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주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술 한 잔 시 한 수)

송재소 (옮긴이)
돌베개
33,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350원 -5% 0원
1,650원
29,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8개 27,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주시 일백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주시 일백수 (술 한 잔 시 한 수)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91191438765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22-08-29

책 소개

한국과 중국을 대표하는 주시(酒詩) 100수. 한자 문화를 공유하는 한국과 중국에도 술을 주제로 한 수많은 시가 창작되었다. 한국과 중국의 시인들은 술과 관련한 고사들을 공통으로 차용하되 시인마다 개성 있게 운용하여 시인의 수만큼이나 다양한 시들이 창작되었다.

목차

1부 한국의 주시

1. 취향(醉鄕) [이인로]
[참고] 왕적의 「취향기」
2. 단오일 성 밖에서 느낌이 있어(端午 郭外有感) [이규보]
3. 3월 8일에 족인 채낭중과 크게 취하여 노래 부르다(三月八日 與族人蔡郎中 大醉歌唱) [이규보]
4. 그다음 날 또 짓다(明日又作) [이규보]
5. 속장진주가(續將進酒歌) [이규보]
[참고] 유령의 「주덕송」
[참고] 이한의 「유령해정」
6. 술을 보낸 벗에게 사례하다(謝友人送酒) [이규보]
7. 자질들에게 보이다(示子姪) [이규보]
8. 아들 삼백이 술을 마시기에(兒三百飮酒) [이규보]
9. 우연히 읊다(偶吟) [이규보]
10. 취가행(醉歌行) [이규보]
11. 벗이 술병으로 일어나지 않는 것을 희롱하다(戱友人病酒未起) [이규보]
12. 취수선생을 스스로 묘사하다(自寫醉睡先生) [안치민]
13. 단오(端午) [이제현]
[참고] 굴원의 「어부사」
14. 음주(飮酒) 시 한 수. 백화보, 우덕린과 함께 짓다(飮酒一首 同白和父禹德麟作) [이곡]
15. 만경루(萬景樓) [이달충]
16. 영호루에서 차운하다(暎湖樓次韻) [전록생]
17. 25일을 기한으로 주금(酒禁)이 시작되었는데 술을 전송하는 것이 마치 사람을 전송하는 것과 같아서 헤어질 때 하나는 동쪽으로 가고 하나는 서쪽으로 등을 돌려서 달려간다. 비록 서로 만날 기약이 있어 조석 간에 기다릴 수는 있지만 회포의 언짢음은 말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목은 늙은이는 몹시 가난하여 마치 사람이 사람을 전송할 때와 같이 한갓 말만 해 줄 뿐이니, 국선생(麴先生)은 이 늙은이를 용서할지어다(酒禁限卄五日 送酒如送人 分袂之際 一東一西 背之而走 雖其相逢有期 旦暮可待 然其懷抱之惡 不言可知也 牧翁貧甚 如人送人 徒以言贈 麴先生其恕之) [이색]
