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91190820264
· 쪽수 : 267쪽
· 출판일 : 2020-05-21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IB로 미래를 준비하자
1장 대한민국은 좁다! 아이들에게 날개를 달아주자
청소년 학업성취도 세계 최고, 대한민국의 진실
대학 중퇴자 스티브 잡스가 한국에 태어났다면 어땠을까?
사람들이 정시를 원하는 진짜 이유는?
교육부가 뭔가 해주길 기다리지 마라
제프 베조스, 래리 페이지, 일론 머스크의 공통점은?
실리콘밸리형 인재는 가정에서 만들어진다
글로벌 교육의 추세, IB
일본 문부성은 IB 교육을 왜 들여왔을까?
2장 IB는 교육 혁신이다!
IB와 바칼로레아의 본질
비판적·창의적인 사고력을 기른다
IB 초등교과과정을 통해 보는 교육의 의미
글로벌 스탠더드 교육 시스템과 글로벌 기준의 교사 역량 개발
IB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역할
세계 순위권 대학에 입학하려면 IB 점수가 필수다!
대학 입학 후 진정한 학문을 공부할 수 있는 자질이 형성된다
3장 IB 교육으로 행복한 아이들
PYP 교실 들여다보기
PYP 전시회를 통해 배우는 아이들
STEM 교육을 통한 융합교육의 경험
MYP 디자인 과목, 학생들을 사로잡다
MYP 개인 프로젝트
DP 예술 과목
자아를 찾고 사회의 일원으로 성장하는 다양한 CAS 활동
DP 지식론으로 인지사고력의 확장을 경험하다
4장 IB에서는 어떤 것들을 배울까?
DP 교과과정
DP 비교과 코어 과정
MYP 교과과정
MYP 개인 프로젝트
PYP 교과과정
PYP 전시회
교사 기고 국제학교에서 만난 학생들을 말한다
학생 인터뷰 국제학교 학생들이 말한다
부록
IB의 초등·중등·고등교과과정
IB의 10가지 학습자상
IB 교육과정 개요
DP의 6개 과목군 개요
DP 핵심 필수 영역의 주요 특징
DP 핵심 필수 영역의 평가
창의체험봉사활동과 연계된 소논문 주제 및 교과목 예시
지식론과 소논문 평가 기준
DP 학생 개인의 선택에 따른 과목 예시
MYP 개인과 사회 수업 교과목
IB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개인과 사회 과목 학습
MYP 수학 수업 교과목 예시
MYP 과학 수업 교과목 예시
MYP 개인 프로젝트 구성 요소
MYP 개인 프로젝트 보고서 작성 형식
MYP 개인 프로젝트 보고서 길이
MYP 개인 프로젝트 작성 시 출처 자료 평가표
PYP의 초학문적 주제
IB 학습 평가 개념
국내 공식 IB 학교 목록
케임브리지 대학의 전공별 요구사항
옥스퍼드 대학의 전공별 요구사항
일본의 IB 도입 학교 수 추이
책을 마치며 전하는 감사의 말
리뷰
책속에서
우리나라의 많은 훌륭한 교육자들은 교육의 본질은 지식의 습득이 아닌 배움을 통한 성장이라고 말한다. 즉 아이들을 경쟁으로 내몰지 않고 평생학습자로서 갖추어야 할 잠재력과 가능성을 즐겁게 찾아주는 데에 그 목적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과정이 근래 교육계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IB라 말하고 싶다.
다가오는 초인류 시대, 교육의 혁신은 자녀를 키우고 있는 기성세대인 부모의 의식 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가정과 가족이라는 울타리는 학교보다 먼저 자녀들의 교육이 시작되는 곳이다. 아무리 좋은 최신 교육과정과 최고의 강사진을 가지고 있는 학교에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집에 돌아와도, 아이가 삶 속에서 그것을 실천할 수 없다면 죽은 교육이고, 교육과 현실 사이의 괴리감은 지금보다 더욱 커질 것이다. 따라서 다가오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가장 지양해야 하는 교육은 실천 없는 교육, 지식을 습득하기만 하는 결과 중심적인 교육이다.
가끔 창의성 훈련 학원의 간판을 볼 수 있다. 그런데 과연 창의성이 학원에서 배워서 습득할 수 있는 것일까? 학부모라면 진지하게 고민해봐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자라나고 있는 많은 아이들에게 창의성이 부족한 이유로, 먼저 부모 세대의 과잉보호를 언급할 수 있다. 부모의 과잉보호는 자녀들의 두뇌 엔진을 저하시켜 자기 주도 학습을 어렵게 하고 창의성을 억제하게 되는 것이다. 즉 부모가 자녀의 두뇌를 돌리려 하지 말고 자녀 스스로 유의미한 행동이나 몰입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고 기다려줄 수 있어야 한다.
가끔 공부가 재미있다고 말하는 학생들이 있다. 공부에 중독된 학생들은 어떻게 그럴 수 있는 것일까? 공부 중독이라는 것은 일종의 의미 중독이다. 인간이 의미를 만드는 과정은 기존에 자신이 알고 있던 개념과 새로운 경험 사이의 연결 고리를 찾아가는 것이며, 학생 스스로 이 욕구가 생긴다면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