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건축 > 건축이론/비평/역사
· ISBN : 9791190314145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2-01-31
책 소개
목차
책을 펴내며
서문
1장. 지워진 건축, 일제 식민시대
‘게이조’ 시기 건물의 명암
조선총독부 청사 연대기
조선신궁과 신사들
반도호텔의 운명
엽서 사진 속 경성들
2장. 파괴된 건축, 한국전쟁과 서울 요새화 계획
한국전쟁 1950-1953
덤프 머드, 1950년 서울 폭격
서울 요새화 계획
3장. 숨겨진 건축, 군사정권과 발전국가 시대
군사정권의 두 가지 전략
프로파간다를 위한 거대한 무대
중앙정보부의 음지들
만일 그때 그 건축이 사라졌다면
주석
참고 문헌
도판 출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서울 내 근대건축의 부재’에 관한 오랜 관심은 네덜란드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에서 석사 졸업 프로젝트를 기획하며 더욱 구체화되었다. 아인트호벤이라는 도시는 2차 세계대전 중 독일군의 대규모 폭탄 공격을 당해 원래의 도시가 완전히 파괴되었고, 이후 현대화된 공업도시로 재건된 역사가 있는 곳이다. 네덜란드 내 대다수의 도시들은 오래된 도시 경관을 유지해 왔고 이처럼 전쟁으로 인해 도시 전체가 현대화된 경우가 워낙 드물기에 시내 풍경이 굉장히 독특하다는 것이 내가 받은 도시의 첫 인상이었다. 리서치 주제를 학교에서 처음 발표하던 날, 1995년 구 총독부 청사 철거식을 생중계하는 한국의 뉴스 영상을 공개했다. 이를 본 교수님과 학생들은 흥미로워하면서 동시에 의아해했다. 저 정도 규모의 거대한 석조 건축물을 기능상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인위적으로 철거를 했다는 사실, 그것도 과거 식민역사를 청산하려 함을 대내외적으로 알리기 위해 세레모니 형식으로 기획된 그날의 모습은 기존의 오래된 도시 풍경을 유지하고 보존하는 것에 익숙한 보수적인 유럽인의 시각에서는 이상한 일이었다. - 책을 펴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