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풍수지리
· ISBN : 9791190658096
· 쪽수 : 572쪽
· 출판일 : 2020-07-31
책 소개
목차
제1편 ━ 답산 기본이론
제1장 주요 용어 설명
오악삼성(五嶽三星)
상혈과 상룡
타탕(拖湯)과 파조(擺燥)
‘5다’ 원칙
용맥의 오소(五素)
양택 3간법
자기안(自己案)
익(翼)
곡맥(曲脈)
재혈
제2장 용(龍)을 읽는 기술
산은 가는 산이 있고 멈추는 산이 있다
산의 완급을 보면 진행 방향을 알 수 있다
안산을 보고도 주룡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산이 마무리하는 형태에 따라 혈장의 품격이 달라진다
정룡보다는 편룡이 혈을 잘 맺는다
산은 좌선 또는 우선하면서 ‘J’자 형태로 틀어주어야 혈자리가 생긴다
용의 면배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면을 고려해서 판단하여야 한다
용맥을 추적하려면 맥선을 따라가야 한다
지각, 요도, 요성은 각각 역할이 다르다
회전맥에 걸려 있는 자리는 골짜기보다도 나쁘다
제3장 혈(穴)을 읽는 기술
혈지와 비혈지는 정해져 있다
혈장의 선룡 판단은 선익을 기준으로 한다
우리나라 지형에서의 혈의 사상은 풍수고전에 나온 것과 다르다
일룡수혈이 아니라 일룡일혈의 원칙이 적용된다
봉분의 상태를 보고 묘지 속을 알 수 있다
요도가 보이면 혈이 아니다
경사가 급하면 전순이 생기지 않는다
혈장을 살필 때에는 좌우의 측면에서 눈을 낮추어야 한다
횡룡에는 3가지 형태의 입수혈이 있다
혈의 크기는 사람이 누울 정도에 불과하다
물의 분합은 혈 사상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제4장 재혈(裁穴)의 기술
혈 사상별 재혈 방법이 다르다
와혈과 겸혈은 천장(淺葬)을 하고 유혈과 돌혈은 심장(深葬)을 한다.
제2편 ━ 풍수답산록
제1장 요소별 최우선 답산지
선익 답산지
‘J’자 용맥 답산지
돌혈 답산지
겸혈 답산지
지장정혈 답산지
횡룡입수혈 답산지
제2장 서울·경기북부권
남양주1 / 남양주2 / 고양시
연천군 / 양주시 / 포천시
파주시1 / 파주시2 / 양평군1
양평군2 / 가평군 / 도봉구·의정부
제3장 경기남부권
의왕시·과천시 / 광주시 / 수원시·화성시·안산시
용인시1 / 용인시2 / 안성시
성남시 / 여주시 / 시흥시·군포시
제4장 강원·충청권
춘천시 / 청주시 / 충주시·제천시·단양군
공주시·논산시 / 당진시 / 천안시·예산군
음성군·괴산군
제5장 전북·전남권
임실군·장수군·고창군
화순군·고흥군
제6장 대구·경북권
의성군1 / 의성군2 / 의성군3
영천시·군위군 / 봉화군 / 청송군·영양군
상주시·문경시·예천군 / 칠곡군 / 김천시
대구 동구·고령군 / 청도군 / 구미시
경주시1 / 경주시2 / 안동시1
안동시2 / 안동시3 / 영주시1
영주시2
제7장 부산·울산·경남권
창녕군1 / 창녕군2 / 함양군·산청군
의령군·진주시·고성군 / 밀양시·양산시·기장군
합천군1 / 합천군2 / 합천군3
울주군1 / 울주군2 / 울주군3
부록1 : 답산내력
부록2 : 주요 답산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