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예술적 생활 : H군에게

예술적 생활 : H군에게

김은형, 김효영, 꿉끼, 박고은, 박소희, 신제현, 이정형, 황동욱, 윤원화, 김보현 (지은이)
바이블랭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10% 2,500원
500원
11,000원 >
9,000원 -10% 2,500원
0원
1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예술적 생활 : H군에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예술적 생활 : H군에게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도록
· ISBN : 9791197922695
· 쪽수 : 94쪽
· 출판일 : 2023-10-31

책 소개

지난 9월 14일부터 10월 15일, TINC에서 열린 전시로 2000년대 대안공간의 실험적 시도와 실천의 에너지를 ‘공간’이라는 필터로 바라보고자 했다. <예술적 생활 : H군에게>는 “예술은 곧 인생”이라는 구호로 집약될 수 있는데, 전시는 1910년대의 이러한 생각에 대한 답신처럼 구성되었다.

목차

H 올림 김보현 5
전시 전경 9
참여작품 18
시각적 분석 장치 황동욱 60
예술의 공간의 예술 윤원화 68
작가 소개 82
藝術的 生活: H君에게 김억 89

저자소개

윤원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시각문화 연구자, 비평가, 번역가. 저서로 『1002번째 밤—2010년대 서울의 미술들』 『문서는 시간을 재/생산할 수 있는가』 『그림 창문 거울—미술 전시장의 사진들』 『껍질 이야기, 또는 미술의 불완전함에 관하여』 등, 역서로 『광학적 미디어: 1999년 베를린 강의—예술, 기술, 전쟁』 『기록시스템 1800·1900』 『포기한 작업으로부터』 『사이클로노피디아 —작자미상의 자료들을 엮음』 등이 있다. 서울미디어시티비엔날레 2018에서 <부드러운 지점들>을 공동 제작했고, 부산비엔날레 2022 온라인 저널 ‘땅이 출렁일 때’를 기획 편집했다.
펼치기
박고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그래픽 디자이너이자 도시와 관련된 이야기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다. 현재는 디자인 스튜디오 머큐리얼을 운영하며, 대학에서 타이포그래피와 웹 디자인을 가르친다. 네덜란드 디자인 아카데미 아인트호벤에서의 석사 졸업 프로젝트를 정리해 출판한 『사라진 근대건축(2022)』을 계기로 복잡한 정보 데이터의 시각화에 관심을 둔 디자인 연구를 계속 확장해 가고 있다. 《ACC 컨텍스트: 걷기, 헤매기》(국립아시아문화전당, 2023), 《타이포잔치 2023: 국제 타이포그래피 비엔날레》(문화역서울284, 2023), 《부산현대미술관 정체성과 디자인》(부산현대미술관, 부산, 2023), 《최근 그래픽 디자인 열기 ORGD 2022: 디자이너 X의 설득》(wrm space, 2022), 공공디자인페스티벌 주제전 《길몸삶터》 (문화역서울284, 2022), 《DEMO Festival》(네덜란드 주요 도시, 2022) 등 국내외 전시에 참여했다. www.goooeun.com
펼치기
김효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여러 젊은 건축가의 아틀리에에서 다양한 경험을 한 후 김효영 건축사사무소를 개소했다. 건축이 만들어지는 상황에 감정이입하여 성격을 찾아내고 표현하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질문으로 건축과 지금의 우리를 묶어내려는 작업을 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건축학과의 겸임교수로 출강하고 있고, 2022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했다. 주요 작업으로 울산 바닷가 벽 집, 자람터 어린이집, 점촌 기와올린 집, 문경 복터진집, 압구정 근린생활시설, 동해 폐쇄석장 리모델링, 인제 스마트복합쉼터 등이 있다.
펼치기
김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다양한 형식의 실험적인 드로잉을 바탕으로 초현실적 성향의 작품들을 만들어 낸다. 생각하는 것을 전부 그려내겠다는 시도로 복잡한 이미지로 가득 채워진 뇌모양 조형물을 만들어 내었던 〈Designing Egos〉시리즈나, 오페라 및 클래식 음악을 시각예술로 표현한 드로잉 시리즈 등 작가는 손으로 완성되는 회화와 다른 매체간의 경계없는 표상적 결합에 관심을 두고 있다. 다시 말해, 머리 속에 떠오르는 수많은 이미지를 회화의 기술적 확대를 통해 새로운 서사에 얹어 공간에 축적하고 전개해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전통적인 수묵화의 매체를 고수하면서도 고정관념에 얽매이지 않는 다양한 소재와 주제를 표현하고자 노력해 왔는데, 최근에는 AI를 활용한 드로잉을 통해 다양한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면서, 2023년 OCI미술관의 개인전 《이발사 큐레이터(Tales of the Barber-Curator)》에서 Chat GPT 및 Dall-e2를 활용한 작품들을 선보이기도 했다.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OCI미술관, 2012), 《니벨룽의 반지》(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전, 2013), 《타임머신》(한원미술관, 2017), 《Past, Present, Future》(송은갤러리, 2022) 등 다양한 전시에 참여했다.
펼치기
꿉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상상이 실체가 된 듯한 형상, 공간 그리고 메시지를 담은 은유를 더하여 전혀 다른 새로운 형태의 세계를 시각화하는 작업을 해왔다. 정교한 상상력과 더불어 은유적 의미를 교차시켜 독창적인 세계관을 작품 안에 빚어내는 데 관심이 있다. 첫 단편 애니메이션 〈Megalomania〉(2020)은 제16회 파리 한국 영화제, Fantasia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upernova Digital Animation Festival, Animasyros Animation Festival, 2021 kuandu International Animation Festival, 판타지아국제영화제 한국특별전, 제22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한국신작전, 2022 ONE Country ONE Film Festival, China Independent Animation Film Forum, TRICKY WOMEN/TRICKY REALITIES 2022 등의 다양한 영화제에 상영되었으며, 이를 시작으로 〈순간의 소유〉(미디어파사드, 2021), 〈잃어버린 심장〉(2022), 〈방울뱀의 잘린 꼬리〉(2022), 〈태양의 제단〉(AR, 2023), 〈빌딩〉(단편 애니메이션, 2023), 〈꿈기록〉(2023) 등 다양한 작품을 제작했다. 