18. 또 짓다(又賦) [이색]
19. 도중에(途中) [이색]
20. 술(酒) [이색]
21. 시와 술(詩酒歌) [이색]
22. 아침밥(晨飡) [이색]
23. 취향(醉鄕) [이색]
24. 금주령이 내렸는데 제호 소리가 들리다(國有禁酒之令 聞提胡鳥) [원천석]
25. 산옹을 찾아갔으나 만나지 못하고(尋散翁不遇) [이숭인]
26. 봄날의 시름(春愁) [서거정]
27. 술을 전송하다(送酒) [서거정]
28. 술을 대하고(對酒) [서거정]
29. 취시가(醉時歌) [서거정]
30. 술에 취한 뒤에 동년 노삼에게 장난삼아 지어 주다(醉後戲贈魯同年參) [이승소]
31. 도연명 음주시에 화답하다(和淵明飮酒詩 二十首) [김시습]
32. 주잠(酒箴) [남효온]
[참고] 김시습이 남효온에게 보낸 편지
[참고] 남효온이 답한 편지
33. 혼돈주가(混沌酒歌) [정희량]
34. 술 끊기를 권하며 공석에게 주다(勸止酒 贈公碩) [이행]
35. 홀로 술을 마시며(獨酌) [이행]
36. 홀로 술을 마시며 길게 말하다(獨酌長言) [이행]
37. 이십칠일에 흥양포에서 배를 띄우고 저물녘에 정자에 올라 맘껏 마시다(二十七日 泛興陽浦 晩登亭縱飮) [박은]
38. 크게 취하여 장난삼아 백생(白生)에게 주다(大醉 戲贈白生) [노수신]
39. 우연히 읊다(偶吟) [기대승]
40. 병중에 우연히 읊다(病中偶吟) [정철]
41. 술에 취해 조사강과 금경휴 두 존형(尊兄)에게 바치다(醉呈趙士强琴景休兩尊兄) [김성일]
42. 차운하다(次) [김성일]
43. 허산전이 지은 ‘계주’(戒酒) 시의 운을 차운하다(次山前戒酒韻) [김성일]
44. 취하여 읊다(醉吟) [백대붕]
45. 술을 마주하고 백만리를 부르다(對酒 招白萬里) [정치]
46. 장진주 장곡(將進酒 長曲) [신흠]
47. 정송강 묘를 지나며 느낌이 있어(過鄭松江墓有感) [권필]
[참고] 정철의 「장진주사」
48. 시와 술(詩酒歌) [권필]
49. 아내가 나에게 술 끊기를 권하다(室人勸我止酒) [권필]
50. 윤이성이 약속하고 오지 않다(尹而性有約不來) [권필]
51. 김유옥을 찾아가 음주가를 읊다(過金幼玉飮酒歌) [정온]
52. 어느 곳에서 술을 잊지 못할까(何處難忘酒) [김상헌]
53. 용문산 승려 만익은 소탈한 성품에 술을 좋아하여 매번 실컷 마시고 잔을 권하면서 늘 쇄락한 사람이라고 일컫곤 하였으므로 그를 쇄락선사라고 불렀다. 그런데 오봉 이공이 그에 대해 시를 지었으므로 마침내 이에 차운하여 그에게 선물로 주었다(龍門山僧萬益 通脫嗜酒 每痛飮擧白 輒稱灑落人 以灑落禪師呼之 五峯李公有詩 遂次其韻以贈之) [장유]
54. 음주에 대한 나의 해명(飮酒自解) [장유]
55. 박중열에게(贈朴仲說) [정두경]
56. 장진주(將進酒) [정두경]
[참고] 이익의 「술」
57. 취가행(醉歌行) [정약용]
58. 국화 14절구(菊十四絶句) [신위]

