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행정학 강의

행정학 강의

이종열, 박광국, 김명식, 명성준, 문명재, 문유석, 이석환, 장인봉, 정창훈, 주상현, 진종순, 최진혁, 하현상 (지은이)
윤성사
3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4,200원 -5% 0원
1,800원
32,4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행정학 강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행정학 강의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890
· 쪽수 : 584쪽
· 출판일 : 2023-02-01

책 소개

행정학의 기본 개념을 빠짐없이 모두 망라하고 있다. 행정학 각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가진 저자분들이 참여하여 그 가치를 높인 책이다. 행정학의 근본적인 존재 이유를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초래되는 다양한 행정 현상과 이슈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목차

제1편 행정과 행정학
제1장 행정의 의의
제1절 행정의 개념
1. 행정 관리설
2. 행정 행태설
3. 통치 기능설
제2절 행정과 정치, 경영과의 관계
1. 행정과 정치
2. 행정과 경영
제3절 행정국가
1. 자유방임·법치국가
2. 행정국가의 등장
3. 현대 행정의 특징
제4절 현대 행정의 주요 이슈
1. 행정의 거버넌스
2. 행정서비스 공급의 다양성
3. 형평성 이슈
4. 인공지능(AI) 시대의 준비
5. 기타 이슈
제2장 행정 가치
제1절 행정 가치의 의의
제2절 본질적 행정 가치
1. 정의
2. 공익
3. 형평
제3절 수단적 행정 가치
1. 합법성
2. 민주성
3. 능률성
4. 효과성
5. 효율성
6. 신뢰성
7. 책임성
8. 가외성
9. 투명성
제3장 행정학의 주요 접근법과 이론
제1절 행정학의 기원과 도입
1. 행정학의 기원
2. 한국 행정학의 도입과 발전
제2절 행정학의 발전과 분화
1. 행정학의 패러다임 변화
2. 한국 행정학의 분화와 토착화
제3절 행정학의 주요 이론
1. 정치·행정 이원론과 일원론
2. 과학적 관리
3. 인간관계론
4. 관료제
5. 공공선택론
6. 신공공관리론
7. 뉴거버넌스
8. 탈신공공관리론
9. 신공공서비스론
10. 공공가치론
11. 신제도주의

