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뭐 사랑도 있겠고, 인간 고유의 특성 (SF 시집)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3078747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5-11-17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91193078747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5-11-17
책 소개
SF 소설을 주로 출간해 온 허블에서 드디어 펴낸 첫 시집이며, 무엇보다 SF 시집이라는 이름이 붙은 국내 최초의 시집이기도 하다. 별다른 수식이 필요 없을 정도로 저마다 고유한 영토를 구축해 온 시인들이 시적인 것의 특장과 SF성의 접점을 모색한 결과물이 이 한 권에 모였다.
허블에서 펴내는 국내 최초 SF 시집
“우주는 강아지가 산책하는 넓은 운동장
무서운 마음이 들 때마다 나는 그렇게 상상해요”
허블에서 『뭐 사랑도 있겠고, 인간 고유의 특성: SF 시집』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SF 소설을 주로 출간해 온 허블에서 드디어 펴낸 첫 시집이며, 무엇보다 SF 시집이라는 이름이 붙은 국내 최초의 시집이기도 하다. 김혜순, 신해욱, 이제니, 김승일, 김현, 서윤후, 조시현, 최재원, 임유영, 고선경, 유선혜, 한영원. 별다른 수식이 필요 없을 정도로 저마다 고유한 영토를 구축해 온 시인들이 시적인 것의 특장과 SF성의 접점을 모색한 결과물이 이 한 권에 모였다.
특히 이 시집은 시인들 ‘개별 단행본 시집에는 수록되지 않은’ 신작(혹은 문예지 기발표작)으로 구성되어 더욱 특별한데, 이를테면 김혜순 시인이 최근작 『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 이후 처음 선보이는 신작 3편을 이 책에서 처음 만나볼 수 있는 셈이다. 이 SF 시집은 시인들이 저마다 거느리고 있는 시적 언어의 독창성과 SF적인 것이 포개질 때 드러나는 낯섦과 경이의 세계로 빛을 발한다.
그러면서도 입각점은 SF 시‘집’이라는 하나의 집 혹은 흐름에 머문다. 일반적인 앤솔러지의 경우, 여러 작가들의 작품 모음이므로 작가별로 구획하여 순서를 나열하듯 편성하지만, 이 시집에서는 12명 시인의 시편들이 제각기 흩어져, 읽는 독자로 하여금 어떤 시가 누구의 시인지 알 수 없게끔, 그러나 알맞게 조율된 흐름 속에서 SF 시를 감각하게끔 자리를 점한다. 왜냐하면 시집 속에서 개별 시들은 그 앞과 뒤의 시들로, 그 시들의 묘한 연결들로 맥락화되어 별자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종과 개체, 퀴어, 생물성, 변신, 자연, 우주, 무한, 외계, 시간, 타자, 사랑을 아우르는 시편들이 총망라된 이 SF 시집은 흡사 별빛처럼 흩뿌려지면서 한 권의 책으로 깃들어 진동한다.
“직관만이 열어내는 세계가 있으므로,
시인들은 SF 없이도 시를 쓰겠지만,
SF에는 시인들이 필요하다.”
SF 시집이 보여줄 수 있는 가능태
SF와 시라니, 이 둘이 어떻게 맞물릴 수 있을까. 『뭐 사랑도 있겠고, 인간 고유의 특성: SF 시집』은 물론 SF적인 요소 혹은 소재들인 로봇, 인공지능, 외계 행성, 미래 / 괴물, 아포칼립스, 기이한 것-돌연변이, 재앙 / 생물성, 인간적인 것, 비인간, 기후, 생태, 자연 등에 대해 형상화하지만, 강조점은 아무래도 ‘시’에 있다. 인아영 평론가가 시집 해설에서 견실히 짚어나가고 있듯, SF(science fiction)가 과학과 허구의 만남이라는 개념적 모순 속에 있으면서도 보편 법칙에 대한 ‘추론(speculation)’으로 세계를 쌓는다면, SF 시는 ‘직관(intuition)’의 힘을 보여준다. 소설이 논리를 바탕으로 세계를 구축해나간다면, 시는 세계를 즉각적으로 변화시키는 직관의 언어로 돌연 창발한다. 돌출, 번뜩임, 솟구침, 도약, 모호함 속에서 꿰뚫는 듯한 언어. 우리 삶이 어쩌면 대단한 논리나 특별한 인과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불현듯 깨닫게 되는 순간을 마주한다면, 시적 언어가 더 진리에 가깝게 느껴지지 않을까. 이 때문에 돌연 비치는 섬광처럼 “직관만이 열어내는 세계가 있으므로” “SF에는 시인들이 필요”한 것이다.
