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유엔 장애인 권리협약 해설

유엔 장애인 권리협약 해설

(복지에서 인권으로)

김형식, 우주형, 권오용, 유경민, 권순지, 박규영 (지은이)
어가
1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0% 0원
180원
17,820원 >
18,000원 -0% 0원
0원
18,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8,000원 -10% 900원 15,300원 >

책 이미지

유엔 장애인 권리협약 해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유엔 장애인 권리협약 해설 (복지에서 인권으로)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인권문제
· ISBN : 9791187971764
· 쪽수 : 384쪽
· 출판일 : 2019-10-25

책 소개

유엔 장애인 권리협약은 새로운 국제 인권법이 아니라 인권을 근본적인 정치이념으로 인정하는 전 세계의 흐름과 맥을 같이한다. 이 권리협약을 통해 장애인들도 편견과 차별의 굴레에서 벗어나 사회적 약자가 아닌 시민으로서 헌법이 보장하는 권리를 누릴 수 있어야 한다.

목차

제1장 인권기반의 장애 개념
 
1. 협약의 채택 필요성과 과정
1) 장애인권리협약 채택의 역사적 배경
2) UN CRPD의 채택 배경: 세계적인 빈곤 장애인

2. 권리협약의 인권기반
1) 장애 권리기반을 지지하는 네 가지 요소

제2장 사회복지와 인권 : 실천적 접목의 과제
 
1. 서론: 사회복지 인권 실천의 맥락적 이해
2. 사회복지의 가치 기반과 인권
3. 인권의 3세대와 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4. 결론: 실천을 위하여
 
제3장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심층적 논의
자유권 협약(ICCR) 기반 권리 조항(1조~23, 29조)

 
서론
| 제1조 목적
| 제2조 여려 개념의 정의
| 제3조 협약의 원칙
| 제4조 일반 의무
| 제5조 평등과 차별금지
| 제6조 장애여성
| 제7조 장애아동
| 제8조 장애인식 개선
| 제9조 접근성의 권리
| 제10조 생명권
| 제11조 위험 상황과 인도적 차원의 긴급사태
| 제12조 동등한(평등한) 법적 권한 인정
| 제13조 사법에 대한 접근
| 제14조 신체의 자유 및 안전
| 제15조 고문 또는 잔혹한, 비인도적이거나 굴욕적인 대우나 처벌로부터의 자유
| 제16조 착취, 폭력 및 학대로부터의 자유
| 제17조 개인의 존엄성 보호
| 제18조 이주 및 국적의 자유
| 제19조 독립생활과 지역사회 통합
| 제20조 개인의 이동성
| 제21조 의사 및 표현의 자유와 장보 접근권
| 제22조 사생활의 존중
| 제23조 가정과 가족에 대한 존중
| 제29조 정치 및 공적 생활에 대한 참여

제4장 유엔장애인권리협약의 심층적 논의
사회권 협약(ESEC) 기반 권리 조항(24조~33조)

 
| 제24조 교육
| 제25조 건강
| 제26조 가활 및 재활
| 제27조 노동 및 고용
| 제28조 적절한 생활수준과 사회적 보호
| 제29조 정치 및 공적 생활에 대한 참여
| 제30조 문화생활, 레크리에이션, 여가생활 및 체육활동에 대한 참여
| 제31조 통계와 자료 수집
| 제32조 국제협력
| 제33조 국내적 이행 및 감독

제5장 장애인권리협약을 통한 장애인의 시민적 권리 향상
 
1. 서론
2. 장애인과 ‘시민적 권리’의 개념
3. 장애인의 현실과 ‘시민적 권리’
4. 결론

제6장 한국의 장애인차별금지법

1.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입법 배경
1)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의 필요성
2) 「장애인차별금지법」입법 추진 경과

2.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 의의 및 주요 내용
1) 「장애인차별금지법」제정 의의
2)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주요 내용

3.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른 정책 현황 및 성과
1) 「장애인차별금지법」시행 이후 정책 현황
2) 「장애인차별금지법」개정 흐름과 성과

