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건강/취미 > 건강정보 > 음식과 건강
· ISBN : 9791191013245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1-05-28
책 소개
목차
감수의 글
시작하며
제1장. 뇌와 장의 로맨스
옛날 옛적에… | 장거리 연애 | 화학적 끌림 | 작은 것은 왜 소중한가 | 쌍방 통행로 | 상황이 안 좋아질 때 | 생각할 거리 | 정신 의학이 당면한 도전 | 이 책의 활용법 | 사람의 뇌로 가는 길
제2장. 우울증: 프로바이오틱스, 오메가3, 지중해식 식이요법
우울증과 장 | 기분을 흐리멍덩하게 만드는 음식 | 좋은 기분을 만드는 음식 | 지중해식 식이요법 | 훌륭한 식사는 만병통치약이다 | 우울증 요약정리
제3장. 불안: 발효 음식, 식이섬유, 트립토판 미신
내 '장'의 불안 | 불안감을 높이는 음식 | 불안감을 줄여 주는 음식 | 내 '장'의 불안 잠재우기 | 불안 요약정리
제4장.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글루탐산염, 블루베리, 오랜 친구인 박테리아
트라우마와 장 | 트라우마를 심화하는 음식 | 안도감을 위한 음식 | 끼니마다 조금씩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법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요약정리
제5장.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글루텐, 우유 카제인, 폴리페놀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와 장 | 집중력을 저하시키는 음식 | 집중력을 위한 음식 | 음식에 집중하기 |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요약정리
제6장. 치매 및 뇌 안개: 새싹 채소, 로즈메리, 마인드 식이요법
장과 기억 | 기억을 약화시키는 음식 | 기억력을 지키기 위한 음식 | 마인드 식이요법 | 마인드 식이요법이 권하는 음식과 최적 섭취량 | 뇌 안개 | 기억력과 장 | 치매 및 뇌 안개 요약정리
제7장. 강박 장애: N-아세틸 시스테인, 글리신, 건강 음식 집착증의 위험성
강박 장애를 앓는 장 | 충동을 부추기는 음식 | 강박을 이겨 내는 음식 및 건강식품 |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들 | 음식을 통해 강박 장애에 맞서기 | 강박 장애 요약정리
제8장. 불면증 및 피로: 캡사이신, 케모마일, 항염 식이요법
잠과 장 | 숙면을 방해하는 음식 | 꿀잠을 돕는 음식 | 피로를 물리치는 음식 | 음식이 곧 에너지다 | 불면증 및 피로 요약정리
제9장. 양극성 장애 및 조현병: L-테아닌, 건강에 좋은 지방, 키토제닉 식이요법
양극성 장애 | 양극성 장 | 양극성 장애를 악화하는 음식 및 식습관 | 정서를 안정시키는 음식 | 조현병 | 조현병을 악화하는 음식 및 식습관 | 현실감을 회복하는 음식 | 심각한 정신병에는 심각한 치료가 필요하다 | 양극성 장애 요약정리 | 조현병 요약정리
제10장. 성 본능: 옥시토신, 호로파, 정력제 신화
흥분 상태와 장 | 욕구를 줄이는 음식 | 정력제 그리고 성 본능을 돋우는 음식 | 성욕 폭발의 날 | 성 본능 요약정리
제11장. 뇌를 위한 요리와 식사
브레인 푸드로 찬장 채우기 | 요리사처럼 주방을 꾸미자! | 메뉴
부록A: 탄수화물별 혈당 부하
부록B: 비타민 및 미네랄이 함유된 식재료
부록C: 항산화 물질과 항산화 지수
감사의 말
참고 문헌
찾아 보기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기반인 뇌와 장의 아주 복잡미묘한 관계와 마찬가지로 식단과 정신 건강 역시 서로 불가분의 관계이며 이 관계는 쌍방향으로 전개된다. 즉 바람직한 식단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가 잦으면 이는 정신 건강 문제로 이어지고 그 결과 망가진 정신 건강이 다시 형편없는 식습관으로 이어지는 식이다. 아무리 많은 약물 및 심리 치료를 해도 영양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우리 사회에서 정신 문제가 늘어나는 상황을 막을 수 없다.
― ‘시작하며’ 중에서
정신 건강에 장내 박테리아가 이토록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이유는 앞서 이야기한 뇌 화학 물질의 상당수가 박테리아에 의해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정상적인 장내 박테리아가 존재하지 않으면 도파민이나 세로토닌, 글루탐산염, 감마 아미노뷰티르산과 같이 우리의 기분과 기억, 주의력 등을 조절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주요 신경 전달 물질의 생성에 타격을 입는다. 정신과 질환의 상당수는 이러한 화학 물질의 부족이나 불균형에 기인하며 대부분의 정신과 약물은 이들의 수준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 ‘제1장. 뇌와 장의 로맨스’ 중에서
장에서 시작된 우울증으로 고생하고 있다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을 회복해 건강한 정신 상태를 되찾을 수도 있지 않을까? 이를 위한 핵심 전략은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 섭취를 늘리는 것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살아 있는 박테리아 상태로 섭취했을 때 건강에 가장 유익하다. 프로바이오틱스가 풍부한 음식은 유익균이 많아 우리 몸과 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제2장. 우울증’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