제2편 행정의 실제와 수단
제4장 조직관리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조직 개념 및 주요 관점
1. 조직 개념 및 공조직 관리자의 역할
2. 조직 현상을 보는 다양한 관점
제3절 조직이론의 변천 과정
1. 고전적 조직이론
2. 인간관계론
3. 상황이론
4. 네트워크 조직이론
제4절 조직관리의 핵심 쟁점
1. 조직구조 관점
2. ICT와 조직구조
3. 인적 자원 관점
4. 정치 권력 관점
5. 문화 상징 관점
제5절 조직 효과성
제6절 나오며
제5장 인사관리
제1절 의의
1. 인사행정의 정의
2. 인사행정의 가치
3. 인사행정의 목표
4. 인사행정의 환경: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의 비교
제2절 인사행정의 발달
1. 직업공무원제도
2. 정실주의 혹은 엽관주의
3. 실적주의
4. 대표관료제
제3절 인적자원계획
1. 정의
2. HRP의 수요-공급 양상
3. 전략계획 – 감축관리
제4절 성과평가
1. 정의
2. 문제점
3. 성과평가에 대한 네 가지 접근 방법
제5절 교육훈련
1. 특징
2. 교육훈련 수요와 성과의 측정
3. 교육훈련의 유형
4. 우리나라와 미국의 교육훈련제도 비교
제6장 재무관리
제1절 정부 재정과 예산의 분류 및 종류
1. 정부 재정의 의미 및 구조
2. 예산 및 기금의 성격 및 특징
3. 예산의 분류 및 종류
4. 기타 재정 규모 개념 및 통합재정수지
제2절 예산의 기능과 예산 원칙
1. 예산의 기능
2. 예산의 원칙
제3절 예산 과정
1. 예산의 주기와 회계연도
2. 예산주기의 중복
3. 예산 관련 법체계
4. 예산 관련 기관
5. 우리나라 예산 과정의 개관
제4절 예산제도 및 개혁
1. 품목별 예산제도
2. 성과주의 예산제도
3. 계획예산제도
4. 영기준 예산제도
5. 결과 지향적 예산제도(새로운 성과주의 예산제도)
제5절 예산결정이론
1. 총체주의
2. 점증주의
3. 공공선택론
4. 다중합리성이론
5. 단절적 균형이론
제6절 재정관리와 재정규율제도
1. 주요 재정관리제도
2. 재정규율 관리제도
제7장 전략적 성과관리
제1절 공공 부문의 전략적 성과관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제2절 전략적 기획과 전략적 성과관리
1. 전략적 기획과 전통적 기획
2. 전략적 기획과 전략적 성과관리 간 관계
3. 성과지표와 실행계획에 대한 이해
제3절 성공적 전략적 성과관리를 위한 네 가지 조건
1. 기초가 튼튼한 조직(Basics)
2. 연계가 튼튼한 조직(Linkages)
3. 조화와 통합을 추구하는 조직(Unity)
4. 평형을 추구하는 조직(Equilibrium)
제4절 나오며: 공공 부문 성과관리의 확산과 성공을 위한 4개 관련 주체의 역할과 책임
1. 정부의 역할과 책임
2. 국회의 역할과 책임
3. 감사원의 책임
4. 정부업무평가위원회의 역할과 책임
제8장 갈등관리
제1절 공공갈등의 의의와 특성
1. 공공갈등의 개념
2. 공공갈등의 유형
3. 공공갈등의 특징
제2절 공공갈등의 발생 원인과 주요 현황
1. 공공갈등의 발생 원인
2. 공공갈등의 주요 현황
제3절 공공갈등 관리
1. 공공갈등의 예방
2. 갈등의 해결
3.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공갈등
제4절 나오며
제9장 정책관리
제1절 정책의 의의와 유형
1.정책의 의의
2. 정책의 유형
제2절 정책환경, 참여자, 정책 과정
1. 정책환경
2. 정책 과정의 참여자
3. 정책 과정
제3절 정책의제설정
1. 정책의제설정의 의의
2. 정책의제설정 과정
3. 정책의제설정 모형
4. 정책의제설정의 결정 요인
제4절 정책분석
1. 정책분석의 개념
2. 정책분석의 절차와 기법
제5절 정책결정
1. 정책결정의 의의와 과정
2. 정책결정 모형
제6절 정책집행
1. 정책집행의 개념
2. 정책집행의 유형
3. 정책집행의 접근 방법과 연구
4. 정책집행의 영향 요인
제7절 정책평가
1. 정책평가의 의의와 목적
2. 정책평가의 절차와 방법
3.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제8절 정책변동
1. 정책변동의 의의와 원인
2. 정책변동의 유형
3. 정책변동에 대한 저항과 정책 변동의 추진 전략

제3편 행정혁신
제10장 정부혁신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코로나19와 정책 난제의 등장
1. 코로나19의 파급력과 특징
2. 코로나19가 던진 질문과 한국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제3절 인사혁신의 방향과 과제
1. 공개경쟁 채용제도의 개혁
2. 부처 칸막이 해소를 위한 부처 간 순환보직제도 도입
3. 난제 해결을 위한 공무원 역량 강화
4. 클라우드 공무원단을 통한 유연한 인력관리
제4절 미래 정부와 정부혁신 방향
1. 데이터 기반 예견적 정부
2. 사회역량 기반 회복탄력적 정부
3. 애자일 조직 기반 정부
4. 와해성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술 기반 정부
5. 시민 중심적 공동생산 정부
제5절 남겨진 과제들
제11장 공직윤리와 문화
제1절 공직윤리
1. 의의
2. 거버넌스와 극장모형
3. 극장모형과 윤리제도
4. 극장모형과 윤리의식
제2절 사회적 책무
1. 환경, 사회, 거버넌스(ESG)
2. 인권과 공직윤리
3. 사회적 가치와 공직윤리
제3절 행정문화
1. 의의
2. 극장모형과 행정문화
3. 행정문화의 전망
제12장 자치분권
제1절 자치분권의 이론적 배경: 지방자치와 지방분권
1.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의 의의
2. 자치분권의 연구 경향
제2절 지방자치의 역사적 뿌리
1. 두 가지 큰 흐름
2. 21세기 정치환경 변화에 따른 양 계보의 진전
3. 지방자치와 민주주의
4. 지방자치의 현대적 경향
제3절 우리나라의 자치분권 정책
1. 노무현 정부의 지방분권
2. 이명박 정부의 지방분권
3. 박근혜 정부의 지방분권
4. 문재인 정부의 지방분권
제4절 정부간 관계
1. 정부간 관계의 의의
2. 정부간 관계의 유형
3. 우리나라의 정부간 관계
제13장 시민 참여와 NGO
제1절 시민 참여란 무엇인가?
1. 시민 참여의 개념과 의미
2. 시민참여제도의 유형
제2절 시민 참여의 주요 이론
1. 거버넌스이론
2. 참여적 정책분석과 시민 패널
제3절 시민 참여와 NGO의 역할
1. NGO의 의의
2. NGO의 대두 원인
3. 정부-NGO 관계론
제4절 시민 참여를 위한 NGO의 실제와 미래 조망
1. 우리나라 NGO의 실제
2. NGO의 과제와 전망
3. NGO의 자생조직적 활성화 방안
제14장 전자정부: 정보사회의 행정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정보사회: 정보화와 사회 변화
1. 정보사회의 개념과 특징
2. 정보화와 행정환경 변화
제3절 전자정부의 도입과 발전
1. 전자정부의 개념과 의의
2.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개념과 변화
3. 우리나라의 전자정부 발전 과정
제4절 미래 사회와 전자정부
1. 미래 사회의 행정과 전자정부
2. 미래의 전자정부 발전을 위한 정책 이슈
제5절 나오며

