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036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4-30
책 소개
목차
제1장 정보보안과 정보보안 거버넌스······································19
제1절 정보보안·················································20
1. 보안의 개념 / 20
2. 정보의 개념 / 22
3. 정보보안의 개념 / 22
4. 정보보안의 필요성 / 26
제2절 정보보안 거버넌스· ··········································27
1. 정보보안 거버넌스의 개념 / 27
2. 정보보안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 28
3. 정보보안 거버넌스 구현 요건 / 30
4. 정보보안 거버넌스 구축 필요성 / 32
제3절 정보보안 거버넌스 관련 연구·····································34
1. 해외 연구 / 34
2. 국내 연구 / 36
제4절 이 책의 특징 및 내용··········································39
제2장 공공부문 현황 및 공공부문 정보보안의 중요성···························41
제1절 공공부문의 정의·············································41
1. 국민경제의 구성 / 42
2. 공공부문의 개념 / 42
3. 우리나라 공공부문 현황 / 47
4. 준정부조직 / 52
제2절 우리나라 공공부문 인력 및 예산 현황·······························55
1. 정부 / 55
2. 중앙정부 공공기관 / 59
3. 지방 공공기관 / 61
4. 우리나라 공공부문 규모 / 64
제3절 공공부문의 정보보안 중요성· ····································67
1. 시장실패와 정부 / 67
2. 정부실패와 바람직한 정부의 역할 / 67
3. 국가 존립과 국민 보호를 위한 공공부문 정보보안 거버넌스의 중요성 / 68
제3장 정보보안 관련 법체계 및 현황· ·····································71
제1절 국내 정보보안 관련 법체계 개요 및 발전 과정·························· 71
1. 국내 정보보안 관련 법체계 개요 / 71
2. 우리나라 정보보호 법제도 발전 과정 / 73
제2절 정보보호 추진체계 관련 법령·····································82
1.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공공부문 정보보호 추진체계) / 82
2.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민간부문 정보보호 추진체계) / 84
3. 정보통신기반보호법(주요 정보통신기반 정보보호 추진체계) / 86
4.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 87
5. 전자정부법 / 89
6. 전자금융거래법 / 90
7. 중소기업기술 보호 지원에 관한 법률 / 91
8. 의료법 / 92
제3절 정보보호 관련 법·제도의 제정 목적 및 기능별 분류· ·····················92
1. 정보통신망 및 정보 시스템의 안전한 이용 관련 법령 / 93
2. 침해행위의 처벌 관련 법령 / 93
3. 국가기밀 보호 및 중요 정보 해외 유출 방지 관련 법령 / 94
4. 정보보호 여건 구축 관련 법 / 94
5.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령 / 95
제4장 정보보안 관련 주요 기관과 역할···································· 97
제1절 국가기관·················································97
1. 청와대 국가안보실 / 98
2. 국가정보원 / 99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101
4. 행정안전부 / 104
5. 방송통신위원회 / 106
6. 금융위원회 / 107
7. 개인정보보호위원회 / 110
8. 외교부 / 111
제2절 전문기관· ··············································· 111
1. 한국인터넷진흥원 / 112
2. 국가보안기술연구소 / 114
3. 금융보안원 / 116
4. 한국지역정보개발원 / 118
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120
제3절 민간단체· ·············································· 123
1. 협회 / 123
2. 학회 / 126
제5장 우리나라 정보보호 관리체계 및 정보보안 진단 현황 및 실태················129
제1절 정보보호 관리체계 개요· ······································ 130
1. ISMS와 PDCA(Plan, Do, Check, Act) 모델 / 131
2. ISO 27000 시리즈 / 132
3. 국내 표준 / 133
제2절 우리나라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관리체계의 변천사··················· 133
1. 국내 정보보호 관리체계 변천사 / 135
2. 현행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관리체계(ISMS-P)’ 개요 / 138
3. 정보보호 등급제 / 143
제3절 민간부문 정보보호 인증체계 및 공공부문 정보보호 안전진단제도· ············ 147
1. 민간부문 정보보호 인증제도: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 보호 관리체계(ISMS-P) / 147
2. 공공부문 정보보호 안전진단제도: ‘정보보안 관리실태 평가’ / 160
제6장 주요국의 공공부문 정보보안 현황, 실태 및 법체계· ······················ 167
제1절 미국· ·················································· 168
1. 미국의 사이버보안 추진체계 / 168
2. 미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 172
