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육학 일반
· ISBN : 9791190687225
· 쪽수 : 644쪽
· 출판일 : 2022-04-30
책 소개
목차
제1장 교육의 개념적 기초
1. 군자(君子)의 3가지 즐거움(三樂)
2. 피터스(R. S. Peters)의 교육의 개념적 준거
3. 피터즈(R. S. Peters)의 교과의 ‘선험적 정당화’이론
4. 교육의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
5. 평생교육 관련 개념 6. 평생교육제도
7.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이념(평생교육법 제4조)
8. 평생교육의 발전에 공헌한 학자들의 주장
9. 랭그랑(P. Lengrand)의 평생교육에 관한 견해
10. 유네스코(UNESCO) 보고서 ‘학습: 내재된 보물에 제시된 평생교육의 네 가지 기둥
11. 평생교육제도로서의 순환교육
12. 평생교육제도 모형
13. 평생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사회적 배경
14. 현행 「평생교육법」에 의하여 학력이 인정되는 평생교육시설 유형
15. 학교형태 평생교육시설(평생교육법 제31조)
16. 사내대학형태의 평생교육시설(평생교육법 제31조)
제2장 교 육 철 학
1. 교육철학의 연구영역
2. 듀이(J. Dewey)의 교육이론
3. 미국의 현대 교육철학
4. 현대 유럽의 교육철학 5. 포스트모더니즘의 주요 특징
6. 푸코(M. Foucault)가 설명한 근대학교의 특성
7. 가다머(H.G. Gadamer)의 실증주의 비판과 해석학적 순환 옹호
8. 허버마스(J. Habermas)의 도구적 합리성 비판과 의사소통적 합리성 옹호 ·
제3장 서양교육사
1. 세계 교육의 역사
2. 소피스트(Sophist) 교육사상
3. 소크라테스(Socrates)의 교육사상
4. 소크라테스(Socrates)의 산파술
6. 이소크라테스(Isocrates)의 교육사상
7. 크세노폰(Xenophon)
8. 플라톤(Platon)의 교육사상
9.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교육론
10.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의 아크라시아(akrasi a)
11. 서양 중세의 교육
12. 중세 서양 대학교육
13. 르네상스(Renaissance) 시기의 인문주의 교육
14. 종교개혁으로 인한 유럽 교육의 변화
15. 베이컨(F. Bacon)의 우상 비판과 과학적 방법론 옹호
15. 코메니우스(J. Comenius)의 교육사상
16. 18세기 서양 계몽주의(Enlightenment) 교육사상
17. 18세기 자연주의(Nat ur al i sm)
18. 루소(J. Rousseau)의 교육사상
19. 루소(J. Rousseau)의 에밀(1762)
20. 바제도우(J. Basedow)의 교육론
21. 페스탈로찌(J. H. Pestalozzi)의 합자연(合自然) 교육방법적 원리
22. 헤르바르트(J. Herbart)의 교육적 공헌
23. 헤르바르트(J. Herbart)의 교수 4단계론
24. 서양 근대 학교제도(공교육 체제)의 형성 배경
제4장 한국교육사
1. 고구려의 학교교육
2. 백제의 교육제도
3. 백제의 박사(博士)제도
4. 발해의 국자감(國子監)
5. 화랑도의 교육
6. 통일신라시대의 국학(國學)
7. 독서삼품출신과(讀書三品出身科, 독서출신과, 독서삼품과)
8.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 인물들의 교육활동
9. 주자(朱子)의 교육관
10. 고려 말 주자학(朱子學)의 도입이 한국 전통교육에 끼친 영향
11. 주자학(朱子學)에서 제시하는 바람직한 공부
12. 고려의 동서학당(東西學堂)과 사부학당(四部學堂)
13. 국자감 교육의 진흥책: 7재(七齋)의 명칭과 그 전공 분야
14. 고려시대 최충의 문헌공도(文憲公徒, 9재학당, 시중최공도)
15. 고려시대의 지눌(知訥)
16. 고려의 서당
17. 조선시대의 서당
18. ‘천자문’의 문제점을 비판하며 만들어진 한자 학습용 교재
19. 고려시대 전문기술 분야의 잡과(雜科)교육
20. 조선시대 전문 기술교육의 잡학(雜學)과 담당 관서 ·
21. 조선시대 성균관의 성적 평가
22. 조선시대 성균관의 원점(圓點)제도
23. 조선시대의 과거제도
24.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삼장제(三場制)
25. 도회(都會)
26. 문묘제(文廟製)
27. 조선시대 성균관의 재회(齋會)
28. 조선시대의 향교
29. 노장사상(도가사상)과 묵가사상
30. 권근(權近)의 권학사목(勸學事目)
31. 권근(權近)의 입학도설(入學圖說)(1390)
32. 조선시대 16세기 사림파 선비를 대표하는 이황, 조식, 이이의 교육사상과 실천
33. 퇴계 이황의 올바른 공부
