기 위한 통신 서비스의 구조 변화 - 김문태
포스트 코로나, ESG 투자에 관심 집중 - 마지황
버블 붕괴를 맞고 있는 공유경제 - 황규완

4장 코로나발 타격이 우려되는 전통 산업
글로벌 공급망 단절이 가져올 변화 - 안혜영
한국 자동차 산업, 위기인가 기회인가? - 김동한
국제 유가에 따라 울고 웃는 정유&석유화학 업계 - 안혜영
직격탄 맞은 항공업과 해운업의 미래는? - 마지황

부록_ 마무리 토론

저자소개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7년에 설립된 하나금융경영연구소(소장 정중호)는 하나금융그룹의 Think Tank이자 Knowledge Center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금융권 내에서 경제/금융시장(부동산), 금융산업, 일반산업, 소비자분석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하는 대표적인 연구소이다. 하나금융포커스, 하나Knowledge+,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Korean Wealth Report,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보고서, 경제/금융산업 전망 보고서 등을 정기적으로 발간하고 있다. 정희수 성균관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금융연구원KIF, 광운대 겸임교수를 거쳐 2004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했으며, 금융산업팀장과 금융경영팀장을 역임한 후 현재 연구기획분석실장을 맡고 있다. 국제금융 분야로 연구활동을 시작해 은행을 포함한 금융산업 분석과 WM, 연금 등 자산관리 분야를 주로 연구했다. 대표보고서로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사적연금시장의 변화, HNW시장 및 고객분석(2007년, 2009년, 2010년, 2012년) 등이 있다. 김지현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Supply Chain Management를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MBA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IBM에서 기업 경영컨설팅과 금융업 비즈니스 컨설팅 업무를 하다 하나금융지주 전략기획팀을 거쳐 2012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했다. 금융소비자 트렌드를 주로 연구했으며 현재는 ESG 전문인력으로 ESG경영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ESG경영시대 금융회사의 미래사업 기회,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13년, 2014년, 2015년, 2017년, 2018년) 등이 있다. 오영선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 서울대학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2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해 금융소비자와 금융회사의 지속가능경영ESG 활동, 브랜드 전략 등을 연구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디지털 시대 글로벌 금융회사의 브랜드 리뉴얼 전략,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13년, 2014년, 2022년, 2023년) 등이 있다. 안성학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재무론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2008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해 은행업과 증권업을 대상으로 한 PB 및 자산관리 분야를 연구하고 있으며, 현재 금융시장팀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국민 재테크 ELS 시장 전망과 시사점,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19년, 2020년, 2021년)를 집필한 바 있다. 황선경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통계학/경영학 학사학위를 취득하고 연세대학교에서 MBA를 수료했다. 2007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해 빅데이터센터, 금융경영팀을 거쳐 현재 소비자분석팀에서 연구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밀레니얼의 투자행태 분석, 잘파세대의 금융 인식 및 거래 현황 분석,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22년, 2023년) 등이 있다. 이수영 연세대학교에서 경영학 학사를 취득 후 KAIST 경영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2012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한 후 하나금융지주 기업문화팀을 거쳐 현재 개인금융팀 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은행산업, 자산관리, 금융소비자 행태 분석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PB서비스 만족도 분석,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15년, 2017년, 2021년, 2022년) 등이 있다. 최희재 로체스터대학교에서 금융경제학을 전공하고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응용경제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 다양한 업무 경험을 거쳐 2018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입사해 은행, 신탁업(자산관리), 여신전문금융업 등의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대표보고서로 리빙트러스트 시장 분석, 대한민국 웰스 리포트(2019년, 2020년, 2021년) 등이 있다. 윤선영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심리학/광고홍보학을 전공하고 동 대학원에서 소비자광고심리학 석사학위를 취득했다. 2007년 NICE(구 한국신용정보)에 입사해 나이스디앤알로 분사할 때까지 금융권의 마케팅리서치를 담당했으며, 2021년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입사 후 소비자분석을 담당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금융소비자보고서를 비롯해 금융소비 트렌드 및 세대 연구(뉴시니어, 잘파세대) 등을 수행했다.
펼치기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의 다른 책 >

책속에서

세계경제 향방과 관련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주목을 끈다. 우선, 디지털화의 가속이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장기화되면서 온라인 비즈니스가 가속 성장세를 보이는가 하면, 그동안 말만 무성하고 현실적 제약이 부각되던 원격 의료나 원격 근로, 나아가 기타 다양한 ‘언택트’ 경제 등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지금 전 세계가 전자상거래, 디지털 경제, 원격 경제에 대한 특강을 받고 있다.”는 말도 나온다. 이른바 ‘홈코노미’도 이번 위기로 새롭게 조명받고 있다.
_<포스트 코로나 시대, 세계경제의 새로운 도전> 중에서


양적 성장이 불가능해지면 새로운 성장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대폭적인 기업체 인센티브 제공으로 투자를 유도하거나 외국인 이민을 받아들여서 노동 투입을 유지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또는 정책의 우선순위를 성장에서 분배로 전환하여 성장의 품질을 높이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아직까지 한국경제는 이에 대한 사회적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코로나19 사태는 성장에 더욱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주요국 공장의 연쇄적 셧다운으로 적시공급(Just-In-Time) 시스템의 취약점이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 기업은 재고 확대 및 소재/부품의 공급선 다변화로 위험을 분산할 유인이 확대되었으며, 이는 글로벌 밸류체인(GVC) 약화를 가져올 수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로 보호무역주의가 더욱 활개를 칠 가능성도 높다. 결국 코로나19 사태는 생산의 효율성을 떨어트리고 성장을 좀먹게 될 것이다.
_<한국경제: V자형 회복, 그 이후는?> 중에서


코로나19로 매력도가 높아진 에듀테크 시장은 중장기적으로도 안정 성장을 지속할 전망이다. 전 세계적으로 ICT(AI, AR·VR, IoT 등) 기술과 융합된 에듀테크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실감화·연결화·지능화·융합화의 교육 트렌드하에 교육산업 내 신성장 동력으로 평가된다. 스마트폰과 태블릿 PC 등 모바일 기기에 친숙한 디지털 네이티브(디지털 원주민)가 주요 학령층으로 등장하면서 에듀테크 시장의 성장을 지지하는 가운데,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오프라인 수업 시 온라인 학습을 병행)이나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온라인 선행학습 이후 오프라인에서 토론) 등의 온·오프라인 혼합 교육 방식이 적극 활용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향후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라는 목표하에 1인당 교육비 상승 및 평생교육과 자기계발 니즈 확대로 ICT 기반의 에듀테크가 교육 산업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된다.
_ <홈코노미: 건강관리에 힘쓰면서 집에서 먹고 일하고 공부한다>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0224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