3. 미국의 정보보안 법체계 / 175
4. 시사점 / 178
제2절 영국· ·················································· 179
1. 영국의 사이버보안 추진체계 / 179
2. 영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 184
3. 영국의 정보보안 법체계 / 186
4. 시사점 / 187
제3절 일본· ·················································· 189
1. 일본의 사이버보안 추진체계 / 189
2. 일본의 사이버보안 전략 / 192
3. 일본의 정보보안 법체계 / 193
4. 시사점 / 195
제4절 중국· ·················································· 196
1. 중국의 사이버보안 추진체계 / 196
2. 중국의 사이버보안 전략 / 199
3. 중국의 정보보안 법체계 / 201
4. 시사점 / 205
제5절 독일· ··················································206
1. 독일의 사이버보안 체계 / 206
2. 독일의 사이버보안 전략 / 209
3. 독일의 정보보안 법체계 / 211
4. 시사점 / 212
제7장 공공부문 주요 분야별 정보보안 현황 및 실태···························215
제1절 정부 사이버보안············································ 215
1. 정부 사이버보안 개요 / 215
2. 국가 사이버보안 현황 / 217
3. 관련 기관 및 역할 / 218
4. 정부 사이버보안 관련 법·제도 / 222
제2절 방위산업 보안············································· 225
1. 방위산업 보안 개요 / 225
2. 방위산업 보안 현황 / 226
3. 방위산업 기술 보호 / 227
4. 방위산업 보안 관련 기관 및 역할 / 229
5. 방위산업 관련 법·제도 / 231
제3절 원자력 사이버보안· ········································· 232
1. 원자력 사이버보안 개요 / 232
2. 원자력 사이버보안 현황 / 233
3. 원자력 사이버보안 관련 기관 및 역할 / 236
4. 원자력 사이버 보안 관련 법·제도 / 238
제4절 연구개발(R&D) 보안·········································· 239
1. 연구보안 개요 / 239
2. 연구보안 현황 / 241
3. 연구보안 관련 기관 및 역할 / 243
4. 연구보안 관련 법·제도 / 245
제5절 금융보안· ···············································248
1. 금융보안 개요 / 248
2. 금융보안 현황 / 249
3. 금융보안 관련 기관 및 역할 / 251
4. 금융보안 관련 법·제도 / 256
제6절 개인정보 보호· ············································ 258
1. 개인정보 보호 개요 / 258
2. 개인정보 보호 현황 / 259
3. 개인정보 보호 관련 기관 및 역할 / 262
4. 개인정보 보호 관련 법·제도 / 264
제8장 공공부문 정보보안 유출 및 침해 사고 사례· ··························· 271
제1절 공공부문 정보보안 유출 및 침해사고 유형 개요························· 272
1. 정보통신망 침해 및 이용에 관한 범죄 유형별 분류 / 272
2. 사이버 공격 유형별 분류 / 273
3. 국내 주요 사이버 공격 연혁 / 277
제2절 국가 사이버 정보망 전반······································ 278
1. 3·20 공공기관, 금융권, 방송사 전산망 마비 사건 / 278
2. 6·25 청와대 및 공공기관 사이버 테러 사건 / 280
3. 북한 해킹 조직의 국가 공공기관 PC 악성 코드 감염 / 282
제3절 외교/국방···············································284
1. 국방과학연구소 퇴직 연구원 군사 기밀 유출 사건 / 284
2. 국방망(인트라넷) 해킹 사고 / 286
제4절 경제/과학··············································· 288
1. 한국수력원자력 사이버 테러 사건 / 288
2.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비 송금 계좌 해킹 사건 / 290
제5절 사회/문화··············································· 292
1. 평창동계올림픽 운영위원회 해킹 사건 / 292
2. 서울시 체육회 및 26개 자치구 체육회 홈페이지 해킹 사건 / 293
제6절 기타· ·················································· 295
1. 심재철 의원 한국재정정보원 비인가 자료 유출 사건 / 295
2. 경북하나센터 PC 해킹, 탈북이탈주민 개인정보 유출 / 298
제7절 주요 사이버 공격 사례 요약····································300
제9장 공공부문 정보보안 법·제도와 거버넌스 문제점 및 발전 방안·············· 305
제1절 법·제도적 측면············································ 305
1. 법·제도적 측면의 문제점 / 306
2. 법·제도적 측면의 개선 방안 / 311
제2절 조직적 측면· ············································· 317
1. 조직적 측면의 문제점 / 317
2. 조직적 측면의 개선 방안 / 322
제3절 정책적 측면· ············································· 327
1. 정책적 측면의 문제점 / 327
2. 정책적 측면의 개선 방안 / 338
제4절 거버넌스 측면············································· 347
1. 거버넌스 측면의 문제점 / 347
2. 거버넌스 측면의 개선 방안 / 350
제5절 사회적 측면· ············································· 353
1. 사회적 측면 혹은 기타 문제점 / 353
2. 사회적 측면 혹은 기타 개선 방안 / 3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