2부 중국의 주시

59. 빈지초연(賓之初筵) [『시경』]
60. 단가행(短歌行) [조조]
61. 음주(飮酒) 제7수 [도연명]
62. 음주(飮酒) 제14수 [도연명]
63. 음주(飮酒) 제20수 [도연명]
64. 술을 끊다(止酒) [도연명]
65. 나의 죽음을 애도하는 시(挽歌詩) [도연명]
[참고] 도연명의 「오류선생전」
66. 취한 후에(醉後) [왕적]
67. 홀로 마시다(獨酌) [왕적]
68. 술집을 지나며(過酒家 五首) [왕적]
[참고] 왕적의 「오두선생전」
69. 양주의 노래(凉州詞) [왕한]
70. 낙양에서 월땅으로 가며(自洛之越) [맹호연]
71. 주인에게 장난삼아 주다(戱贈主人) [맹호연]
72. 안서로 가는 원이를 송별하다(送元二使安西) [왕유]
73. 아내에게(贈內) [이백]
74.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며(月下獨酌) 제1수 [이백]
75.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며(月下獨酌) 제2수 [이백]
76. 달 아래서 홀로 술을 마시며(月下獨酌) 제4수 [이백]
77. 장진주(將進酒) [이백]
78. 친구와 모여 하룻밤을 묵으며(友人會宿) [이백]
79. 술을 마시며 하비서감(賀祕書監)을 추억하다(對酒憶賀監) [이백]
80. 술을 기다려도 오지 않고(待酒不至) [이백]
81. 산속에서 은자와 대작하다(山中與幽人對酌) [이백]
82. 양양가(襄陽歌) [이백]
83. 객중행(客中行) [이백]
84. 술잔을 들고 달에게 묻다(把酒問月) [이백]
85. 왕역양이 술을 마시려 하지 않음을 조롱하다(嘲王歷陽不肯飮酒) [이백]
86. 술 마시는 여덟 신선(飮中八僊歌) [두보]
87. 취시가(醉時歌) [두보]
88. 곡강 2수(曲江二首) [두보]
89. 위팔 처사에게(贈衛八處士) [두보]
90. 손님이 오다(客至) [두보]
91. 높은 곳에 올라(登高) [두보]
92. 성 동쪽 별장에서 잔치하며(宴城東莊) [최민동]
93. 술파는 집(酒肆行) [위응물]
94. 정병조에게(贈鄭兵曹) [한유]
95. 유십구에게 묻다(問劉十九) [백거이]
96. 동쪽 이웃을 부르다(招東鄰) [백거이]
97. 도연명의 시를 본떠 짓다(效陶潛體 十六首) 제8수 [백거이]
98. 도연명의 시를 본떠 짓다(效陶潛體 十六首) 제12수 [백거이]
99. 도연명의 시를 본떠 짓다(效陶潛體 十六首) 제13수 [백거이]
100. 원구에게 술을 권하며(勸酒 寄元九) [백거이]
101. 어느 곳에서 술을 잊지 못할까(何處難忘酒) 제2수 [백거이]
102. 어느 곳에서 술을 잊지 못할까(何處難忘酒) 제4수 [백거이]
103. 늦은 봄날 술을 사다(晩春沽酒) [백거이]
[참고] 백거이의 「주공찬」
104. 법화사 서쪽 정자에서 밤에 술을 마시다(法華寺西亭 夜飮) [유종원]
105. 장진주(將進酒) [이하]
106. 청명(淸明) [두목]
107. 스스로 달래다(自遣) [라은]
108. 술을 권하다(勸酒) [우무릉]
109. 박박주(薄薄酒) [소식]
110. 달밤에 손님과 살구꽃 아래에서 술을 마시다(月夜與客飮酒杏花下) [소식]
111. 장가행(長歌行) [육유]
112. 술을 대하고(對酒) [육유]
113. 강가 누각에서 피리 불고 술 마시고 크게 취하여 짓다(江樓吹笛飮酒 大醉中作) [육유]
114. 자고천(鷓鴣天) [원호문]

부록 중국의 술

백주
1. 백주의 기원과 분류 / 2. 백주의 제조와 저장 / 3. 백주 이야기 / 4. 내가 마신 백주

황주
1. 황주는 어떤 술인가 / 2. 황주의 분류 / 3. 소흥주 / 4. 소흥주 음주기 / 5. 내가 마신 황주

중국의 10대 황주
중국 평주회와 ‘8대 명주’

저자소개

송재소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3년 경북 성주에서 태어났다. 서울대학교 영문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다산 문학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한문학회 회장을 지냈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로 정년을 맞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퇴계학연구원 원장, 실시학사 연구원장이자 다산연구소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다산 정약용의 학문과 문학세계를 알리는 데 오랫동안 힘써 왔고, 우리 한문학을 유려하게 번역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은 책으로 『다산시 연구』, 『한시 미학과 역사적 상상력』, 『한국 한문학의 사상적 지평』, 『주먹바람 돈바람』, 『몸은 곤궁하나 시는 썩지 않네』, 『한국 한시작가 열전』, 『시로 읽는 다산의 생애와 사상』, 『중국 인문 기행』(1-4권), 『당시 일백수』, 『주시 일백수』, 『차시 일백수』, 『인문학의 뿌리로서의 한국한문학』이 있고, 옮긴 책으로 『다산시선』, 『다산의 한평생』, 『역주 목민심서』(공역), 『한국의 차문화 천년』(1-7권, 공역) 등이 있다. 2002년 제3회 다산학술상 대상, 2015년 제5회 벽사학술상, 2023년 제15회 임창순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