저자소개

김명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력 영남대학교 경영학과 졸업(경영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졸업(행정학석사) 미 Wisconsin-Madison 주립대학교 졸업(M.A.) 건국대학교 대학원 졸업(법학박사) 호주국립대학교(ANU) 객원연구원 제23회 행정고등고시 총무처 제도1과장?고시2과장?급여과장 행정자치부 급여과장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책과장 중앙인사위원회 인사정보심의관?정책홍보관리관?인사정책국장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인사기획관 고려대학교·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겸임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CU인재학부 석좌교수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찰행정학과 부교수 현재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장 저서 주해 국가공무원법(공저), 고시계, 1992 공무원법(공저), 박영사, 2000 호주연방정부의 행정개혁, 법우사, 2003 특수법인론, 한국학술정보, 2005 행정조직법, 법우사, 2014
펼치기
진종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와 미국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행정학석사학위를, 미국 American University에서 행정학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인천대학교를 거쳐 현재 명지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국 Transnational Crime and Corruption Center(TraCCC) research scholar, 일본 쓰꾸바(筑波)대학교 교환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한국인사행정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5급, 7급, 9급 국가공무원 공채 면접위원과 출제위원으로 활동하였다. 저서로는 「공무원의 역할연구」(공저, 2009), 「조직행태론: 사람, 관리 그리고 행정」(공저, 2022) 등이 있으며, 최근 발표한 논문으로는 “The role of assessment center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2016), “Female participation and corruption in the public sector”(2016), “Bureaucratic accountability and disaster response: Why did the Korea Coast Guard fail in its rescue mission during the Sewol Ferry Accident?”(2017) 등이 있다.
펼치기
정창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niversity of Georgia(행정학 박사)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행정학 석사) 미국 Auburn University 부교수 역임 (전) 한국지방공기업학회 부회장 역임 (전) 한국정부회계학회 회장 역임 (현)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
펼치기
문명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시라큐스 대학교 맥스웰 대학원(행정학 박사)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교, 텍사스 주립대학교 부시 행정대학원, 고려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역임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편집장 역임 미국행정학회 국제위원장, 한국행정학회 연구부회장 역임 현 미국 행정한림원(NAPA) 종신회원 현 연세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저서 Public Administration in East Asia-Mainland China, Japan, South Korea, and Taiwan(공편), 2010, Taylor & Francis Group 정부의 질과 삶의 질(공저), 2018, 문우사
펼치기
이종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Ph.D. in Political Science) 인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인천대학교 명예교수
펼치기
이석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출생. 국민대 행정학과와 고려대 대학원 행정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뉴저 지주립대학교(Rutgers University)에서 성과관리 및 생산성 분야에서 행정학 박 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미국 일리노이대학교(University of Illinois-Springfield) 행정학과 조교수, 가톨릭대학교 행정학과 조교수를 거쳐 현재 국민대학교 행정 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4년 국내 최초로 경기도 부천시에 중앙정부에 앞서 BSC(Balanced ScoreCard)에 기반한 성과관리모델을 도입?구축하는 데 자문교수로 활동하였으며, 이후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에 성과관리시스템을 도 입하는 데 자문을 해 왔다. 