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경상계열 > 경영학
· ISBN : 9791191184990
· 쪽수 : 262쪽
· 출판일 : 2024-07-26
책 소개
목차
개정판을 출간하며 • 4
초판 머리말 • 6
제1장 결품과 과잉재고 • 15
1.1 재고의 서로 다른 모습 • 16
1.2 재고의 득과 실 • 19
1.3 결품과 과잉재고 • 21
1.4 유통상품의 결품과 과잉재고 • 23
1.5 공장 완제품의 결품과 과잉재고 • 27
1.6 비축자재의 결품과 과잉재고 • 31
1.7 결품을 제거하면 이익은 5배 이상 늘어난다 • 35
1.8 결품과 과잉재고를 동시에 줄이는 적정재고 • 39
제2장 재고관리의 접근 방향 • 43
2.1 재고관리, 무엇이 과제인가? • 44
2.2 ‘재고의 딜레마’를 해소하자 • 48
2.3 수요예측에 매달리지 않는다 • 51
2.4 ‘재고회전율’은 해결책이 아니라 목표에 불과하다 • 55
2.5 ‘재고의 딜레마’를 해소하는 보충시스템 • 57
2.6 현업의 재고보충 제도들 • 60
2.7보충시스템은 공급사슬경영(SCM)을 운영한다 • 63
2.8 보충시스템은 ERP를 살린다 • 69
제3장 보충시스템의 이해 • 75
3.1 보충시스템이란 무엇인가? • 76
3.2 목표재고시스템 • 80
3.3 목표재고시스템은 판매-유통-생산-구매를 연결시킨다 • 85
3.4 목표재고시스템은 끌어당기기이다 • 91
3.5 주문점시스템 • 94
3.6 주문점시스템은 밀어내기이다 • 99
3.7 어느 보충시스템을 사용할 것인가? • 102
제4장 보충시스템의 설계 • 107
4.1 보충기간이 중요하다 • 108
4.2 목표재고를 설정한다 • 113
4.3 목표재고를 보충기간 단축으로 낮춘다 • 119
4.4 보충기간 단축 방법 • 123
4.5 서비스수준과 안전재고 • 127
4.6 통합관리로 안전재고를 줄인다 • 130
4.7 ‘재고의 딜레마’가 해소된다 • 134
4.8 주문점시스템의 설계 • 136
제5장 보충시스템의 운영 • 141
5.1 목표재고를 조정한다 • 142
5.2 시스템을 운영하는 버퍼관리 • 146
5.3 버퍼관리 예제 • 150
5.4 동적버퍼관리 • 154
5.5 동적버퍼관리의 실행 • 157
5.6 동적버퍼관리 실무 프로세스 • 161
5.7 공급리드타임이 긴 경우의 버퍼관리 • 164
5.8 창고재고와 가용재고의 합동 버퍼관리 • 170
5.9 주문점시스템의 버퍼관리 • 174
5.10 보충시스템의 성과지표 • 178
제6장 보충시스템의 활용 • 185
6.1 공급사슬경영(SCM)에서 목표재고시스템의 역할 • 186
6.2 유통업의 목표재고시스템 활용 • 189
6.3 유통업의 목표재고시스템 적용 효과 • 194
6.4 제조업에서 목표재고시스템의 역할 • 199
6.5 MRP와 목표재고시스템의 결합 • 203
6.6 주문생산에서 보충시스템의 활용 • 209
6.7 비축생산의 딜레마 • 212
6.8 비축생산에서 가용생산으로 • 216
6.9 가용생산의 구현 • 220
제7장 보충시스템 활용 사례 • 225
7.1 공급사슬경영(SCM)의 활용 사례 • 226
7.2 가용생산(MTA) 구축 사례 • 237
7.3 주문생산(MTO)과 가용생산(MTA)의 동시적용 사례 •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