34. 퇴계 이황(李滉)의 서원(書院) 장려
35. 이이(李珥)의 학교모범(學校模範)
36. 이이(李珥)의 격몽요결(擊蒙要訣)
37. 조선 후기 교육개혁론자 유형원(柳馨遠)
38. 이익의 교육 개혁론
39. 정약용의 교육개혁론
40. 안정복(安鼎福)의 하학지남(下學指南)
41. 이덕무의 사소절(士小節)
42. 조선시대 실학자 최한기(崔漢綺)의 교육론
43. 갑오개혁기에 시행된 주요 교육개혁
44. 갑오개혁기에 나타난 교육계의 변화
45. 개항 이후 우리나라에 등장하기 시작한 신식 학교
46. 육영공원(育英公院)
47. 한국 근대 시기의 초등교육(1895~1945) ·
48. 개화기의 사학
49. 일제강점기 식민지 교육의 특징
50. 을사늑약에서 일제강점 시기에 이르기까지 조선인에 의한 민족교육운동
51. 도산 안창호의 점진학교(漸進學校)
제5장 교육심리학
1. 청소년기의 심리적 발달 특징
2. 플린 효과
3. 상담에서 활용되는 심리검사
4. 다중문화적다원검사체제(SOMPA)
5. 가드너(H.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6. 스턴버그(R.J. Sternberg)의 삼원지능이론
7. 카텔(R. Cattell)의 유동적 지능과 결정성(결정체적, 결정적) 지능
8. 위트킨(H. A. Witkin)의 장독립적 학습자와 비교할 때 장의존적 학습자의 특성
9. 초인지(meta cognition, 메타인지, 상위인지)
10. 창의적 사고기법
11.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4단계 이론
12.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관련 용어
13. 신 피아제(J. Piaget)이론
14. 비고츠키(Lev S. Vygotsky)의 사회적 구성주의
15. 인지발달에 관한 피아제(J. Piaget)와 비고츠키(L. Vygotsky)의 관점 비교
16. 학습 동기이론
17. 교육과 관련된 주요 심리적 현상
18. 에릭슨(E. Erikson)의 심리사회적(인성) 발달이론 ·
19. 마샤(J. Marcia)가 제시한 청소년기의 정체감 상태
20. 콜버그(L. Kohlberg)의 도덕성 발달 단계
21. 프로이드(S. Freud)의 성격 발달 단계
22. 파블로프(I.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3. 스키너(Skinner)의 조작적(능동적,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24. 행동주의 학습 원리
25. 반두라(A. Bandura)의 관찰학습
26. 앳킨슨과 쉬프린(R. Atkinson & R. Shiffrin)의 정보처리 모형
27. ㅤㅋㅞㄹ러(W. Kohler)의 통찰이론
28. 톨만(E. C. Tolman)의 기호형태이론(기호-형태-기대설)
29. 로저스(C. R. Rogers)의 인간주의(인본주의) 학습이론
30. 학습 전이이론
31. 방어기제
제6장 교육사회학
1. 학교교육과 사회의 관계
2. 뒤르껭(E. Durkheim)의 교육사회학적 입장(교육론)
3. 드리븐(R. Dreeben)의 학교사회화 내용
4. 슐츠(T. Schultz)의 인간자본론
5. 교육(학교)과 사회 평등에 대한 3가지 관점
6. 교육평등의 종류
7. 대학입학전형에서 실시하는 기회균형선발제
8. 수직적 불평등과 수평적 불평등
9. 콜만(J. S. Coleman)의 사회자본론(사회적 자본론)
10. 갈등이론
11. 콜린스(R. Collins)의 계층경쟁론(지위집단이론)
12. 보울스와 긴티스(S. Bowles & H. Gintis)의 대응이론
13. 알뛰세(L. Althusser)의 이데올로기적 국가기구
14. 윌리스(P. Willis)의 저항이론
15. 카노이(M. Carnoy)의 종속이론
16. 프레이리(P. Freire)의 문제제기식 교육
17. 교육사회학 이론의 규범적 패러다임과 해석학적 패러다임
18. 상징적 상호작용론
19. 교육과정사회학이론
20. 애플(M. Apple)의 문화적 헤게모니
21. 부르디외(부르디우, P. Bourdieu)의 문화 재생산론
22. 번스타인(B. Bernstein)의 교육과정사회학 이론
23. 왈라스(A. Wallace)의 사회변화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
24. 학력상승 이론[학교(교육)팽창이론]
25. 학업성취 격차와 결정요인
26. 신자유주의 관점에 기초한 교육개혁 ·
27. 탈학교론
28. 생태주의
제7장 교육과정
1.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관점
2. 중앙 집중적 교육과정 개발
3. 지방 분권적 교육과정
4. 학교수준교육과정 개발(SBCD)의 특징
5. 스킬벡(M. Skilbeck)의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모형
6. 교육과정 교육과정의 주요 관점(재개념주의)