4. 「장애인차별금지법」의 향후 과제
 
제7장 장애인의 완전 사회통합
 
1. 서론: 문제의 제기

2. 포괄적 통합의 등장

3. ‘포괄적 사회통합’의 이론적 쟁점
1) 사회학적 관점
2) 포괄적 통합의 걸림돌 ‘복지국가’
3) 잠정적 개념 정리와 미래 연구를 제언
 
제8장 정신장애의 심리사회적인 접근과 정신건강복지법, 성년후견제도
 
1. 장애인권리협약과 장애의 사회적 모델에 기초한 심리사회적 장애 개념

2. 심리사회적 장애에 대한 우리나의 법적 정의의 문제

3. 유엔이 평가한 대한민국의 심리사회적 장애인의 차별현실

4. 「정신건강복지법」의 주요 개정 내용 및 문제점
1) 개정의 배경
2) 개정 「정신건강복지법」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5. 성년후견제도와 심리사회적 장애인의 인권
1) 성년후견제도의 도입
2) 장애인권리협약과 성년후견제도
3) 개정 민법의 성년후견제도의 내용
4) 성년후견제도에 의한 장애인의 법적 차별의 내용
5) 우리나의 법원의 성년후견제도 운영실태
6) 성년후견제도의 대안에 대하여
7) 페루의 성년후견제도 개혁
8) 스웨던 이용자 운영 서비스인 정신과 환자를 위한 개인 옴부드 제도
 
제9장 유엔 권리협약에 기반한 「장애인복지법」의 개혁과제
 
1. 유엔이 선포한 ‘세계 장애인의 해’와 「심신장애자복지법」

2. 「장애인복지법」의 역사
1) 1989년 전부개정
2) 1999년 전부개정
3) 2007년 전부개정
4) 2007년 이후 일부개정의 주요 내용들

3. 「장애인복지법」의 법체계상의 지위와 구성

4.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비추어 본 현행 「장애인복지법」의 개혁과제
1) 장애(인) 개념의 사회적 모델 전환에 관하여
2) 장애여성에 관하여
3) 인식 제고에 관하여
4) 착취, 폭력, 학대로부터의 자유
5) 이주 및 국적의 자유
6) 가정과 가족에 대한 존중
7) 적절한 생활수준과 사회적 보호

5. 향후 「장애인복지법」의 방향성의 관하여
 
제10장 유엔의 조약 이행을 위한 메커니즘, 자료수집 및 모니터링에 대한 CRPD의 국제적 기여(아·태 지역의 사례)
 
1. UN의 모니터링 위원회

2. 모니터링 장애당사자의 참여

3. 연구 역량 강화와 법률 전문가와의 연대
1) 협약 이행을 위한 국가전략 수립(National Action Plans/Stratigies)
2) 장애의 주류화: 권리협약이 채택되면서 관심의 대상이 된 주류화에 대한 간략한 논의

참고문헌

부록(부록은 별책으로 www.uhga.co.kr 참고)
부록 1 유엔 장애인에 관한 권리 협약(UNCRPD)
부록 2 2014년 심의를 위한 당사국에 제출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쟁점질의 목록(List of lssues)
부록 3 유엔장애인권리협약 제 1차 국가보고서에 대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최종견해(Concluding Observations)
부록 4 2019년 2, 3차 병합보고서에 대한 유엔장애인권리위원회의 쟁점질의 목록(List of lssues)
부록 5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 비교표(법률-시행령)

저자소개

권오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형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런던 정경대(London School of Economics), 맨체스터 대학 경제사회대학원,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 호주 Monash 대학에서 사회정책(사회정책학박사)을 전공, 호주의 Queensland 대학, Monash 대학, Edith Cowan 대학에서 사회정책 교수로 재직했으며, 중앙대학교 아동복지학과 교수, 홍콩, 미국 테네시 대학 등의 교환교수를 역임, 한국뉴욕주립대학교 석좌교수,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국제협력학과 명예교수, 유엔 장애인권리위원회 한국대표 전문위원(2011-18) 활동(hskimmosman@gmail.com)
펼치기
유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실 연구기획 팀장
펼치기
권순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국장애인개발원 정책연구실 연구기획팀 연구원
펼치기
박규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Guest Professor(2017-2019), 우크라이나 Lviv Polytechnic National University 강사(코이카해외봉사단), 동국대학교(서울), 한반도국제대학원대학교 외래교수 역임, 한국국제협력단(KOICA) 심사위원 활동
펼치기
우주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대학원 법학박사(사회법), 나사렛대학교 휴먼재활학부 교수, (사)한국장애인부모회 자문위원장, 한국장애인개발원 이사, 충청남도인권위원회 제 1기 및 제 2기 위원장(2013-2019), Rl KOREA 정책과서비스분과 위원, 경기도 장애인차별금지 및 인권보장위원회 위원, 충청남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 운영위원장 등 활동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00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