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91191157123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3-11-2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01. 투자유치 ABC
Chapter 01. 투자유치 개요
1. 스타트업, 왜 투자유치가 필요한가?
1) 스타트업 J-커브 모형의 각 성장단계
2) 투자유치 라운드
2. 성공적인 투자유치를 위한 기본준비
1) 투자제안서(IR) 작성 핵심포인트
2) 투자유치 프로세스
3. 스타트업 성장의 가시적인 지표, 마일스톤
Chapter 02. 스타트업 성장을 위한 회사 기초구조 이해
1. 자금조달을 위한 주식회사 설립 절차
2. 정관 작성 시 유의사항
3. 자본금 규모 및 납입 시 주의사항
4. 주주 지분구조, 동업계약서의 중요성
1) 주식의 명의신탁 금지
2) 대표이사, 이사, 감사, 이사회 구성 방법
Chapter 03. 정부정책자금 조달방법
1. 정부정책자금의 필요성과 주요특징 비교
2. 정책자금 대출기관의 특징 및 소개
1)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3) 신용보증기금
4) 기술보증기금
5) 지역신용보증재단
6) IP(지적재산권) 금융
3. 성공적인 자금조달에 도움이 되는 인증
1) 벤처기업 인증
2) ISO·벤처기업·기업부설연구소 인증
3) 이노비즈·메인비즈 인증
4. 알아두면 좋은 정책자금 주요기관 정보
Chapter 04. 정부 R&D 지원사업
1. 중소기업, 왜 R&D를 수행해야 하는가?
2. 기업 성장의 핵심 레퍼런스, 정부 R&D 지원사업
3. 정부 R&D 지원사업 전략 포인트
1) 기술성
2) 사업성
3) 기술개발 역량
4) 정량적 지표
Chapter 05. 투자기관별 특성 비교
1. 엔젤
2. 벤처캐피탈(VC)
3. 일반 금융권
4. 일반 법인(CVC)
5. 사모펀드(PEF)
PART 02. 투자유치 전략
Chapter 01. 스타트업 투자유치 성공 프로세스
1. 국내 투자시장과 스타트업 투자유치 로드맵
2. 초기 스타트업의 기업가치 계산법
1) 프리머니밸류(Pre-money Valuation)
2) 지분율
3) 포스트머니밸류(Post-money Valuation)
3. 투자사들의 기업평가 요소 및 평가 항목
4. NICE 평가정보의 기업평가등급
Chapter 02. 투자심사 핵심포인트와 심사과정
1. 투자심사 핵심포인트
1) 자체 방법론(Consensus)
2) 미래 성장 잠재력
3) 선행 투자 가치와의 비교
4) 투자 시장 상황
2. 투자심의 과정과 투자 실사(Due Diligence)
1) 투심위
2) 예비 투심위
3) 본 투심위
4) 투자 실사 점검 사항
3. 투자유치 진행 시 유의사항
Chapter 03. 스타트업 투자계약서 작성 시 유의사항
1. 다양한 자금조달 유형 비교
2. 채권적 투자,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SAFE
3. 자본적 투자, 보통주, 우선주
4. 상환전환우선주 발행과 인수
5. 투자계약서 작성 시 유의사항 (상환전환우선주 RCPS)
Chapter 04. 투자금 확보를 위한 사업계획서 수립 방법
1. 사업실행을 위한 경영전략 수립
2. 경영전략 수립을 위한 분석 TOOL
1) SWOT분석
2) 3C 분석
3) STP 분석
3. 마케팅 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 TOOL
1) 4P 분석
2) 7P 분석
3) 마케팅 채널
4. 성장단계의 이해 및 자금조달 계획 수립
1) 스타트업 성장단계에 따른 자금조달 계획
2) 스타트업 시리즈 단계별 자금조달 방법
3) 창업 후 5년 간의 자금조달 계획 수립방법
5. 추정재무 작성 방법
1) 추정 재무제표에 대한 이해
2) 추정 재무제표 작성의 기본
6. 투자 성공률 높이는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1) 사업계획서 작성 의의와 목적
2) 사업계획서의 다양한 활용
3) 사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방법
4) 투자자가 외면하는 사업계획서 VS 관심을 가지는 사업계획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본 저서는 스타트업 컨설턴트, 스타트업 경영자, 기업 경영인, 변호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각자의 경험, 지식, 지혜를 스타트업을 시작하려는 창업가에게 공유하고, 그들이 창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지름길을 안내하려는 마음을 담아 저술하였다.
