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강한 명세서] 쓰는 방법](/img_thumb2/9791190324120.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90324120
· 쪽수 : 832쪽
· 출판일 : 2021-12-02
목차
제4장 [강한 명세서] 쓰는 방법 25' A. 미리 보기; [명세서] 25' ' 1) 미리 보기; [명세서] 쓰는 형식 32' ' ' a) <비교 1> [명세서] 기재 공식; [설명] vs [청구] 32' ' ' b) <비교 2> [명세서] 작성 방법; 새 정리; vs 옛 개념; 34' ' ' c) <비교 3> [명세서 작성 방법]; 새 정리; vs 현행; 36' ' 2) [명세서]의 특징 38' ' ' a) <비교 1> [명세서] 특징; 새 정리; vs 옛 개념; 38' ' ' b) <비교 2> [명세서]란 무엇인가? 새 정리; vs 옛 개념; 40' ' ' c) <비교 3> [명세서] 특징; 새 정리; vs 옛 개념; 42' ' 3) 비교: [명세서] 작성 방법; 새 정리; vs 옛 개념; 44' ' ' a) 새 정리; [명세서] 작성 방법 44' ' ' b) 옛 개념; [업계]의 [명세서] 작성 방법 46' B. [제도 발전]의 방향 및 목표 설정 51' ' 1) [제도 발전]의 방향 및 목표 52' ' ' a) [발명/특허]의 확장, 어떻게 해야 하나? 60' C. 바로잡기; 옛 개념; [명세서] 관련 법조항 63' ' 1) 옛 개념; [명세서 등]의 문제점 64' ' 2) 개선 방향 및 목표 66' ' ' a) 방향 66' ' ' b) [가장 잘 쓴 명세서]란? 66' ' 3) 현상; [명세서] 관련 법조항 67' ' ' a) [명세서] 작성 관련 법조항 바로잡기 68' ' ' b) [명세서] 보정 관련 법조항 바로잡기 86' ' 4) 법을 만드는 [법] 96' D. <공통> [명세서] 개념 정리 105' ' 1) [명세서] 작성; 106' ' ' a) 현상 및 문제 106' ' ' b) 원인; 114' ' 2) [명세서]의 개선 방향 및 목표; 120' ' ' a) [강한 명세서] 작성 120' ' ' b) [완전 독립항 이론] 정립 123' ' 3) [명세서]의 기능 124' ' ' a) [발명의 실체]를 [특허의 실체]로 바꾸기 124' ' ' b) [도면/설명/청구] vs [창작/설정/방어] 126' ' ' c) [명세서]의 변천 128' ' ' d) [명세서 등]의 기능 130' ' 4) [주요 3항목]의 특징 138' ' ' a) [주요 3항목]의 작성/검색/해독의 순서 138' ' ' b) [주요 3항목]의 작성 순서 139' ' ' c) [주요 3항목]의 작성 순서와 장단점 144' ' ' d) [주요 3항목]의 보정 순서 152' ' ' e) [주요 3항목]의 거절 이유 153' ' ' f) [주요 3항목]의 식별자 및 배열 154' ' ' g) [주요 3항목]의 기능적 명칭 156' ' ' h) [주요 3항목]의 상호 관계 161' ' ' i) [명세서]; 상세하게만 쓴다면 어떻게 될까? 172' ' ' j) [한정/수식/부가]의 정리 175' ' 5) [무결점 명세서]란? 178' ' 6) [명세서 등]의 작성은 누가 하는 것이 좋은가? 182' ' 7) [원천부] vs [청구부] 192' ' 8) [명세서 등]의 기재 요건 및 자가 점검 204' ' ' a) 새 정리; [명세서] 기재 요건 및 자가 점검표 204' ' ' b) 새 정리; [명세서 등]의 자가 점검표 209' ' ' c) 옛 개념; 업계의 [명세서 등]의 기재 요건 및 자가 점검표 212' ' 9) 새 정리; [주요 3항목]의 기재 공식 218' ' ' a) 새 정리; [도면 기재 공식] 230' ' ' b) 새 정리; [설명 기재 공식] 232' ' ' c) 새 정리; [청구 기재 공식] 234' ' ' d) 새 정리; [주요 3항목]의 기재 공식 236' ' 10) [완전 독립항 이론]을 구현하려면? 246' ' ' a) [완전 독립항 이론]이란? 248' ' ' b) [열린/단순 계층 구조] 254' ' ' c) [합리적 인과 관계] 266' ' ' d) [합리적 결합 관계] 282' ' ' e) [구체화/일반화/포괄화/합리화]란? [설명] vs [청구] 309' ' ' f) [도면[부터, [발명 구조]의 다원화/다각화/다양화 324' ' ' g) [도면 단계]부터 [도면]으로, [복수 실시] 332' ' ' h) [권리의 원천] vs [선택/인용/설정/기재]; [설명] vs [청구] 348' ' ' i) [권리 원천]부터, 확장; [설명] 354' ' ' j) [권리 원천]부터, 단일화; [설명] 358' ' ' k) [발명 구조]의 [번호 체계] 정리 362' ' ' l) [단위 발명] vs [수직 결합 관계]; [설명] vs [청구] 400' ' ' m) [요소] vs [수평 결합 관계]; [설명] vs [청구] 438' ' ' n) [요소]의 정리; [최소 구성 요소] 470' E. [강한 도면] 작성 방법 483' ' 1) [도면]의 기능 484' ' ' a) 어떤 입장에서? [도면]을 그리는가? 485' ' ' b) [도면]의 특성 486' ' ' c) [도면] vs [말/글]의 비교 487' ' 2) [도면]의 