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재무제표로 좋은 주식 고르는 법

재무제표로 좋은 주식 고르는 법

(한 권으로 끝내는 재무제표 주식투자 활용법!)

이강연 (지은이)
이레미디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5개 1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재무제표로 좋은 주식 고르는 법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재무제표로 좋은 주식 고르는 법 (한 권으로 끝내는 재무제표 주식투자 활용법!)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91191328974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3-09-10

책 소개

주식투자는 재무제표 공부에서 출발해야 한다! 좋은 기업을 좋은 가격에 사는 것이야말로 투자의 정석이다. 이 책은 재무제표를 보는 법부터 우량기업을 선정하고 적정주가를 구하는 법, PER, PEG, ROE, PBR 등을 활용한 투자전략까지 실전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친절하게 안내한다. 이론뿐 아니라 실전투자에 당장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사업보고서 자료도 많이 인용했다.

목차

서문_주식투자는 재무제표에서 출발한다!

제1부 좋은 주식 고르는 법_재무상태표
SECTION 01 재무상태표 : 기업의 현재를 읽는다
SECTION 02 자기자본 : 재무안정성 판단 기준
SECTION 03 운전자본 : 기업운영 비용
SECTION 04 유동비율 : 중요한 재무분석 지표
SECTION 05 가중평균자본비용 : 투자결정의 기준
SECTION 06 설비투자 : 어떻게 자금조달을 하는가?
SECTION 07 CB, BW : 특수사채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SECTION 08 재고자산 : 분식회계를 점검하다
SECTION 09 개발비 : 어떻게 자산으로 인식하는가?
SECTION 10 영업권 : 이익을 창출하는 무형자산
SECTION 11 자사주 매입 : 기업의 금융행위
SECTION 12 기업분할 : 인적분할 VS 물적분할
SECTION 13 부채비율과 ROE : 비중을 따져라
SECTION 14 매도가능금융자산 : 회계 처리 방법
SECTION 15 사채할인발행차금 : 차금은 왜 발생하는가?
SECTION 16 충당부채 : 미래의 비용화
SECTION 17 미청구공사와 초과청구공사 : 왜 문제가 되나?
SECTION 18 유보율 : 잉여금은 현금이 아니다
SECTION 19 ROA : 얼마나 이익을 낼 것인가?
SECTION 20 PBR : 최악을 대비하는 지표

제2부 좋은 주식 고르는 법_손익계산서
SECTION 21 손익계산서 :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SECTION 22 현금의 순환 : 현금을 어디서 확인하는가?
SECTION 23 매출액 : 손익의 출발점
SECTION 24 증수증익 : 가장 바람직한 조합
SECTION 25 매출원가 : 제조원가 확정이 우선이다
SECTION 26 고정비와 변동비 : 비용의 분류
SECTION 27 손익분기점 : 비용구조가 결정한다
SECTION 28 매출원가 추정 : 비용의 성격별 분류
SECTION 29 영업이익 : 경제적 해자의 근원
SECTION 30 감가상각비 : 가치의 비용화
SECTION 31 영업이익률 :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SECTION 32 영업레버리지 VS 재무레버리지
SECTION 33 지분법 : 재무제표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SECTION 34 대손충당금 설정 : 왜 설정하는가?
SECTION 35 이자보상배율 : 기업의 금융비용 부담능력

제3부 좋은 주식 고르는 법_현금흐름표
SECTION 36 현금흐름표 : 왜 중요한가?
SECTION 37 현금흐름표 작성 : 간접법 VS 직접법
SECTION 38 영업활동현금흐름 : 조정항목의 파악
SECTION 39 운전자본 변동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 변동
SECTION 40 투자활동현금흐름 : 금융자산 투자활동
SECTION 41 투자활동현금흐름 : 설비투자와 감가상각
SECTION 42 잉여현금흐름 : 어떻게 파악하나?
SECTION 43 재무활동현금흐름 : 잉여현금흐름과의 관계
SECTION 44 재무활동현금흐름 : 유무상증자
SECTION 45 현금흐름 : 유형별 분석