현재는 뮤직비디오, AR, VR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기획자, 아트디렉터, 영상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박소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플랜트 아티스트로서 계절성, 소재감, 색상, 선의 모양 등 식물이 가지는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작가다. 그는 꽃 외에도 칡덩쿨이나 줄기를 이용해 유기적인 형태를 표현하기도 하고, 꽃만이 가지는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통해 실내공간에 자연물을 구현하며 ‘엘트라바이(Elle travaille)’만의 경험주의적 정서를 제안한다. 유명 브랜드들의 아트 캠페인과 미술관 식물 공간연출에도 참여하는 엘트라바이(Elle travaille)를 이끄는 그는 사람들로 하여금 식물을 통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정서를 실험하는 것을 작업의 목표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개인전 《COMPLEX》(the willow, 2023)을 열었고 《화,경》(전남도립미술관, 2023), 《THERE BE》(금호알베르, 2021), 《VR정원(VR Garden)》(백남준아트센터, 2022), 《길몸삶터》(문화역서울284, 2022), 《Maison》(메종21G, 2022)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참여 브랜드로는 JOYGRYSON, 롯데월드타워, 지미추, ELLE 등이 있다.
펼치기
신제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일상 속에서 알거나 믿는 것과 보고 경험하게 되는 것 사이의 차이로 인해 인지 부조화가 일어나는 지점에 관심을 가지고, 인지 부조화를 유희적으로 비틀어 사건을 가속화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2010년 개인전 《Play Smart Mob》(아트스페이스 휴, 파주, 2010)를 시작으로 《Arin Project》(인사미술공간, 2011), 《Healthy Kit》(175갤러리, 2014), 《English Order》(테이크아웃드로잉, 2015) 등의 전시를 열었다. 《예기치 않은》(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5), 《동백꽃 밀푀유》(아르코미술관, 2016), 《예술적 생존법 연구》(대안공간 루프, 2017) 등 국내외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펼치기
이정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시를 위한 공사, 설치, 디자인 등 전시의 연출을 위한 여러 가지 행위들을 일로써 하고 있는데 그러한 이유로 누구보다 많은 전시가 만들어지는 과정, 작업이 만들어지는 과정들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험들을 바탕으로, 삶과 예술의 간극에서 예술과 전시가 어떠한 환경과 조건에서 성립되는지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작업해오고 있다. 개인전으로는 《White noise》(인사미술공간, 2019), 《Different kind of white》(P21, 2018), 《Fine works》(윌링앤딜링, 2015), 《오늘의 현장》(송은아트큐브, 2016)이 있으며, 《악의 사전》(강원비엔날레, 2018), 《섬머러브》(송은아트스페이스, 2018), 《혁명은 TV에 방송되지 않는다》(아르코미술관, 2017), 《밤의 호랑이들》(SeMa창고, 2016), 《서울바벨》(서울시립미술관, 2016), 《아시아창작네트워크-아시아 민주주의의 씨실과 날실》(아시아문화전당 교류원, 2015) 등 다수의 기획전에 참여다.
펼치기
황동욱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축을 전공하고 공간 기반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디자이너이자 작가다. 자연과 인공의 만들어진 환경(Built Environment) 그리고 그 사이 경계에 있는 사물 및 공간적 상황을 기술적 시각을 통해 관찰하고 다양한 미디어로 재구성하는 작업에 관심을 두고 있다. 《돌의 실제》(구 명성교회, 2020),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아르코미술관, 2021), 《젊은 모색 2023: 미술관을 위한 주석》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2023) 등의 전시에서 기술적 시각을 이용해 기록한 자연 및 인공의 공간 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이용해 물질화하고 새로운 공간적 상황을 만들어 내는 것을 시도다.
펼치기
김보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시와 교육, 동아시아 미술 리서치를 하는 기획자다. 독립출판매거진 『뭐뭐링』을 만들기도 했고, 현재는 정림건축문화재단에서 〈건축학교〉를 운영 중이다. 만든 전시로는《Nothing we could know》, 《남성모양》, 《보더리스 사이트》등이 있으며 2023년 《예술적 생활:H군에게》를 기획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대안공간이라 하는 곳들은 건축가가 어떠한 계획을 세우고 디자인을 한 것이 아니라, 본래의 터를 예술의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건축적으로 아무것도 안 한 상태라고 보는 것이 맞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공간이 그 자체로 거함으로써 곧 권력이 되고, 그곳에 전시의 색을 입히는 힘은 공간의 자율성과 영향력을 되새기게 합니다.
- 김보현, H올림


1915년에 주창했던 선생님의 논리가 ‘예술 생명’이 논리였다면 작금의 예술적 생활은 바로 위와 같은 생각을 가능케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공간이 무엇인지 대관절 예술이 무엇인지, 생각하여, 또 생각하여 그러한 생각을 생산하여, 나만의 저자성을 획득하는 태도 말입니다.
- 김보현, H올림


보는 행위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인식 방법이자 또한 공간적인 상황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벌어지는 중요한 감각 행위 중의 하나다.
- 황동욱, 시각적 분석(장치)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