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기초과학/교양과학
· ISBN : 9791191393972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22-09-2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공생과 공존, 그리고 공유성
1장 공감을 통한 연대
1. 공유성의 기원
2. 이타적 행동의 보편성
3. 공동체와 사기꾼 가리기
4. 언어가 중요한 도구다
5. 공감을 통한 연대
2장 생태계와의 공존과 공유
1. 자연과 문화의 공존
2. 경쟁과 공존
3. 생태계의 일원으로 사는 방법
4. 고비용이 드는 뇌 성장의 비밀
5. 사회적 뇌와 공감 능력
3장 인간 안의 생태계
1. 장내 미생물과 산업화된 사회
2. 마이크로바이옴과 질병
3. 장내 미생물과의 계약 관계
4. 장내 미생물을 우리가 조절할 수 있다
5. 섬유질 섭취가 장내 미생물군을 활성화한다
6. 항생제 내성은 미생물 진화의 결과
4장 인간과 공진화
1. 인간은 독립된 생명체가 아니다
2. 공생 체계의 출현과 진화
3. 공생체 유전자가 자연선택된다
4. 새로운 종으로의 도약
5. 에너지는 미토콘드리아와의 공생 체계에서 얻는다
5장 사회적 인간
1. 문화적 진화 메커니즘
2. 기술의 발달
3. 공감 능력은 성공 전략이다
4. 공동체의 가치 기준
5. 생태계가 건강해야 한다
6장 공유 사회
1. 생태계의 파괴자, 미래의 약탈자
2. 사회적 자본
3. 사회적 인식과 큰 뇌
4. 뇌, 사회성을 결정하다
5. 인간 생존의 조력자
7장 협력 사회
1. 공정함이 사회적 공유의 조건이다
2. 협력적 사회는 자연선택되었다
3. 감시 사회와 공유 사회
4. 사회적 공유지
5. 분산적 공유와 새로운 생산 방식
8장 새로운 공유지의 개척
1. 삶의 허브가 되는 집
2. 교육은 공동체의 중심이다
3. 대학은 지식 공유지가 되어야 한다
4. 네트워크가 새로운 생산 기반이 되다
5. 폐쇄적 길드에서 개방적 공유지로
9장 디지털 공유지
1. 건강에 대한 새로운 전략
2. 웰빙을 위한 조건
3. 디지털 공유지
4. 메타버스의 세계로 가다
5. 디지털 자아와 물리적 자아의 공존
10장 새로운 도시
1. 도시, 거주지가 되다
2. 건강한 도시는 시대적 요청이다
3. 포용 도시로 가는 길
4. 커뮤니티 공유지
5. 도시 설계의 중요성
6. 새로운 도시 계획
정리하며 미래의 공동체 사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삼림헌장은 삼림을 보호하고 생태 자원을 보존하자는 흔한 내용이 아니라 숲과 같은 공유지에서 사람들이 협력적인 생활을 하도록 허용하는 ‘공유화’에 관한 것이며, 공동 자원을 이용하고 관리하는 공유자들의 권리에 관한 것이었다.
_들어가는 글
개인과 공동체는 어떤 관계길래 이러한 성공이 가능한 것일까? 왜 우리는 로빈슨 크루소와 같은 삶, 즉 어느 누구도 강제할 수 없고 완전한 자유를 누리는 삶을 이상적인 생활이라고 하지 않고 그러한 생활에서의 탈출을 갈망하는 것일까? 이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인류의 조상을 거쳐 현재까지 이어진 자연선택의 원리와 과정을 살펴봐야 한다. 진화의 선택 단위는 개체가 아니라 유전자일 가능성이 크다.
_공유성의 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