종류 488' ' ' a) [도면]의 구분 488' ' ' b) [도면]과 그것의 보조 수단, 그리는 도구 489' ' 3) [주요 3항목]에서, [도면]의 상호 관계 490' ' 4) 옛 개념; [도면] 관련 법조항 문제 492' ' 5) 옛 개념; [도면] 그리기의 문제점 496' ' 6) 새 정리; [도면]의 위상 재정립 498' ' 7) [도면]의 [보정 범위] 502' ' 8) [도면]의 [거절 이유] 503' ' 9) 새 정리; [도면 기재 공식] 504' ' 10) 새 정리; [강한 도면] 작성 방법 508' ' 11) 새 정리; [도면]부터, [발명 구조]의 다원화/다각화/다양화 512' ' 12) 새 정리; [도면 단계]부터 [도면]으로, [복수 실시] 513' ' 13) 새 정리; [도면]; 구성 vs 계층 배열 514' ' 14) 새 정리; [도면 번호]; [계층적 고유 번호] 526' ' 15) <도면 부호의 설명> 적는 방법 530' ' 16) <도면의 간단한 설명> 536' ' 17) <연습> [강한 도면] 538' F. [강한 설명] 작성 방법;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내용] 541' ' 1) [설명]의 기능 542' ' 2) 어떤 입장에서 [설명]을 작성하는가? 543' ' 3) [설명]의 보정 범위 544' ' 4) [설명]의 거절 이유 545' ' 5) 옛 개념; [명세서] 작성 방법의 문제점 546' ' 6) 왜? [강한 설명] 이어야 하는가 548' ' 7) [설명]의 위상 재정립 549' ' 8) [강한 설명]? 어떻게 작성 하는가? 550' ' ' a) [설명 공식]; 새 정리; vs 옛 개념; 550' ' ' b) 새 정리; 합리적 [단위 발명] 정리 558' ' ' c) 새 정리; 모든 [단위 발명]은, [설명]에서 단일화 561' ' ' d) 새 정리; [복수 실시]로 객관화/보편화/일반화 562' ' ' e) 새 정리; [이율 배반적 요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563' ' 9) <연습> [강한 설명] 564' G. [강한 청구] 작성 방법 567' ' 1) [청구항]의 의미 가치 및 기능 568' ' 2) 어떤 입장에서 [청구항]을 작성하는가? 570' ' 3) [청구항]의 보정 범위 572' ' 4) [청구항]의 거절 이유 573' ' 5) 옛 개념; [청구항] 작성의 문제점 574' ' 6) 옛 개념; [결합 관계]의 문제점 584' ' 7) 새 정리; [강한 청구] 만드는 방법 588' ' ' a) [청구 기재 공식]; 새 정리 vs 옛 개념 590' ' ' b) [청구] 기재 요건 595' ' ' c) [결합 관계]의 구분 600' ' ' d) [구조]인듯, [구조]아닌, [구조]로, 606' ' ' e) 모든 단계에서, [청구항] 이끌어내기 608' ' ' f) 새 정리; [회피 청구항] [방어 청구항] 610' ' ' g) 그 밖의 고려 사항 612' ' 8) 금지하는 청구항 구조 및 표현 616' ' 9) 최악의 [청구항] 작성 664' ' 10) 금기/모순과 그것의 극복 방법 667' ' 11) [청구항]의 여러 형식 670' H. [똑똑한 명칭/요약] 작성 방법; 691' ' 1) [똑똑한 명칭/요약]의 기능 692' ' 2) 어던 입장에서 [명칭/요약]을 작성하는가? 693' ' 3) [명칭/요약]의 보정 범위 694' ' 4) [명칭/요약]의 거절 이유 695' ' 5) 금지되는 명칭 696' ' 6) [발명 특허]에 관련된 [명칭] 697' ' 7) 옛 개념; [명칭] 작성 기준 698' ' 8) 옛 개념; [요약] 작성 기준 699' ' 9) [명칭/요약] 작성 방법의 문제점 700' ' ' a) 현상 700' ' ' b) 원인 703' ' ' c) 대책 704' ' ' d) 효과 705' ' 10) 왜? [똑똑한 명칭/요약] 이라야 하는가? 706' ' 11) [똑똑한 명칭/요약] 작성 방법 708' ' 12) 효과; [똑똑한 명칭/요약] 710' ' 13) <연습> [명칭] 711' I. 그 밖의 기재항목 작성 방법 719' ' 1) 그 밖의 기재 항목의 기능 720' ' 2) 어떤 입장에서 [그 밖의 기재항목]을 작성하는가? 721' ' 3) 그 밖의 기재 항목의 보정 범위 722' ' 4) [의견 제출] 및 [거절 이유] 723' ' 5) [주요 3항목] 이외의 기재 항목 724' J. 효과; 새 정리; [강한 명세서] 쓰는 방법 728' K. 종합 연습; 731' ' 1) <연습> [명세서] 바로잡기 732' ' 2) <연습> [강한 명세서] 기재 740' ' 3) <연습> [최소 단위 발명] 기재 연습 744' ' 4) <연습> [요소] vs [결합 관계] 기재 750' ' 5) <연습> [주요 3항목] 기재 공식; 756' ' 6) <연습> 1쪽짜리 [명세서] 쓰기 764' ' 7) <연습> 2쪽짜리 [명세서] 쓰기 786' ' 8) <연습> [기재 요건] 및 [특허 요건] 판단 794' ' 9) <연습> [발명]의 개념 이끌어내기; 조사/분석/설계; 802' ' 10) <연습> [발명]의 개념 설계; 사용 환경/영향/조건; 조사/분석/정리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