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91104974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4-09-0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 무력감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장. 나와 나의 지긋지긋한 관계
- 은미 씨는 자기를 미워한다
2장. 이 감정은 어디서 생기는 걸까?
- 생각이 감정을 낳는다
돌이킬 수 없다는 생각
감정이 먼저일까 생각이 먼저일까
마음은 비어 있지 않다
나에 대한 감정
3장. 나아질 수 없다는 생각
- 무력감, 가장 고통스러운 감정
무력감은 어떤 느낌일까
공황과 트라우마
감정과 생각이 단절될 때
무력감이라는 수렁
가장 고통스러운 감정
나와의 관계가 파탄 나는 것
무력감을 넘어선 삶
4장. 나는 왜 일어나지 못할까?
- 무기력감, 엑셀과 브레이크를 동시에 밟는다
지나친 각오
무기력의 본질
미루고 자책하다 보면
마지막 수단, 게으름
무기력한 삶에서 해방
5장. 내려놓고 받아들이면 달라질까?
- 공허감, 노력의 끝에 이르렀을 때
내가 나를 바라보는 마음
공허감이라는 종점
두 번째 화살
세 가지 고난
그 어떤 노력도 무용해진 자리에서
6장. 작은 용기가 모든 것을 바꾼다
- 다시 마주한 나
한 단어로 정의하기
블랙홀 같은 감정
수치와 분노
왜 해결이 어려울까
나아짐의 시작
미안함과 고마움
나를 지키는 용기
나가며 | 나는 더 이상 혼자가 아니다
후기 | 이 책을 쓰기까지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에 ‘나를 아끼고 사랑하자.’ ‘우울하고 무기력해도 괜찮다. 나를 이해하고 존중하자.’ 같은 말은 결코 쓰지 않았다. 이 다짐들이 잘못되어서가 아니라, 억지로 노력한다고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이다. 배고픈 사람이 배가 고프지 않다고 아무리 생각해 봐야 배고픔은 가시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나를 아끼고 사랑하자.’라고 아무리 생각해 봐도 실제로 그렇게 느끼지 않는다면, 그 결과는 더욱 공허해질 뿐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다짐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이런 감정에 닿을 수 있는가이다.
- ‘들어가며’에서
우울감은 어떤 생각에 대한 감정일까? 상실에 대한 소감이다. 가지고 있던 소중한 것을 잃어 버렸다는 생각에 대한 소감이다. 그 대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귀중한 물건일 수도 있고 가까운 가족이나 친구 등 관계의 상실일 수도 있다. 신념이나 자기에 대한 믿음, 자신감, 자존감 등 무형의 상실도 우울감의 주요한 원인이다.
- ‘2장 이 감정은 어디서 생기는 걸까?’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