스타트업은 자신의 노하우와 기술을 기반으로 창업하여 성공하겠다는 청사진을 가지고 출발한다. 그러나 모든 스타트업이 성공의 목적지에 도착하는 것은 아니다. 성공이라는 목적지에 도착한 스타트업과 그렇지 못한 스타트업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나열하는 것은 결과론이다. 그러나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출발점에서부터 경영의 기본 원리와 원칙을 갖춘다면 스타트업이 추구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가능성은 높아진다.
TV 프로인 '골목식당'을 보면, 식당을 방문해서 제일 먼저 식당의 청결 상태, 메뉴의 구성, 메뉴의 원가 파악, 그리고 음식의 맛을 본다. 골목식당에 나오는 식당 중 일부는 청결 불량, 선택과 집중이 안 된 메뉴 구성, 원가 계산의 개념이 잡혀 있지 않는 등 식당 경영의 기본 원리와 원칙이 제대로 세워져 있지 않는 곳이 많다. 이처럼, 스타트업 경영자들에게 경영의 기본적인 원리와 원칙에 대한 인식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하였을 때 자신 있게 '그렇다'라고 답할 수 있는 경우는 얼마나 될까?
미국 유명 대학의 MBA를 마친 지인에게 MBA를 통해 무엇을 얻었는지에 대해 질문을 한 적이 있다. 아마도 '경영에 관해 배웠고, 많은 인맥을 만들었다.'라는 답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했다. 그러나 지인의 대답은 예상과 달랐다. "자신감(confidence)을 얻었다. 어렵고 힘든 MBA 과정을 통해 교수들과 학우들로부터 인정을 받으면서 나의 생각과 아이디어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되었다."라고 답변하였다.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경영의 원리와 원칙에 대해 '자신감'을 갖지 못하는 것은 그러한 자신감을 얻을 수 있는 기회를 경험하지 못 하였기 때문이다. 운전자는 안개 속을 운전할 때 앞이 보이지 않아 두려움을 느끼게 된다. 스타트업 창업자의 심정은 앞이 보이지 않는 안개 속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심정과 다를 바가 없다.
무지한 상태에서의 자기중심적인 확신은 성공의 길로 가는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다. 알아야 길이 보이고, 알아야 자신감이 생긴다. 앎을 통한 확신과 자신감을 가져야 경영의 안개를 투시할 수 있다. 스타트업 창업자들 중 자기 확신에 치우친 나머지 자신의 회사 사정, 고객, 시장, 경쟁자에 눈을 돌리지 않은 결과 사업의 목적지에 다다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저서는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직면하는 경영의 안개를 잘 통과할 수 있는 길을 제안하려 한다. 스타트업 창업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제품 및 상품화하는데 필요한 사업자금 확보에 가장 큰 신경을 쓴다. 사업자금 확보를 위해서는 사업자금을 제공해 주는 상대방을 설득할 수 있는 사업 청사진을 그려야 하고 구체적인 사업전략을 세워야 한다. 이러한 내용에 대한 제언을 통해 스타트업 창업자의 경영에 대한 두려움의 무게를 덜어주려 한다.
마지막으로 영국 프로축구팀인 맨유를 이끌고 전성기를 만들었던 퍼거슨 감독이 남긴 명언을 소개하려 한다. '우리의 경쟁자는 상대방의 골대를 향해 공을 차지만, 우리는 팬의 가슴을 향해 공을 찬다.'
스타트업 창업자도 어디를 향해 사업의 골을 차야 할지를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즉, 자신들의 고객이 누구인지, 그 고객에게 어떤 유용한 가치를 줄 수 있는지 명확히 해야 한다. 그러한 바탕 위에 새워진 사업전략과 사업계획을 가지고 자신의 스타트업에 적합한 투자처를 찾아야 한다. 본 저서를 통해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성공 사업전략을 세우고 투자처를 찾아 설득하는 길을 찾기 바란다. 그 결과 각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추구하는 목적과 목표의 결실을 얻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