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씨책] 디지털 머니](/img_thumb2/9791191192391.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화폐/금융/재정
· ISBN : 9791191192391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21-1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4
1장 돈의 진화 19
일상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머니 21
돈의 시작 22
금속주화의 시대 23
신용화폐의 탄생 24
지폐와 은행권 25
은행계좌이체 26
신용카드: 외상 장부 27
디지털 머니의 시대 29
2장 엠페사 31
엠페사의 기원 33
엠페사의 성공요인 35
엠페사의 운영 방식 38
다른 나라에서는? 41
3장 알리페이 45
온라인 쇼핑의 성장과 새로운 지불수단의 등장 47
마윈의 성장사 47
알리바바 49
알리페이 53
알리페이의 확장 56
알리파이낸스: 대출서비스 60
위어바오: 투자서비스 61
보험과 은행으로 진출 63
텐센트와의 대결 64
모바일 쇼핑과 모바일 금융 67
중국의 모바일 머니 69
4장 모바일 머니 71
우리나라 온라인 쇼핑의 성장 73
모바일 쇼핑몰 등장하다 73
온라인 쇼핑의 규모와 패턴 75
온라인 결제의 문제점 75
간편결제의 등장 78
IT사업자에서 금융사업자로: 한국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패턴 81
미국의 간편결제 사업자 85
O2O 결제 86
모바일 지갑 88
왜 온라인지급결제시장에 들어오는가? 90
송금의 발전 92
5장 비트코인 95
키프로스 사태 97
나카모토 사토시 98
비트코인은 어떻게 얻는가? 99
비밀 키와 공개 키, 그리고 주소 103
비트코인의 거래 103
기술적인 설명 104
분산화된 합의 메커니즘 108
비잔티움 장군 문제를 해결하다 109
비트코인의 문제점 110
비트코인으로는 예금통화창조가 불가능하다 114
비트코인에 대한 정부의 태도 115
비트코인의 시장현황과 미래 116
6장 비트코인 2.0 : 블록체인 119
● 디지털 머니 121
비트코인은 디지털 머니다 121
다른 디지털 머니들 122
● 리플 RIPPLE 123
국가에 반항하는 비트코인, 국가에 순응하는 리플 123
리플은 디지털 환어음이다 124
정산소가 없는 송금 및 결제시스템 125
리플의 사용 방식 126
게이트웨이는 서부 개척시대의 은행이다 126
리플의 역사 128
거래의 인증을 합의로 하다 130
리플은 국가와 은행에 협조한다 131
XRP라는 화폐도 발행한다 132
비트코인과의 연계 135
신뢰하는 사람 간의 거래 네트워크 136
시장조성자 137
리플의 거래과정 138
보안에 대한 우려 138
리플에 대한 반감 139
금융기관의 반응 140
● 에테리움 140
에테리움(Ethereum)이란? 140
에테리움의 역사 142
가상통화, 에테르 143
에테리움의 작동 방식 144
에테리움계좌 147
에테리움의 응용 148
분산자치조직 149
스마트 재산권 151
스마트 계약 153
스마트 계약의 예 155
스마트 계약에 따른 법의 변화 155
계약의 자동화 156
금융기관에의 응용 157
에테리움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현황 158
● 블록체인 159
블록체인 기술의 혁신성 159
블록체인의 종류 161
블록체인의 장점 162
블록체인 기술의 응용 165
금융기관의 블록체인 도입: 여러 가지 문제점 165
확산에 대한 전망 172
새로운 규제의 필요성 173
블록체인의 생태계 180
블록체인 개발 플랫폼과 API 182
IBM과 MS 183
● 글로벌 은행의 동향 185
글로벌 금융기관의 R3CEV 컨소시엄 185
글로벌 은행들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 186
국내 금융기관들의 블록체인 도입현황 187
7장 전망 191
● 현금 없는 사회 193
그 많던 세종대왕은 다 어디로 갔을까? 193
유럽의 현금 없는 사회 194
● 모바일, 미래의 지갑 196
모바일로 모든 금융을 처리하다 196
이미 은행지점은 줄어들고 있다 198
● 플랫폼, 미래의 은행 199
IT산업에서 먼저 온 플랫폼 비즈니스 199
금융의 요소들이 재조합되다 203
● 디지털 머니로 인한 변화 204
디지털 머니는 단순히 디지털로 돈을 보낸다는 것이 아니다 204
결어 208
참고문헌 211
저자소개
책속에서
돈은 디지털 머니로 가고 있다. 그리고 그 끝자락에 블록체인이 있다.
중국은 서양이 보여 왔던 금속화폐 → 어음/수표 → 지폐 → 신용카드 → 모바일 머니의 경로를 단축하여 지폐 → 모바일 머니로 점프하고 있다. 신용카드는 중국에서 채 꽃을 피우기도 전에 시들 조짐을 보이고 있으며, 오늘날 많은 중국인들은 모바일로 지불하는 것을 매우 편안하고 편리하게 생각한다. - <본문 중에서>
너무도 발달한 신용카드 등 오프라인 결제시스템과 이를 중심으로 하는 규제시스템은 몸에 맞지 않는 옷처럼 모바일 머니의 발전을 억제하고 있다. 모바일 머니가 더 편리할 수 있는데도 규제로 인하여 신용카드 등의 기존결제수단보다 불편하다면 소비자들이 일부러 모바일 머니를 사용하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 <본문 중에서>
비트코인이 정부의 입장에서 달갑지 않은 존재이기는 하지만, 한편으로 보면 그것은 기술의 흐름에 의해서 나타난 현상으로서 앞으로 나타날 화폐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조라고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양면성 때문에 아직 대부분의 정부에서는 비트코인을 화폐로 인정하지 않고 있으나 그렇다고 비트코인 자체를 제거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탄압하고 있지도 않다. 오히려 조심스럽게 시장의 진행을 지켜보는 편이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