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고전漢詩
· ISBN : 9791191440188
· 쪽수 : 382쪽
· 출판일 : 2021-07-20
목차
■ 서언 간행의 변(辯) 4
제1부
고대시가와 향가
■ <공무도하가>의 전승과 의미 17
1. 머리말 17
2. 논의를 위한 예비적 검토 22
3. <공무도하가>의 시적 결구 24
4. 의작(擬作)에 나타난 ‘제호(提瓠)’와 ‘도하(渡河)’의 의미 30
5. 후대 계승 작품의 공무도하 모티프 활용 50
6. 맺음말 59
* 학생들의 감상 61
■ <노인 헌화가> 해석의 한 방법 79
제2부
조선시대 삼대 가인의 삶과 문학
■ <장진주> 계통의 한시와 송강 정철의 <장진주사> 87
1. 머리말 87
2. <장진주> 계열 작품의 전승과 변용 88
3. <장진주사>의 문학사적 위치와 의미 110
4. 한글시가에 투영된 <장진주> 계열 작품의 영향 120
5. 맺음말 123
■ 노계 박인로의 향토 지식인적 성격 125
1. 머리말 125
2. 노계문학을 보는 몇 가지 전제 126
3. 노계에게 있어 문학 활동의 의미 133
4. 노계의 빈궁과 자연과 충효사상 140
5. 노계문학의 전개양상 145
6. 맺음말 149
■ 고산 윤선도 한시에 나타난 자연의 성격 151
1. 머리말 151
2. 고산 한시에서의 자연의 의미 152
3. 고산 한시에서의 자연개념 변화의 동인과 의미 168
4. 맺음말 174
제3부
한시와 시조
■ 정지상의 한시 <송인>과 시조 179
■ 김종서의 시조 <호기가>와 변새시 185
1. 문제 제기 185
2. 변새를 다룬 한시 작품 187
3. 변새를 다룬 시조 작품 193
4. 김종서의 <호기가>의 의미 195
■ 정철의 시조 <재 너머 성권농 집에>와 전통적 음주 199
제4부
한시와 고전시가의 몇 가지 단면
■ 한시와 고전시가에 나타난 결연과 애정 207
1. 머리말 207
2. 옛 노래에 나타난 구애와 사랑 208
3. 한시에 나타난 안타까움과 아쉬움 212
4. 사설시조에 나타난 노골적 정애와 해학 215
5. 조선시대 부부 사랑의 한 전범: 김삼의당의 경우 217
6. 맺음말 229
■ 한시와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 문화 230
1. 머리말 230
2. 술의 공과에 대한 인식 231
3. 의인화를 통한 술의 형상화와 그 의미 232
4. 술 권하는 시가와 그 의미 237
5. 맺음말 243
■ 옛사람의 산수와 산림과 자연 245
1. 산수와 산림과 자연에 대한 인식과 은거 245
2. 산수·산림·자연의 관념성과 규범성 249
3. 산수·산림·자연 속의 탕유와 와유 256
제5부
민요와 옛사람의 생활 ― 울산지방의 경우
■ 모심기노래 가사의 전파와 개작 263
1. 머리말: 민요 가사의 개작과 그 원리 263
2. 모노래 가사에 나타난 창자의 경험과 변용 양상 270
3. 맺음말 : 개작된 모노래 가사의 의미 294
■ 민요에 담긴 여성의 삶 296
1. 민요, 삶의 희로애락을 노래하다 296
2. 민요에 표현된 ‘여자의 일생’이란 무엇인가? 298
3. 민요, 말 못한 가슴속 ‘응어리’는 풀어야 한다 306
제6부
고전시가 연구 단상
■ 고전문학과 지역성 311
1. 머리말 311
2. 지역문학의 경계 설정에 따른 몇 가지 문제 검토 313
3. 지방문학사에서의 고전문학 작품의 기술방법 탐색 ― 울산지방을 예로 하여 ― 327
4. 맺음말 339
■ 한시 번역 방법 342
1. 머리말 342
2. 조선시대의 한시 번역 양상 346
3. 근대 이후의 한시 번역과 인용 양상 354
4. 한시 연구와 한시 번역 ― 한시 번역의 바람직한 방향 탐색 360
5. 맺음말 365
*첨부: 한시 번역의 사례 367
참고문헌(參考文獻) 3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