7. 보비트(F. Bobbitt)의 교육과정 구성 방법
8. 타일러(R.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합리적 교육과정 개발모형)
9. 타일러(R.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과 워커(D. Walk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비교
10. 타바(H. Taba)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11. 워커(D. Walk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숙의 모형)
12. 백워드(Beckward, 역방향, 후방향) 교육과정 설계 방식
13. 파이너(W. Pinar)의 쿠레레(currere) 방법 4단계 ·
14. 타일러(R. Tyler)와 블룸(B. Bloom)의 교육목표
15. 아이즈너(E.W. Eisner)의 교육목표에 대한 연구
16. 경험중심 교육과정
17. 생성(emerging, 현성형) 교육과정
18. 중핵교육과정
19. 학문중심 교육과정(탐구중심 교육과정)
20. 나선형 교육과정
21. 존 로크(J. Locke)의 형식도야설(능력도야설)
22. 잭슨(P. Jackson)의 잠재적 교육과정
23. 아이즈너(E. Eisner)의 영 교육과정
24. 인본주의 교육과정
25. 1980년대 미국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주지주의 교육으로의 복고 경향
26. 타일러(R. Tyler)가 제시한 학습내용(학습경험) 선정의 일반적 원리
27. 학습경험(학습내용) 조직 원리
28.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적인 절차
28.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의 시기별 특징
제8장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교수-학습지도) ·
1.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의 수업 도입 전략
2. 던킨(M. J. Dunkin)과 비들(J. Biddle)의 교실 내 수업과정 연구모형
3. 콜브(David Kolb)의 네 가지 학습유형
4. 교사의 효과적인 질문 기법
5. 협동학습 모형
6. 토의법의 유형
7. 구성주의 학습
8. 캐롤(J. Carroll)의 학교학습모형
9. 켈러(F. Keller)의 개별화 교수체제(PSI) 모형
10. 크론바흐(Cronbach)와 스노우(Snow)의 적성-처치 상호작용 이론(ATI)
11. 정보 문제 해결과정 Big6 Skills 모형
12. 브루너(J. S. Bruner)의 발견학습이론
13. 오수벨(D. P. Ausubel)의 유의미 수용학습이론(유의미 학습이론)
14. 가네(R. Gagne)의 교수·학습이론(과제분석이론)
15. 켈러(J. Keller)의 학습동기설계 모형(ARCS모형)
16. 라이겔루스(라이거루스, 라이걸루스, C. Reigeluth)의 정교화 교수 이론
17. 메릴(M. D. Me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구인전시이론, CDT)
17. 칙센트미하이(M. Csikszentmihalyi)의 플로우(flow)이론
18. 마이크로 티칭
19. 로빈슨(Francis Robinson)의 학습전략 피큐포알법(PQ4R)
교육공학
1. 교육공학(교수공학)의 연구영역
2. 객관주의 교수설계와 구성주의 교수설계 활동에 대한 단계적 비교 설명
3.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ADDIE 모형)
4. 딕과 캐리(W. Dick, L. Carey, & J. Carey)의 체제적 교수(수업)설계 모형
5. 교육매체연구의 유형
6. 교수매체의 효과성에 관한 논쟁
7. 하인니히(R. Heinich)의 ASSURE모형
8. 컨텐츠 개발의 화면설계 전략
9.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코스웨어의 일반적인 제작 과정
10. 인터넷 활용 수업 모형
11. 컴퓨터보조수업(CAI)의 형태
12. 컴퓨터 시스템
13.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
14. 시각 정보
15. 벌로(D. Berlo)의 SMCR모형(의사소통모형)
16. 쉐논과 슈람(C. Shannon & W. Schramm)의 통신 모형
17. 실물화상기와 투시물환등기(OHP)
18. 하이퍼미디어(Hypermedia) 활용 수업
19. 우리나라의 ICT 교육에 대한 설명
제9장 교육평가 및 통계
교육평가
1. 교육평가 모형
2. 스터플빔(D. L. Stufflebeam)의 CIPP모형
3. 평가기준(평가지향, 평가참조)에 따른 평가 유형
