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장흥 가마 체험기

장흥 가마 체험기

(국가무형문화재 제와장(가마 만드는 장인))

정종남 (지은이)
베네치아북스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1,400원 -5% 2,500원
600원
13,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5,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장흥 가마 체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장흥 가마 체험기 (국가무형문화재 제와장(가마 만드는 장인))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공예/도자
· ISBN : 9791191463057
· 쪽수 : 176쪽
· 출판일 : 2023-01-27

책 소개

한옥 목수인 저자가 김창대 제와장의 가마를 찾아 한반도에서 2천 년 가까이 사용된 기와 제작과정을 자세히 전한다. 건축문화유산 조형미의 완성. 한식 전통 수제 기와의 모든 것을 알게 될 것이다.

목차

■ 서문

chapter Ⅰ. 기와지붕
stage 1. 한옥 지붕 곡선미
episode 1. 아이콘
episode 2. 율동감
stage 2. 기와 + 지붕 장인들
episode 1. 기와 설치하는 사람_ 와공
episode 2. 기와 만드는 사람_ 제와장

chapter Ⅱ. 기와 굽는 가마
stage 1. 국가무형문화재 제와장 가마
episode 1. 숭례문 복원 기와
episode 2. 공인 조선기와제작소
episode 3. 견학
episode 4. 공개행사
stage 2. 가마 복원
episode 1. 기와가 완성되는 곳_ 가마
episode 2. 가마 히스토리
episode 3. 되살린 가마
stage 3. “인간문화재” 제와장들
episode 1. 한형준
episode 2. 김창대

chapter Ⅲ. 기와 만들기
stage 1. 재료 준비_ 흙 가공
episode 1. 흙 채굴 배합
episode 2. 반죽, 벼늘 쌓기
episode 3. 다무락 쌓기
episode 4. 흙 판 만들기
stage 2. 기와 만들기_ 성형
episode 1. 암·수기와 만들기
episode 2. 막새기와 만들기
episode 3. 장식기와
stage 3. 기와 건조
episode 1. 음지 + 양지 건조
episode 2. 낱장 건조

chapter Ⅳ. 기와 굽기
stage 1. 손베이어 벨트
stage 2. 기와 쌓기
episode 1. 불길이 흐르도록
episode 2. 적재법 연구
episode 3. 출입구 막기
stage 3. 불 때기
episode 1. 환골탈태
episode 2. 밀당
episode 3. 가마봉인
episode 4. 땔감
stage 4. 기와 꺼내기
episode 1. 식히기
episode 2. 꺼내기

chapter Ⅴ. 김창대 제와장 Q&A
국가무형문화재 제91호
제와장 기능 보유자

■ 참고도서 목록

저자소개

정종남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옥목수. >한옥목수의 촌집수리>(2021), >시골마을 오래된 건축 뜯어보기>(2022) 발간. 전남 장흥 귀촌, 민가 게스트하우스(나달청) 운영. *전통건축문화 아비지 대표. karan27g@gmail.com *블로그, ‘그집;나한칸 달한칸 청풍한칸’(https://blog.naver.com/karan27n)
펼치기

책속에서

고유한 작업 방식이 대체 불가의 특성을 만든다. 손으로 빚어 흙 가마에 구워 만드는 기와는 자동화 설비로 생산된 것과 차이가 있다. 수제기와는 공장제 기와로 대체된 후 사라졌다가 지금 다시 중요문화재 건물에 공급되고 있다.
전라남도 장흥에 국가무형문화재 제와장 기능보유자 김창대 선생의 전통 가마가 있다. 이곳에서는 숭례문, 창경궁 안의 여러 건물, 종묘 정전 같은 조선시대 대표적인 건축들에 기와를 납품한다. 김창대 제와장의 가마를 찾아 한반도에서 2천 년 가까이 사용된 기와 제작과정을 자세히 전한다. 수백 년 된 건축 문화 유산에 조선기와를 다시 사용하게 된 이유를 알게 된다.
- 서문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