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땅울림

땅울림

라남근 (지은이)
기역(ㄱ)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원 -10% 0원
950원
16,150원 >
17,1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710원
15,39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땅울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땅울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9119119999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24-09-11

책 소개

1987년은 항쟁의 역사를 고스란히 간직한 시간이었다. 6월항쟁으로 불리는 민주화를 향한 격변의 시간, 호남 들판에서도 대토지 지주와 소작인들 사이 묵직한 '항쟁'의 드라마가 있었다. 전북 고창군 심원면과 해리면 농민들이 대토지주 삼양사와 벌인 <소작 짓는 땅 되돌려받기 싸움, 소작답양도투쟁>이다.

목차

펴내는글 …… 005

운명의 씨앗
― 엄마의 환호 …… 014
― 저수지 축조 반대 …… 024
― 서막 …… 033
― 발버둥 …… 043
― 지렁이도 꿈틀 …… 052

소작농
― 첫 사람들 …… 061
― 일본기업 주식회사 해원 …… 075
― 해리농장 …… 084
― 삼영염업사 …… 093

김재만
― 가난 대물림 …… 103
― 형제 사촌 …… 112
― 운명 출사표 …… 122
― 길동무 이성규 …… 132

양도투쟁
― 잊혀진 함성 …… 144
― 피맺힌 한 …… 154
― 가톨릭농민회 …… 164
― 삼영사 소작답 양도 추진위원회 구성 …… 173
― 고령대학교 농촌봉사활동 …… 182
― 토지 인도 소송 …… 192
― 고창군농민대회 …… 201
― 서울 상경을 위한 마지막 회의 …… 209

서울 상경
― 1일차(8월 12일), 30인의 선발대 …… 220
― 2일차(8월 13일), 지주와 1차 면담 …… 231
― 3일차(8월 14일), 서울대학교 민족통일 염원제 참가 …… 241
― 4일차(8월 15일), 서울농성장 총회 …… 250
― 5일차(8월 16일), 대학로 경찰과 충돌 …… 257
― 6~7일차(8월17~18일), 공개토론회 …… 265
― 8일차(8월 19일), 동사일보 왜곡보도 시정 농성 …… 274
죽음의 문턱
― 9일차(8월 20일), 삼영사 구사대 농민 폭행 …… 283
― 10일차(8월 21일), 3차 협상과 박종철 군 영화 관람 …… 291
― 11일차(8월 22일), 서울 경기지역 가족협의회 …… 298
― 12일차(8월 23일), 허민성 집 앞 집회 …… 307
― 13일차(8월 24일), 잔혹한 구사대 …… 314
― 14일차(8월 25일), 철야농성 …… 322

치열한 수 싸움
― 15~16일차(8월 26~27일), 5차 협상 그리고 단가 ……330
― 17일차(8월 28일), 정부가 나서 관심을 갖다 …… 336
― 18일차(8월 29일), 장대비 농민의 한숨 …… 342
― 19~20일차(8월30~31일), 6차 협상 물러설 수 없는 결정 …… 350
― 21일차(9월 1일), 고령대학교 방화 살인미수 사건 규탄대회 …… 358

분열
― 22~23일차(9월 2~3일), 고령대학교 명예총장실 점거 …… 367
― 24일차(9월 4일), 대한적십자사 허민성 총재 사무실 점거 …… 376
― 25일차(9월 5일), 7차 협상 문턱도 못 넘고 결렬 …… 384
― 26일차(9월 6일), 7차 협상 …… 392

마지막 결정
― 27일차(9월 7일), 8차 협상 그리고 약정체결 …… 401
― 28일차(9월 8일), 밀실협상 …… 408
― 29일차(9월 9일), 9차 협상 …… 415
― 30일차(9월 10일), 눈물 젖은 합의 서명 …… 424
― 31일차(9월 11일), 007서류가방 ……432
― 32일차(9월 12일), 귀향 …… 440

새로운 세상
― 삼영사 소작답 양도 추진위원회 한국일보에 사과문 게재 …… 450
― 약정서와 합의서 무효화를 위한 소작료 불납 결의 …… 459
― 50년 한을 풀어내다 …… 466
― 새로운 시작 …… 475