SF적인 것과 시적인 것이 잘 조응하는 지점은 아마 시간과 존재의 형식일 것이다. 소설은 플롯으로 시간을 설계한다면, “시에서는 언어 자체가 시간의 매개이기 때문”이다. 시는 한 문장만으로도 시간을 지시하고 여러 시간대를 열 수 있다. 시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 영원한 가능태로서의 존재를 다룬다. (관측되기 전까진 여러 상태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양자역학적 사고를 떠올려보라.) 우주의 양상이 비선형적이라는 걸 시는 잘 알고 있고, 그렇기에 우주에 대한 가장 적실한 표현은 어쩌면 ‘은유적’일 수밖에 없는 건 아닌가. 그때 무수한 시공간에서 SF 시는 타자와 만난다. 그러니까 이 역시 가장 시적인 방식으로. 주체성을 허물어뜨리면서, 한데 얽혀서, 사랑의 여러 가지 모양과 역량까지도 보여주면서. “사랑에는 우주적인, 그러니까 인간의 범위를 넘어서는 무언가가 있는 것이 틀림없”기 때문에. 그리고 사랑을 호소하고 표현하는 방식은 “의미를 압도하는 소리와 통제되지 않는 리듬”으로 음악이 되고 물결이 된다. SF적이면서도 시적인 것 사이 쏟아지는 무수한 경이를 경험하고 싶다면, 이 책을 꼭 펼치시길.
“우주는 강아지가 산책하는 넓은 운동장
무서운 마음이 들 때마다 나는 그렇게 상상해요”
허블에서 『뭐 사랑도 있겠고, 인간 고유의 특성: SF 시집』이 출간되었다. 이 책은 SF 소설을 주로 출간해 온 허블에서 드디어 펴낸 첫 시집이며, 무엇보다 SF 시집이라는 이름이 붙은 국내 최초의 시집이기도 하다. 김혜순, 신해욱, 이제니, 김승일, 김현, 서윤후, 조시현, 최재원, 임유영, 고선경, 유선혜, 한영원. 별다른 수식이 필요 없을 정도로 저마다 고유한 영토를 구축해 온 시인들이 시적인 것의 특장과 SF성의 접점을 모색한 결과물이 이 한 권에 모였다.
특히 이 시집은 시인들 ‘개별 단행본 시집에는 수록되지 않은’ 신작(혹은 문예지 기발표작)으로 구성되어 더욱 특별한데, 이를테면 김혜순 시인이 최근작 『싱크로나이즈드 바다 아네모네』 이후 처음 선보이는 신작 3편을 이 책에서 처음 만나볼 수 있는 셈이다. 이 SF 시집은 시인들이 저마다 거느리고 있는 시적 언어의 독창성과 SF적인 것이 포개질 때 드러나는 낯섦과 경이의 세계로 빛을 발한다.
그러면서도 입각점은 SF 시‘집’이라는 하나의 집 혹은 흐름에 머문다. 일반적인 앤솔러지의 경우, 여러 작가들의 작품 모음이므로 작가별로 구획하여 순서를 나열하듯 편성하지만, 이 시집에서는 12명 시인의 시편들이 제각기 흩어져, 읽는 독자로 하여금 어떤 시가 누구의 시인지 알 수 없게끔, 그러나 알맞게 조율된 흐름 속에서 SF 시를 감각하게끔 자리를 점한다. 왜냐하면 시집 속에서 개별 시들은 그 앞과 뒤의 시들로, 그 시들의 묘한 연결들로 맥락화되어 별자리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종과 개체, 퀴어, 생물성, 변신, 자연, 우주, 무한, 외계, 시간, 타자, 사랑을 아우르는 시편들이 총망라된 이 SF 시집은 흡사 별빛처럼 흩뿌려지면서 한 권의 책으로 깃들어 진동한다.
“직관만이 열어내는 세계가 있으므로,
시인들은 SF 없이도 시를 쓰겠지만,
SF에는 시인들이 필요하다.”