4. 수업 진행 과정에 따른 평가
5. 선다형(선택형) 문항을 제작할 때 유의점
6. 논술형 문항의 제작
7. 수행평가
8. 우리나라의 교원능력개발평가
9. 블룸(B. Bloom)의 인지적 영역 교육목표 분류와 크래쓰월(D. Krathwohl) 등의
정의적 영역 교육목표 분류
10. 표준화 검사와 교사의 제작 검사 ·
11. 검사도구(평가도구)의 양호도
12. 타당도의 유형
13. 신뢰도 추정방법(신뢰도의 종류)
14. 검사도구의 제작과정에서 문항의 문항분석
15. 문항특성곡선
교육통계
1. 집중경향값(집중경향치: 최빈값, 중앙값, 평균)에 대한 특성
2. 변산도(분산도)
3. 점수 또는 순위에 대한 설명
4. 상관계수 해석
제10장 교육행정
1. 교육행정에 대한 관점(교육행정의 정의)
2. 교육행정 이론
3. 허즈버그(F.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
4. 허즈버그(F. Herzberg)의 직무확장이론(직무 풍요화)
5. 맥그리거(D. McGregor)의 X·Y이론
6. 동기부여에 관한 아담스(J. S. Adams)의 공정성 이론
7. 장학지도 유형
8. 피들러(F. Fiedler)의 상황적응이론(상황적합이론, 우연성이론, 우발성이론)
9. 허시(P. Hersey)와 블랜차드(K. H. Blanchard)의 상황적 지도성이론
10. 리더십 대용 상황이론
11. 변혁적 지도성(변형적 지도성)
12. 수퍼 지도성(초우량적 지도성, 자율적 지도성)
12. 서번트 리더십
13. 분산적 지도성
14. 문화적 지도성 ·
15. 써지오바니(T. J. Sergiovanni)의 학교장의 지도성
16. 리커트(R. Likert)의 관리 체제 유형
17. 교육정책 결정모형(의사결정 모형)
18. 교육기획의 접근방법: 인력수요 접근법
19. 교육조직에서의 의사소통 원리
20 호이와 타터(W. K. Hoy & C.J. Tarter)의 참여적 의사결정의 규범(의사결정 모형) ·
21. 칼슨(R. Carlson)의 봉사조직 모형
22. 학교(교육) 조직에 대한 학자들의 설명
23. 홀(R. H. Hall)의 교육조직구조 유형
24. 핼핀(A. Halpin)과 크로프트(D. Croft)의 학교 조직풍토 유형
25. 호이와 미스켈(W. Hoy & C. Miskel)의 학교 조직풍토의 유형(OCDQ-RE)
26. 재미슨(D. Jamieson)과 토마스(K. Thomas)의 갈등해결 모형
27. 교육자치제의 기본원리
28. 현행 우리나라의 지방교육자치제도
29. 교원의 인사행정
30. 교육공무원인 공립학교 교사의 임용
31. 교육공무원의 휴직
32. 교원연수의 유형
33. 교육재정 운영
34. 예산편성 기법
35. 우리나라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제도
36. 우리나라 지방정부의 교육예산(시ㆍ도교육청의 세입 재원)
37. 학교회계의 설치 및 운영
38. 공교육비와 사교육비
39. 학급경영의 원리(방침)
40. 학교경영 관리기법
41. 학교운영위원회
제11장 생활지도 및 상담
1. 생활지도의 주요활동 ·
2. 생활지도의 원리
3. 종합적 학교상담 모형의 특성
4. 상담 면접방법(상담기법) ·
5. 엘리스(Albert Ellis)의 합리적·정서적·행동적 치료이론(REBT)
6. 백(Aaron T. Beck)의 인지치료이론
7. 켈리(G.A. Kelly)의 개인구념(개인구성체)이론
8.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정신분석이론
9.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적 치료
10. 아들러(Alfred Adler)의 개인심리학적 상담
11. 버언(Eric Berne)의 교류분석(의사거래분석, 상호의사거래 분석)
12. 로저스(C. Rogers)는 인간중심 상담이론(내담자중심 상담, 비지시적 상담이론)
13. 실존주의적 상담이론
14. 미누친(Salvador, Minuchin)의 구조적 가족 치료
15. 스키너(B.F. Skinner)의 행동수정이론(학습이론적 접근이론)
16. 웰페(J. Wolpe)의 상호제지이론
17. 글래서(W. Glasser)의 현실주의 상담이론(현실치료이론, 현실요법)
18. 펄스(F. Perls)의 게슈탈트(형태주의) 상담이론(게슈탈트 치료) ·
19. 드 세이져(De shazer)의 해결중심 상담이론
20. 진로 이론(진로 상담이론)
제12장 교사론
1. 교직관
2. 공립 교사의 신분
3. 교직원의 임무
4. 교원의 권리
5. 교원에 대한 예우
6. 국가공무원법상 복무규정
7. 교원단체와 교원노동조합
8. 기간제 교원
9. 우리나라 헌법 제31조 ·
10. 우리나라 교육기본법
제13장 교육연구
1. 가설(Hypothesis)의 유형
2. 교육 연구의 종류
3. 실험연구
4. 문화기술연구
5. 현장연구법
6. 표집방법의 유형
7. 일화기록법
8. 평정의 오류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