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복지학
· ISBN : 9791191109429
· 쪽수 : 430쪽
· 출판일 : 2022-12-20
책 소개
목차
PART 1 장애인복지의 총론적 이해
Chapter 01 장애와 장애인복지 개요
1. 장애의 개념과 범주
2. 장애인복지의 이념과 특성
Chapter 02 장애인복지의 이론과 관점
1. 정상화와 사회적 역할 강화
2. 재활모델과 자립생활모델
3. 장애인당사자주의
4. 장애인복지의 관점
Chapter 03 장애인복지의 역사
1. 서구 장애인복지의 역사
2. 우리나라 장애인복지의 역사
CHAPTER 04 장애에 대한 이해
1. 장애 판정 및 등록제도
2. 장애 유형별 이해
3. 장애 이해와 인식 증진
4. 장애인의 생활 실태
PART 2 장애인복지 실천과 정책의 이해
Chapter 05 장애에 대한 생애주기 접근
1. 생애주기 접근의 개념
2. 생애주기별 특성과 주요 서비스
3. 장애인 가족과 생애주기
Chapter 06 장애인복지서비스와 실천방법 및 기술
1.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특성
2. 장애 유형별 장애인복지서비스
3. 개인과 환경에 대한 사정
4. 개인 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5. 집단 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6. 지역사회 차원의 장애인복지실천
Chapter 07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1.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개념 및 원칙
2. 장애인복지서비스 전달체계 현황3. 우리나라 장애인복지 전달체계의 제한점
4. 장애인복지 전달체계 향후 개편 방안
Chapter 08 장애인복지정책과 관련법
1. 장애인 관련법 체계의 이해
2. 장애인 정책과 관련법
Chapter 09 장애인복지시설 및 기관
1. 장애인 거주시설
2. 장애인 지역사회재활시설
3. 장애인 직업재활시설
4. 장애인 의료재활시설
5. 장애인생산품 판매시설
6. 장애인 쉼터
7. 장애인권익옹호기관
8. 장애인자립생활지원센터
PART 3 장애인복지의 핵심 이슈와 과제의 이해
Chapter 10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 Ⅰ
1. 장애와 고령화
2. 장애와 성
3. 장애와 여성
4. 장애와 다문화
Chapter 11 장애인복지 핵심 이슈 Ⅱ
1. 당사자주의와 전문가주의
2. 장애와 인권
3. 권익옹호와 성년후견
4. 보편적 디자인과 보조공학
5. 장애인의 여가생활
Chapter 12 장애인운동의 동향과 과제
1. 국제 장애인운동의 동향과 과제
2. 우리나라 장애인운동의 동향과 과제
Chapter 13 한국 장애인복지 실천현장의 과제
1. 장애 패러다임 변화와 조응
2. 장애민감성과 인권 기반의 강화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