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91191053388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24-04-3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프롤로그
01. 인사이트 & 디지털 기술
마케팅 맥락에서 인사이트의 의미
설명남이라는 마케터
최근 마케터의 분류
디지털 기술 이야기
빅데이터 출현과 2개의 상이한 반응
사례 1) 중국 스마트폰 사용자 구매 의사 결정 과정 분석
사례 2) UX 분석에 따른 홈페이지 개선 방안 도출
사례 3) 택시 호출 플랫폼 고객 세그멘트 & 리텐션 전략
나가며
02. 혁신 정신
혁신의 시대, 혁신 이미지에 대한 높은 요구
애플의 지향점은 제품 혁신이 아니라 사람들의 경험
가장 최근의 애플 혁신 제품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생각
환경이라는 시대 이슈와 이를 품은 브랜드
사회정의 이슈를 브랜드로 내재화한 사례
사례 1) 애플스토어 혁신성 분석
사례 2) 목적 있는 혁신성을 보여주는 LG전자
03. 브랜드 & 페르소나
수치로 매진하는 마케팅업계
마케터 역량 소진, 소비자의 성가심, 기업 브랜드의 희석
기업체 입장에서 장기적 고민은 브랜드 차별화
브랜드에 대한 고민
스타벅스 브랜드 사례 ① 브랜드 연상
스타벅스 브랜드 사례 ② 브랜드 피라미드
좋은 브랜드의 정의
브랜드 파워의 효용
브랜드 운영, 큰 방향 설정이 중요
카테고리별 브랜드 피라미드 활용법
사례 1) 2017 벤츠 Grow Up 캠페인의 페르소나 분석
사례 2) 2016 헤라 서울리스타 페르소나 분석
사례 3) 2011 캐딜락 페르소나 셋업 작업
마케팅 콘텐츠 기획의 묘미, 페르소나
04. 사회경제적 거시 지표
일하면서 만난 사람 중 가장 부러웠던 이
그 당시, 플래너들 사이 농담
한국의 경제성장과 높아진 소비자 취향으로 마케터 경험치 상승
초기 글로벌 프로젝트 진행
가장 중요한 것은 첫 대면
우리보다 소비문화 발전이 더딘 곳은 우리 마케터에게 유리
사례 1) 2016년 중국 아웃도어 스포츠 브랜드 리론칭 전략
사례 2) 2015년 중국 진출 가전 브랜드-중산층 타깃팅
사례 3) 2021년 한국 자동차 캠페인 기획
시대 변화의 스피드
한국의 변화, 세계의 변화
유행 발신국이 된 한국-마케터에게는 기회
05. 씨줄과 날줄의 교차점, 세대
우리가 아는 주요 세대, XYZ
본격적 마케팅의 사실상 첫 타깃, X세대
벅찬 감동의 밀레니얼, Y세대
글로벌 톱티어, 그러나 양극화된 Z세대
세대론의 원조, 미국
각 국가의 세대는 특수성과 보편성의 조합
중국의 세대론
사례 1) 2019년 글로벌 셀럽 팬덤 활용 전략
사례 2) 2016년 중국 오리온 말차파이 캠페인
한국 타깃을 이해할 때도 마찬가지
중국의 세대 연구 전문 회사, 청년지
06. 사기꾼이 되지 않으려면, 이론
마케팅엔 정답이 없다?
마케팅이란 상황에 맞는 최선의 답을 찾는 지난한 과정
제대로 된 마케터라면 이론과 실전 모두 겸비해야
마케팅 영역에서 시대의 획을 그은 일곱 권의 책
업계에서 배우는 한 수
4분면 매트릭스 활용 마니아
사례 1) 2021년 글로벌 타이어 브랜드, 전기차 타이어 론칭 전략
사례 2) 2021년 미국 MLB 스폰서 캠페인 제안
사례 3) 2021년 지식산업센터 공간 운영 전략
전략은 가능한 대안을 펼친 후 하나로 몰아가는 과정
더욱더 풍부해지는 레퍼런스
프레임이 다양한 마케터를 지향하며
07. 오래된 미래, 체험
마케팅의 핵심 영역으로 부상한 체험
브랜드 관점에서의 체험
업계에서 유명한 체험 마케팅 사례-공익 캠페인
업계에서 유명한 체험 마케팅 사례-브랜드 리바이털
업계에서 유명한 체험 마케팅 사례-패션 화장품 카테고리
체험 마케팅의 영혼의 단짝, 디지털 기술
체험 기획에서 마케터의 역할
사례 1) 2021년 전자제품 리테일 숍 설계
사례 2) 2021년 해외 한국문화원 뉴미디어 아트 체험 기획
고객의 눈높이에서 고민하고 궁리하는 힘
에필로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기술은 마케터의 영역을 늘려준다. 새로운 기술이 나오면 소비자를 둘러싼 환경이 바뀌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세상이 열린다. 이를 활용하는 자는 더 큰 영토를 차지할 것이요, 무시하는 자는 뒤처질 것이다. 특히, 마케팅의 기본기를 잘 갖춘 마케터라면 단순히 살아남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큰 무기를 장착하고 이후의 세상에서 이를 잘 활용하게 될 것이다.
인사이트&디지털 기술
세상에 없던 새로운 생각이 마케터의 가능성을 키워준다. 최근 세상을 움직이는 새로운 생각은 혁신 IT 기업에서 주로 나온다. 하지만 중요한 건 기술 자체가 아니다. 그것이 사람들 삶의 맥락에서 어떤 의미와 가치를 지니는지 해석과 판단이 필요하다.
요즘 마케터라면, 중요한 기술 전시회(CES, IFA, MWC 등)의 화두 정도는 익혀야 한다. 그리고 몇몇 혁신 브랜드(애플, 테슬라 등) CEO의 주요 발표문 정도는 캐치하는 것이 좋다. 각자 맡은 산업 영역에 맞는 혁신에 대한 고민은 물론 각자의 몫이지만, 그렇더라도 한 시대를 가로지르는 주요 개념이 무엇인지는 적어도 파악해야 한다.
혁신 정신
현재의 이커머스 판을 거칠게 요약하면, “싸고 좋은 제품을 많이 만들어서 박리다매라도 하자”인 것 같습니다. 어찌 보면 마케팅에서는 굉장히 초보적인 이야기죠. 처음 진출하는 기업에는 기회가 될 수도 있지만, 진입 장벽이 너무 낮아서 무한경쟁 도돌이표처럼 되지 않을까요?
어느 정도 자리를 잡고 나면 마진을 확보하고 안정적으로 기업을 운영할 수 있어야 하는데, 여전히 가격으로만 계속 승부해야 한다면 사업의 지속성과 성장에 문제가 생기겠지요.
기업체 입장에서 장기적 고민은 브랜드 차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