한편 국무총리실 정부업무평가단 평가위원, 중앙부 처 자체평가위원회 위원장 및 위원,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경영평가단 위원 등 을 역임하면서 성과관리 및 평가 분야에 다양한 평가활동 및 자문을 수행해 왔 다. 2019년에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을 역임하였고, 주요 저서로는 ??The B?L?U?E Government: 성과와 결과를 창출하는 유능한 미래정부의 조건 (2021, 법문사)??, ??Public Productivity Handbook(2004, 2nd Edition, Marcel Dekker, 공저자: Marc Holzer)??, ??UOFO(Unreasonable Objectives-focused Organization): 신뢰받는 정부와 기업을 위한 전략적 성과관리(2008, 법문사)??, ??Public Administration in a Globalized World: Theories and Practices between the US and Korea(2014, M.E. Sharpe & Daeyoung, 공저자: Marc Holzer & Rechard Schwester)?? 외 국내?외 다수가 있고, 성과관리와 관련된 논문들이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등 다수의 유명 해외저널과 국내저널에 실려 있다. SCOPUS 등 재저널인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IRPA)의 편집위원장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미국행정학회(ASPA)의 SSCI 등재저널인 Public Performance & Management Review(PPMR)와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ROPPA)의 편집위원(Editorial Board Member)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하현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교수
펼치기
주상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에서 학사, 석사, 박사(박사학위논문: 지방정부간 정책갈등에 관한 연구)를 취득했다.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Florida State University에서 교환교수(2016)로 연구 기회를 가진 바 있다. 『문화와 국민행복』(2019), 『재무행정학』(2019), 『행정학 강의』(2023) 등의 공저가 있으며, 「한국행정학 연구경향의 실증적 분석」(2002), 「지방자치단체 인구소멸 실태와 정책방안」(2021), 「지방소멸 대응정책 중요도 분석과 정책적 함의」(2023) 등이 있다. 2024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지원(SSK) 글로벌 아젠다연구 사업에 선정돼 연구책임자로 “저출생 위기 극복을 위한 건강한 사회구조 구축과 지역사회 역할” 연구를 2027년 8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재무행정, 지방재정, 지역정책 등이다.
펼치기
박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교수 국무총리 공동 정부업무평가위원회 민간위원장 전) 한국행정학회 회장 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원장 전) 한국산림행정학회 초대 학회장
펼치기
장인봉 (지은이)    정보 더보기
- 신한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대외협력처장) - 동국대학교, 행정학 박사 - 관심 분야: 지방자치, 조직론, 정부혁신 - 주요 저서 및 대표 논문: 「전환기 행정학」(2017, 공저), 「조직론」(2020), 「전환기 지방자치론」(2017, 공저), 「블루오션리더십」(2008), 「지방경영의 이해」(2006), “지방정부의 지역복지자원 연계·관리 기반 조성을 위한 이해관계자 인식조사와 정책적 함의”(「한국지방자치연구」, 2020), “청소년의 노동인권에 대한 인식조사와 지방정부에의 정책함의”(「한국정책연구」, 2019) - 주요 경력: (현)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위원, 한국지방자치학회 연구부회장, 한국정책개발학회 부회장, 경기도교육청 공적심사위원회 위원, 경기교육장학재단 이사, 경기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조정위원), 의정부시지역사회보장협의체 민간공동위원장, (전) 신한대학교 교무처장, 경인행정학회 회장, 의정부시 성과평가위원장
펼치기
명성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상국립대학교 교수
펼치기
문유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성대학교 교수
펼치기
최진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 제I대학교(Universite de Paris I : Pantheon-Sorbonne)에서 공법학박사학위(논문제목 : Assemblees locales et autonomie locale en France et en Coree du Sud)를 취득하였고, 현재 충남대학교 자치행정학과(도시·자치융합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학문적 관심분야는 지방자치행정제도(지방의회, 자치단체장), 지방자치법(지방분권, 교육자치, 재정자치), 유럽지방행·재정(비교행·재정; 정부회계제도) 등이며, 주요국가의 정부예산회계제도 개혁(2004), 자립적 지역발전 모델(2005), 프랑스의 행정과 공공정책(2008), 지방의회의 이해(2008), 지방행정 거버넌스(2009), 유럽연합의 행정과 정책연구(2011), 대한민국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지방분권개헌(2019), 신지방의회론(2019), 지방자치법해설(2021), 지방시대 자치분권의 회고와 전망(2024) 등의 저서와, 자치분권, 자치행·재정분야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였다. 한국지방자치학회 회장(대전충남지방자치학회 회장), 한국정부회계학회 회장, 한국유럽행정학회 회장, 한국행정학회 지방자치특별위원장, 한국정책학회부회장, 서울행정학회부회장, 한국지방재정학회 상임이사, 한국도시행정학회 상임이사 등의 학술활동을 하였으며, 대통령자문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자문위원), 지방분권촉진위원회(실무위원), 지방자치발전위원회(제3실무위원장), 자치분권위원회(정책자문위원장) 자문역할을 하였으며, 현재 윤석열정부 대전광역시 지방시대위원회 위원장으로 봉사하고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