에필로그
― 명예 회복을 위한 전주곡 …… 485
― 농민주권 농촌민주화 동학혁명의 완성 …… 493
― 꿈이 있는 사람들 …… 503

저자소개

라남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지주가 된 라남근은, 본래 소작농의 아들이었다. 고창 소작답 양도 투쟁 당시 소작농민과 학생, 시민단체가 함께 점거한 서울 현장 방문 기억을 생생하게 가지고 있다. 1987년이었다. 양도 투쟁의 결과로 소작답 두 필지의 지주가 되었다. ‘고창 소작답 양도투쟁 농민운동 기념탑 건립 위원회’ 상임위원장을 역임했다. 고창군 문인협회 부회장을 역임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함께 일어나 땅의 주인이 되다
땅 짚고 서고, 살고, 그 땅에서 씨앗을 뿌리고 부모 처 자식까지 먹고 살기 위해 대를 이어 경작해오면서도 그러나 땅의 주인이 따로 있었다. 소작농이 운명인 줄만 알고 살았던 사람들이 금평평야의 삼양사 소작농이었다. 나라를 잃었던 백성들이 나라를 되찾는 광복을 맞았다. 토지개혁이 단행되어 농사꾼이 직접 자기 땅에서 농사를 짓게 되었다. 그러나 지주는 토지개혁에서도 빠져나갔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의 36만 원(당시 비행기 8대 가격) 거금을 지원받아 간척하여 소작료를 받았고, 몇백 배 이익도 모자라 민주화운동의 결실인 6·29선언이 되었을 때도 끄덕없이 하늘의 뜻을 거역했다.

김재만 선생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어린 나이에 소작답에 대한 문제의식이 있었다. 중학교 입학을 못 한 것도 소작료 때문에 부모가 돈이 없어서였다고 생각했다. 소작답에 대해 농림부에 진정서를 냈고, 답변서를 가지고 집으로 찾아온 삼양염업사 직원이 무서워 산으로 도망쳤다. “소작답을 짓지 않으면 소작농이 되지 않는다”는 마음으로 농사일을 포기하고 저수지에서 고기잡이를 했다. 고창군청에도 지속적으로 소작답에 대한 문제 제기를 했고, 국회의원이 못한 일을 일개 촌부가 해결하겠다고 하니, 어디에서도 어느 누구도 주목하지 않았다. 농민들도 아예 관심을 두지 않았다. 하지만 김재만 선생은 대한민국 사회에 소작농이 존재한다는 것이 부끄러웠고, 하늘의 뜻도 아니라고 동네 이성규 친구와 소작답 해결방법을 찾기 시작했다. 소작료 거부 투쟁을 주도하며 소작농들을 설득해 나갔다.

1987년 민주화운동이 들불처럼 전국에서 일어났고, 농가에서도 소작료 거부 운동에 동참했다. 고려대학교 문과대 학생들이 해리면·심원면 마을에 농촌봉사활동을 오면서 체계적인 소작답 양도 투쟁 교육을 시켰다. 고창군농민회에서도 힘을 보탰고, 초청인사 강의와 민중궐기대회를 고창읍 거리에서 진행하며 홍보를 전개했다. 궁산마을 수문 앞 제방에서 소작농 150여 명이 1차궐기 대회를 가졌고, 소작농 300농가와 학생 1천여 명, 총1,500여 명이 동호해수욕장에 한데 모여 농활 해단식을 성대하게 가졌다.
본격적으로 소작답 무상양도 투쟁을 시작했다. 소작료 거부 농민들이 정읍법정에 서는 날을 서울 상경 일자로 잡고 상경 투쟁을 시작하여 온갖 고통과 시련을 이겨냈고, 쟁취했다.

고창군 해리면·심원면 농민들의 소작답 양도투쟁기를 소설로 정리했다. 600여 농가는 소작농이란 딱지를 뗐고, 그의 자식들, 부모님들까지 땅의 주인으로 살 수 있었다. 매년 소작료 내던 것을 내지 않아 자식들을 원하는 대로 공부시킬 수 있었고, 소리소문없이 부자가 되었다.
전문 작가 아닌 새내기가 소설로 소작답 양도 투쟁의 역사를 쓰게 되었다. 특히 김재만 선생 살아생전에 공적을 소설로 쓸 수 있어 기쁘고, 역사에 참여했던 600여 소작농가와 모든 분의 행적을 담아낼 수 있어 영광이다. 땅의 주인이 되게 해준 은혜에 보답하는 책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