SF 시집이 보여줄 수 있는 가능태
SF와 시라니, 이 둘이 어떻게 맞물릴 수 있을까. 『뭐 사랑도 있겠고, 인간 고유의 특성: SF 시집』은 물론 SF적인 요소 혹은 소재들인 로봇, 인공지능, 외계 행성, 미래 / 괴물, 아포칼립스, 기이한 것-돌연변이, 재앙 / 생물성, 인간적인 것, 비인간, 기후, 생태, 자연 등에 대해 형상화하지만, 강조점은 아무래도 ‘시’에 있다. 인아영 평론가가 시집 해설에서 견실히 짚어나가고 있듯, SF(science fiction)가 과학과 허구의 만남이라는 개념적 모순 속에 있으면서도 보편 법칙에 대한 ‘추론(speculation)’으로 세계를 쌓는다면, SF 시는 ‘직관(intuition)’의 힘을 보여준다. 소설이 논리를 바탕으로 세계를 구축해나간다면, 시는 세계를 즉각적으로 변화시키는 직관의 언어로 돌연 창발한다. 돌출, 번뜩임, 솟구침, 도약, 모호함 속에서 꿰뚫는 듯한 언어. 우리 삶이 어쩌면 대단한 논리나 특별한 인과가 없을지도 모른다는 점을 불현듯 깨닫게 되는 순간을 마주한다면, 시적 언어가 더 진리에 가깝게 느껴지지 않을까. 이 때문에 돌연 비치는 섬광처럼 “직관만이 열어내는 세계가 있으므로” “SF에는 시인들이 필요”한 것이다.
SF적인 것과 시적인 것이 잘 조응하는 지점은 아마 시간과 존재의 형식일 것이다. 소설은 플롯으로 시간을 설계한다면, “시에서는 언어 자체가 시간의 매개이기 때문”이다. 시는 한 문장만으로도 시간을 지시하고 여러 시간대를 열 수 있다. 시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 영원한 가능태로서의 존재를 다룬다. (관측되기 전까진 여러 상태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양자역학적 사고를 떠올려보라.) 우주의 양상이 비선형적이라는 걸 시는 잘 알고 있고, 그렇기에 우주에 대한 가장 적실한 표현은 어쩌면 ‘은유적’일 수밖에 없는 건 아닌가. 그때 무수한 시공간에서 SF 시는 타자와 만난다. 그러니까 이 역시 가장 시적인 방식으로. 주체성을 허물어뜨리면서, 한데 얽혀서, 사랑의 여러 가지 모양과 역량까지도 보여주면서. “사랑에는 우주적인, 그러니까 인간의 범위를 넘어서는 무언가가 있는 것이 틀림없”기 때문에. 그리고 사랑을 호소하고 표현하는 방식은 “의미를 압도하는 소리와 통제되지 않는 리듬”으로 음악이 되고 물결이 된다. SF적이면서도 시적인 것 사이 쏟아지는 무수한 경이를 경험하고 싶다면, 이 책을 꼭 펼치시길.
목차
1부
SF | 그 이야기 | 육식 행성 보고 | 사랑과 자유와 평화 | 드론과 결혼하기 | 크런치 | (구)지평선에 | 아포칼립스 | 자기소개서 | 콘솔 | 되기―거울을 바라보는 거울 | 누군가는 무한 호텔이 무한하다는 사실에 호텔을 찾겠지만
2부
모스맨 관찰기 | 결정적인 감염 | 너의 레트로 | 세기말적 의문 | Monster Chamber | 로봇 심장 | 퓨처 로그 | 매일은 조금 일요일 같다 | 세상은 이렇게 끝나는구나. 쿵 소리가 아닌 훌쩍임으로. | 해변에서 | 에밀리의 방 | 되기―잿빛 위의 작은 파랑 | 검은 개에 대한 잡문 | 하얀 사슴
3부
괄호 안에 은총을 하나의 은총을 | 걔와 개 | 얼굴 | 작은보호탑해파리 | 미래에는 누구도 이런 식으로 죄인이 되지 못할 것이다 | 죄인 되기 | 트윈 | 되기―물방울 속의 물방울 | 솥 | 작은 것에 대한 광활한 점 | 넛셸Nutshell | 영원만이 빛나고 있었음을
해설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어? · 인아영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제 시를 낭독할 시간이 다가오는데 까마귀와 사마귀가 내 입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우주가 바깥에 있지 않다는 것을 이 청중들은 알까?
_「에밀리의 방」 부분
내게 속하지 않는 것들로 나를 이루는 소외의 쓰라린 목록. 식별할 수 없는 상실의 목록. 휩쓸리는 고독의 목록. 무차별이다. 평등하다.
_「괄호 안에 은총을 하나의 은총을」 부분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