제4부 좋은 주식 고르는 법_가치투자전략
SECTION 46 가치와 가격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SECTION 47 PER 신화는 어떻게 만들어졌나?
SECTION 48 PER와 PBR의 동행은 어떤 의미가 있나?
SECTION 49 PEG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SECTION 50 PBR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SECTION 51 워런 버핏은 왜 ROE를 중시하나?
SECTION 52 위험자산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SECTION 53 왜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는가?
SECTION 54 현금흐름할인은 왜 필요한가?
SECTION 55 순자산가치의 의미는 무엇인가?
SECTION 56 리스크란 무엇인가?
SECTION 57 분산투자냐 집중투자냐?
SECTION 58 체계적 위험과 비체계적 위험은 무엇이 다른가?
SECTION 59 ROE는 어떤 지표인가?
SECTION 60 ROE와 PBR은 어떤 관계인가?
SECTION 61 ROE와 스노우볼 관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SECTION 62 EV/EBITDA 지표는 무엇인가?
SECTION 63 환율과 주식시장은 어떻게 연계되어 있나?
SECTION 64 금리와 주식시장은 어떻게 연계되어 있나?
SECTION 65 일드갭은 어떻게 볼 것인가?
SECTION 66 좋은 주식이란 무엇인가?
SECTION 67 경제적 해자란 무엇인가?
SECTION 68 워런 버핏의 가치투자전략이란?
SECTION 69 마법공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SECTION 70 배당투자는 어떻게 할 것인가?

저자소개

이강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졸업 후 쌍용투자증권(현 신한금융투자)에 입사해 국제부·법인영업부를 거쳐 경제연구소에서 기업분석 업무를 담당했고, 서울증권(현 유진투자증권)에서 기업분석 팀장을 역임했다. 30년 가까이 현업에서 기업분석에 매진하면서 주식투자에 있어 재무제표 읽기가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은 그는 블로그를 통해 개인투자자들과 노하우를 공유하기 시작했다. ‘카더라’ 소식통에 쉽게 흔들리는 주식투자자들에게 그의 투자 정보는 유용한 길라잡이가 됐고, 주식투자자들 사이에 입소문이 나면서 그가 운영하는 네이버 파워블로그 ‘포카라의 실전투자’는 증권부문 파워블로그로 선정되기도 했다. 지금도 하루에 수만 명의 투자자가 방문하며 주식투자를 위한 정보를 얻고 있다. 기본적인 재무제표 분석 후 좀 더 깊이 있는 지식과 정보를 요구하는 투자자들을 위해 ‘실전투자클럽’이라는 네이버 카페도 운영하고 있다. 주식 팟캐스트 ‘공든 주식이 무너지랴’를 통해 투자자들과 만나기도 했으며 날마다 깊이 있는 기업분석 정보를 꾸준히 블로그와 카페를 통해 공유하고 있다. 저서로는 《재무제표로 좋은 주식 고르는 법》, 《대한민국 주식투자자를 위한 완벽한 재무제표 읽기》가 있다. 블로그 : http://blog.naver.com/pokara61 카페 : https://cafe.naver.com/pokara80
펼치기

책속에서



대차대조의 원리만 이해하면 재무상태표 공부는 이미 반이나 끝난 것이다. 왼쪽을 차변, 오른쪽을 대변이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도 신경쓸 필요는 없다. 그냥 관행적으로 붙인 말이니 의미는 두지 말자. 만약 왼쪽을 갑순, 오른쪽을 갑돌이라고 이름 붙였다면 갑돌갑순대조표가 될 것이다. 최근에는 대차대조표라는 말은 안 쓰고 재무상태표로 표기한다. 기업의 재무상태를 알 수 있는 표라는 의미이다. 왼쪽과 오른쪽이 일치한다는 구성원리보다 기업의 현재 재무상태가 어떤지를 알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재무학에서는 주주들이 출자한 자기자본이 공돈이 아니며, 부채보다 비용이 더 많이 든다고 결론 내린다. 그렇다면 자기자본 비용보다 부채비용이 훨씬 싸기 때문에 부채를 많이 사용해서 기업을 경영하면 좋을까? 물론 비용면에서 부채를 사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러나 경제가 어려워지고 이익이 나지 않는 상황이 올 수 있다. 경기침체로 적자가 나더라도 이자는 갚아야 한다. 주주들에게 배당을 줄 필요는 없지만, 이자를 갚지 못하면 기업은 신용에 치명적인 상처를 입게 된다. 부채비율이 높은 종목이 경기변동에 취약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적정한 부채 사용은 무방하나 이익률을 높이기 위해 부채비중을 크게 확대하는 것은 좋지 않다. 부채와 자기자본의 균형이 잡힌 기업이 좋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3394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