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046788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0-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바이러스 바로 알기
눈앞에 닥친 인류 멸망 시나리오
폭발적으로 퍼지는 감염성 질환
밝혀진 바이러스 정체
바이러스 발견 속도는 왜 더딘가?
바이러스와 세균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바이러스는 생명을 빌려 쓰는 기생체다
감염된 숙주세포의 운명
엄격한 숙주 특이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
그럼에도 바이러스가 필요한 이유
2장 바이러스는 어떻게 출현하고 번식하는가
바이러스의 출현과 재출현의 이유
또 다른 원인 제공자인 인간
변종 바이러스의 탄생
열쇠-자물쇠 원리로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키는 항체
가장 단순한 감염체의 등장: 프리온과 바이로이드
바이러스의 번식 전략
급성감염과 만성감염은 어떻게 다른가?
바이러스 잠복기
재감염과 재활성의 차이
바이러스 입자 1개만 흡입해도 감염될까?
바이러스 전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바이러스 자체의 특성
3장 팬데믹의 종식, 결국 면역이다
바이러스는 우리 몸의 어디로 들어오는가?
감염에 대한 여러 겹의 인체 면역방어 시스템
바이러스 확진 판정자가 반드시 전파자는 아니다
정상적인 면역 과정의 일부로 나타나는 반응들
바이러스 감염에도 유전적 차이가 존재한다
집단면역이란 무엇인가?
팬데믹의 종식은 집단면역 형성이 유일한 길
바이러스 백신 개발의 핵심은 중화항체 유도
4장 코로나19 파헤치기
다양하게 불리는 코로나19 질병
왜 박쥐와 설치류는 신종 바이러스의 온상인가?
코로나19바이러스의 공기 전파 가능성
코로나19바이러스의 급성감염 진행 과정
코로나19 항체는 재감염을 막아줄까?
코로나19는 반복될 것인가
코로나19 치료제 및 백신 개발
전 세계에서 앞 다투어 개발 중인 백신
인간과 바이러스가 상호 공존하는 세상
미래 팬데믹에 대처하기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감염성 질환이 일반 질환과 비교해 특히 위험한 이유는 단순하다. 예를 들어 암과 같은 일반 질환은 ‘오늘’ 1명의 환자가 ‘내일’ 회복되거나 불행히도 사망하면 그 수가 1 또는 0이 된다. 변화가 없다면 그대로 1이다. 그런데 감염성 질환은 오늘 1명이라도 수주 내에 감염 환자가 1,000명이 될 수도 있다. 이런 기하급수적 확장성이 감염성 질환을 심각하게 만든다. 역으로 감염성 질환은 일반 난치성 질환과 비교하면 예방을 할 수 있다. 암이나 자가면역질환 같은 일반 질환은 미리 예방하기가 쉽지 않다. 하지만 감염성 질환은 감염 원인체를 규명하면 충분히 대처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1장 바이러스 바로 알기>
바이러스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 모든 생물에 감염될 수 있지만, 바이러스 종마다 특정한 숙주에만 감염된다. 천연두바이러스는 사람에게만 감염되고, 조류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조류와 가금류에만 감염된다. 식물 바이러스도 철저한 숙주 특이성을 나타낸다.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는 담뱃잎에 감염되며 은행나무는 감염되지 않는다. 흥미롭게도 대부분 자연숙주에 기생하는 바이러스들은 특별한 질병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
<1장 바이러스 바로 알기>
동물과 인간의 밀접한 접촉 때문에 동물을 자연숙주로 삼는 바이러스가 인체 환경 감염에 성공하면 사람에게서는 심각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동물과 인간이 만나 종간 장벽이 파괴 되어 생기는 인수공통감염은 과거에도 나타났다. 독성이 훨씬 강한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도 있었고, 약한 증상만 일으키는 바이러스 질병도 있었지만 큰 문제가 되지 않았던 이유는 이들 바이러스 질병이 발생 지역에만 국소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끝났기 때문 이다. 하지만 이러한 인수공통감염이 오늘날에는 교통망의 발달로 지구 반대편까지 퍼지는 데 단 24시간이면 충분해 그 위험성이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커졌다.
<2장 바이러스는 어떻게 출현하고 번식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