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교육
· ISBN : 9791190614726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4-01-19
책 소개
목차
추천사 _1
서문 _10
제 1 장 왜 캠프이어야 하는가? _19
캠프에서 울고 있는 여자 중학생
교회 캠프(수련회)의 영향력과 한계
영향력 있는 캠프(수련회)가 가지는 3요소
캠프와 수련회의 특성 비교
캠프? 수련회? 캠퍼런스!
제 2 장 주제와 흐름이 있는 프로그램 만들기 _33
기대와 감동이 없는 캠프(수련회)가 되는 이유
단위 프로그램과 거시(연속, 통합, 종합)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배치와 흐름
1. 일정표(캠프 스케줄링)의 기승전결
2. 가로와 세로 프로그램의 조화
3. 실내와 실외 프로그램
3.1. 신체적이고 정서적인 프로그램의 유익
3.2. 상충되지 않아야 할 프로그램
3.3. 변수에 대한 대비
3.4. 체크리스트
4. 참여를 이끌어내는 프로그램
4.1. 준비단계(설문조사와 일정표)
4.2. 포스트잇, 토크쇼, 나눔의 시간, 결단문(소감문) 작성
4.3. 정직한 질문과 정직한 답변
4.4. 평가 피드백
5. 참가인원을 고려하라
5.1. 자체적으로 진행하기
5.2. 위탁 캠프(수련회)에 보내기
5.3. 작은 교회 연합 캠프(수련회)
5.4. 하이브리드로 참가하기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의미를 꼭 설명하라
1. 조각 맞추기
2. 떨어지는 계란 구조물로 받기
3. 바디매오 체험하기
4. 인디언 캠프파이어
5. 관계훈련
고정관념을 깬 특별한 캠프(수련회)
1. 쉼 캠프
2. 소록도 봉사 캠프(수련회)
3. 양화진 비전트립
제 3 장 숨겨진 최고의 특별강사, 상담자 _105
가장 좋은 프로그램? 캠프의 자리를 지켜주는 상담자!
상담자의 중요성
상담자의 역할
1. 참가자에 대한 책임과 친밀감 형성하는 법
2. 구원상담
3. 신앙/생활 상담
3.1. 참가자의 기본적인 욕구
3.2. 참가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대처법
3.3. 상담시 주의사항과 유의할 점
4. FOLLOW UP(사후관리)
상담자의 선발과 훈련
제 4 장 삶으로 보여 주는 설교, 섬기는 리더십 _135
리더십의 자질이 캠프의 수준을 결정짓는다
말이 아니라 삶이다
참가자가 주최가 되어 캠프를 설계하고 운영하게 하라
캠프의 마침 = 삶의 캠프로의 시작
제 5 장 우리 손에 주어진 하나님의 선물, 캠프(수련회) _149
참가자들의 필요와 영적 관심에서 시작하라!
부록: 설문조사 샘플 _160
참고 문헌 _163
저자소개
책속에서
강사 선정과 프로그램 선정에는 목을 매지만(그것조차 짜집기와 주먹구구식일 때가 많다), 정작 아이들에게 더 구체적이고 섬세하게 다가가 마음과 영혼을 만지고 변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감당하는 상담자를 선정하고 훈련하는 데 교회 사역자들이 얼마나 애쓰고 있는가에 대해 자신 있게 대답할 분들은 많지 않을 것이다.
교회교육에 있어 캠프와 수련회는 연간 교육 프로그램에서 가장 커다란 비중(예산, 시간, 인원)을 차지한다. 캠프(수련회)를 가게 되면 주일날 한두 시간의 제한적 교육시간을 넘어 하루 종일 접촉하고, 친밀한 생활, 자연환경 등과 더불어 기존의 신자 또는 비신자 어린이, 청소년, 청년들과 상담하고 그들을 결신시킬 수 있는 너무나 좋은 기회가 제공된다.
우리 교회 사역자들은 캠프(수련회)를 왜 하는가? 작년에 했으니까? 교회에서 하라고 하니깐? 오랜 전통이니까? 일 년에 한두 번은 밖에 나가야 학생들이 좋아하니까? 이런 식으로 생각하고 행사를 진행한다면 분명한 한계를 가진 캠프와 수련회가 될 수밖에 없다. 왜냐하면 왜 하는지에 대한 철학이 빈곤하게 되면 그것은 목적 없는 캠프(수련회)로 귀결되며, 나아가 주제와 아무 상관없는 강사와 프로그램이 배치되어 참가자들에게 혼란만 야기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