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재테크/투자 일반
· ISBN : 9791191283679
· 쪽수 : 315쪽
· 출판일 : 2021-08-05
책 소개
목차
prologue
1장 현금흐름 관리 : 계좌 분리와 예산 설계
01 이번 달 들어온 돈으로 다음 달에 쓰기
02 수입계좌와 지출계좌를 분리하라
03 계좌 분리와 실제 현금흐름은 어떻게 일치되는가?
04 소비계좌만 3개가 되어야 하는 이유
05 통장을 텅장으로 만드는 주범
06 고정지출계좌, 비상금계좌, 용돈계좌
07 예산 설계
08 예산 배정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2가지 문제
09 나에게 맞는 가계부 쓰는 방법
10 시나리오별 현금흐름
TIP 신용카드의 소득공제 효과
2장 현금흐름 관리의 첫 번째 리스크 : 인플레이션
01 돈은 얼음이다
02 화폐의 시간가치
03 위험과 수익
04 자산배분의 사례와 시사점
05 주식과 채권
06 종목 고르기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
07 매매 타이밍의 위험을 줄이는 방법
08 최고가 아닌 최선의 선택, 적립식 투자
09 손실을 줄이는 가장 확실한 방법
10 저축 포트폴리오 진단
TIP 펀드 Q & A
3장 현금흐름 관리의 두 번째 리스크 : 소득 상실과 예상치 못한 큰 지출
01 시행착오와 나를 부정해야 했던 혁신
02 위험관리와 보험
03 조기 사망으로 인한 소득 상실의 위험
04 은퇴로 인한 소득 상실의 위험
05 중증질환으로 인한 치료비와 소득 상실의 위험
06 유지가 힘들 만큼 비싸진 보험료
07 갱신보험료 부담이 현실화된 실손의료비보험
08 변액유니버셜보험은 투자형 상품으로 경쟁력이 있을까?
09 종신보험으로 저축의 효과를 볼 수 있을까?
10 박성실 씨의 보험 진단
TIP 보험 Q & A
4장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돈 관리 전략
01 신혼부부의 현금흐름 관리
02 목돈, 어떻게 모을까?
03 사회초년생의 보험 설계
04 저축 목적으로 가입한 종신보험의 다양한 사례들
05 만 원으로 시작하는 펀드 투자
06 계좌 분리와 예산 설계의 실패 사례
TIP 시간에 투자하는 것의 의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경제활동을 시작할 무렵에는 일반적으로 수입이 지출보다 많지만, 주택을 구입하거나 자녀 학자금이 필요할 때쯤 되면 수입보다 지출이 더 많은 시기가 온다. 은퇴 이후에는 일을 해서 버는 돈이 아닌, 그동안 모아놓은 돈으로 삶을 꾸려가야 한다. 이처럼 생애 전반에 걸쳐 필요 이상으로 돈이 많이 나가거나 필요한 만큼 돈이 들어오지 않거나 하는 불일치의 문제가 계속 발생한다.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돈 문제의 근본 원인은 수입과 지출이 발생하는 시기와 금액이 다른 데 있다. 이것을 똑같이 맞춰가는 과정이 바로 현금흐름 관리의 핵심이다.
한 달 생활비가 계속 모자랄 경우 예산 배정을 너무 빠듯하게 했는지, 무리하게 저축을 늘렸는지 각각의 계좌를 보며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예산 배정이 너무 적었다면 어떤 항목에 얼마를 늘려야 할지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예산을 늘려야 한다면 저축투자계좌에서 얼마를 줄여야 할지, 아니면 자산 중 일부를 매도하여 현금화하는 것이 나을지 의사 결정 과정이 비교적 간단해진다. 이처럼 계좌 분리가 되면 현금흐름에 변화 또는 문제가 생겼을때 ‘정확히 진단’하고 스스로 ‘적합한 처방’을 내릴 수 있다. 계좌 분리는 단순히 현금흐름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돈과 관련된 의사 결정을 할 때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구체적인 실행 계획을 만들어주는 도구이기도 하다.
31세인 박성실 씨는 2년 전 연금보험에 가입하여 매월 20만 원씩 납입하고 있다. 가입설계서를 보니 60세부터 매월 40만 원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이를 단순히 ‘납입한 돈의 2배를 받는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물가를 반영해서 60세에 받게 될 40만 원의 실질구매력을 계산해봐야 한다.
박성실 씨가 60세가 되었을 때 첫 달에 받는 40만 원의 연금은 지금 물가로 계산해보면 약 23만 원인 셈이다. 매월 같은 금액의 연금을 받는다고 가정할 경우 70세에 받는 40만 원은 현재가치로 볼 때 약 18만 원의 구매력을 가진다. 연금보험이 노후 생활에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지 알기 위해서는 현재가치로 계산해봐야 한다.
물가 상승에 따른 현재가치와 미래가치의 차이를 이해했다면 이제 이를 자산운용 수익률의 개념으로 이해해보자. 지금 갖고 있는 1,000만 원을 연 5%의 기대수익률로 30년간 운용할 경우 얼마가 될까? 지금 돈 1,000만 원은 현재가치이고 30년 뒤 만들어지는 돈은 미래가치의 개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