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학 일반
· ISBN : 9791191161083
· 쪽수 : 552쪽
· 출판일 : 2021-03-10
책 소개
목차
I .랑케의 생애
그의 가문과 유년 및 김나지움 시절 / 대학 시절 / 교사 시절부터 본격적인 역사연구 / 교수생활
II. 랑케의 역사작품들
1. 첫 작품과 1830년까지의 작품들
《라틴 및 게르만 민족들의 역사》, 1824 / 《(16·17세기의 오스만인들과 스페인 군주제)》, 1827 / 《세르비아 혁명(세르비아인들과 터키)》, 1829
2. 1830-1849년 시기의 작품들
《역사·정치 잡지》의 편집자 시기: <강대 세력들>, 1833 / <정치대담>, 1836 / 《16·17세기의 로마교황들, 그들의 교회와 국가》, 1834-36 / 《종교개혁
시대의 독일사》, 1839-47
3. 1848년 이후의 작품들
《9권의 프로이센 역사》, 1847-48 / 《근세사의 여러 시기들에 관하여》, 1854 /《16·17세기의 프랑스 역사》, 1852-61 / 《16·17세기의 영국사》, 1859-68
4. 1870년대의 독일사 및 전기 작품들과 《세계사》
① 독일사 작품들
《7년 전쟁의 기원》, 1871 / 《독일 세력과 군주연맹》, 1871 / 《혁명전쟁들의 기원과 시작》, 1875
② 전기적 작품들
《발렌슈타인의 역사》, 1869 / 《하르덴베르크와 프로이센 국가의 역사》, 1877-78
③ 《세계사》, 1881-87 157'
III. 랑케의 역사연구 방법과 서술
1. 문헌학적·비판적 방법
1-1. 문헌비판적 연구의 연원
1-2. 랑케의 문헌학적·비판적 방법
2. 학문이자 예술로서의 역사서술
2-1. 직관적, 예술적 파악
2-2. 문학적 서술과 구성기법
3. 랑케의 객관적 관찰과 서술방법
3-1. 객관적 서술의 연원
3-2. 랑케의 객관적 관찰과 서술방법
IV. 랑케의 역사사상
1. 개체사상
개별적인 것과 일반적인 것과의 관계 / 일반적인 것(보편성)의 우위성 / 개체의 독자성과 결정성 / 최고의 개체로서 보편적인 것 / 연구실제에서의 개체와 보편
2. 진보사상
진보사상의 연원 / 랑케의 진보관: 직선적, 전반적 진보에 대한 부정 / 계속 형성과 발전으로서 역사진행
3.역사의 연속성
역사학적 과제로서 연속성의 파악 / 역사적 발전과 연관관계로서의 연속성 / 역사 서술의 전제조건으로서 연속성 인식
4.혁명론
네덜란드와 세르비아 혁명 / 종교개혁과 영국혁명 / 북아메리카 혁명과 프랑스 혁명 / 혁명에 대한 랑케의 이중적 해석
V. 랑케의 역사의 운반자들
1. 랑케의 국가관
랑케의 정치사 서술/근대 국가들의 형성과 민족성의 역사적 기능/국가와 민족 / 국가의 권력과 최고의 법칙; 국가와 권력의 동일화 / 권력의 도덕성과 국가 최고의 과제·생명력·가장 고귀한 노력 / 국가권력의 역사화와 합리화
2. 랑케의 종교관
다신교와 일신교 / 보편종교로서의 기독교 / 교회와 국가의 분리 / 교권과 제권의 대립 및 교권체제 / 종교와 교회의 역사적, 현실적 과제
3. 랑케의 문화관
역사의 시작과 문화:문화와 문화세계/문화의 역사적 기능; 민족과 국가 및 종교와 교회에 대한 문화의 관계/랑케와 칸트의 문화개념 / 문화사적 역사서술의 연원과 랑케의 위치
VI. 보편사적 역사가로서 랑케
1. 세계사의 개념과 서술의 문제점
2. 랑케의 보편사적 《세계사》
2-1. 랑케의 보편사적 관찰과 서술의 이론과 방법
2-2. 랑케의 보편사적 역사 사고의 신학적, 철학적 기반
2-3. 《세계사》의 보편사적 의미-랑케에게서 역사의 목표: 목표없는 목적론
맺는 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