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반성의 디자인

반성의 디자인

(껍데기를 알맹이로 바꾸는 일상의 기록)

김경란 (지은이)
책책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9개 7,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반성의 디자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반성의 디자인 (껍데기를 알맹이로 바꾸는 일상의 기록)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91075175
· 쪽수 : 184쪽
· 출판일 : 2024-07-02

책 소개

업사이클 디자이너가 펼치는 ‘재재프로젝트’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산문집이다. 흑백필름사진을 찍는 남편의 사진관에서 발생한 인화지 봉투를 가방, 파우치로 업사이클링하게 된 계기와 과정 그리고 디자인 작업을 하면서 나날이 깊어지는 환경적 성찰을 진솔하고 담백한 문장에 담아냈다.

목차

프롤로그

1.엄마가 된 후
나는 엄마
거칠고 아름다운 손
오래된 물건 수집가
오래된 사물 1_ 대나무 이야기
오래된 사물 2_ 소반 이야기
시간을 거스르는 사진가
남겨지는 것
제제상회
수세미 효과

2.반성의 디자인
제제? 재재?
재재프로젝트의 시작
껍데기와 알맹이의 경계
프라이탁
ASMR
기왕 버릴 거라면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니까
코닥
재재의 여행

3.보통의 하루, 새로운 시작
나의 쓰임
최저생계비
옷장의 크기_衣
먹고 사는 일 _ 食
민효진 家_住
갈치구이 뱃속에서 나온 슬라임 파츠
가장 보통의 존재
화면해설가
식물과 함께하는 삶
몸, 섬
산들

Photo Essay_ Cultivating Life & Style
나의 오랜 물건들 ½ 제제상회 ½ 천연 수세미 ½ 대나무 바구니 ½ 재재프로젝트 ½ 인화지 봉투 업사이클링
½ 필름 키링 ½ 재재의 세계 여행 ½ 제철 재료로 먹고 살기 ½ 집을 짓다 ½ 산들 프로젝트

저자소개

김경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1년 봄. 하고 많은 생물 중에 나는 왜 하필 인간으로 태어났을까? 분명 이유가 있을 텐데 말이다. 40여 년을 살아보니 이제 겨우 조금 알 것 같다. 인생은 곧 자신의 쓸모를 스스로 증명해 나가는 과정일 뿐이라는 것을. 엄마가 되면서 나의 두 번째 삶이 시작되었다. 환경오염 속에 살게 될 아이들을 위해 그리고 지나온 삶에 대한 반성의 마음을 담아, 쓰레기를 주워 가방을 만들기로 했다. 한편으로 나의 쓰임을 증명하기 위해 생각을 다듬어 글을 쓰고, 주변을 단정하게 정돈하고, 작게 일군 땅에다 식물을 심기로 했다. @enia20@jeje_project_kr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은, 내가 엄마가 되지 않았다면 결코 시작하지 않았을 일들과 엄마로서 느끼는 무거운 책임감 그리고 엄마의 역할을 다하고 난 후 다시 나 개인의 쓸모를 찾아가는 여정에 관한 이야 기이다. 이 세상 모든 생물에게는 태어나는 순간부터 유한한 시간이 주어지고, 산다는 것은 아마도 그 유한한 시간 속에서 끊임없이 나의 쓰임을 증명해 나가는 것이 아닐는지.


발 디딜 곳을 잃어가는 북극곰, 플라스틱과 비닐을 삼키며 죽어간 바다생물들의 사진을 보고서도 사태의 심각성을 피부로 느끼지 못했다. 그러다 어느 날, 그리 머지않은 미래에 내아이들이 “엄마, 그때 왜 그렇게 많은 플라스틱을 생산했던 거야? 그것들이 우리의 삶을 이렇게 위협하게 될 줄 정말 몰랐던 거야?”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어떻게 대답할 수 있을까? 뒤늦은 후회만 잔뜩 늘어놓을 것인가? 아니면 도망치듯 그 자리를 피할 것인가? 변변치 않더라도 그 물음에 내놓을 만한 대답이 필요했다. 그리고 그 사건은 제제상회가 재재프로젝트로 바뀌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많이 판매하는 것보다 매달 재료가 버려 지는 만큼만 만들고 재고를 남기지 않는 것이 목표이다. 쓰레 기에 노동력을 더해 더 비싼 쓰레기를 만들지는 말아야 하기에. 오히려 인화지 봉투 수거량이 점차 줄어들자 생산량도 날이 갈수록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사람들은 더 이상 불편한 방법으로 사진을 찍지 않고 필름과 인화지도 언젠가는 우리 곁에서 영영 사라지게 될지 모른다. 프로젝트의 모든 제품은 처음부터 대량생산할 수 없는 핸디캡을 안고 시작했으며, 이 제품을 만날 수 있다는 것은 곧 사진을 인화하여 물리적인 형태로 간직하는 사람이 아직 남아 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