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보이는 정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보이는 정부

장혜정, 서형준, 노재인, 김현웅, 홍성범 (지은이), 명승환 (엮은이)
윤성사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500원 -5% 2,500원
500원
11,500원 >
9,000원 -10% 2,500원
0원
11,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보이는 정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보이는 정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1503548
· 쪽수 : 128쪽
· 출판일 : 2022-03-14

책 소개

디지털 대전환 시대의 앞으로 스마트한 정부가 되기 위해 "보이는 정부"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일반 독자들도 읽기 쉽게 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미래정부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목차

01. 디지털 대전환으로 사회는 완전히 변했다 P.9
대한민국에서 사회적 정의란 무엇인가? p.12
보이는 정부(Visible Government)로 변해야 한다. p.15
미래정부는 포용적 열린 정부 p.18

02. 이제 전자정부에서 보이는 정부로 나아가자 P.23
인공지능의 태동과 컴퓨팅의 비약적 발달 p.25
인공지능을 측정하는 튜링테스트 p.28
인공지능 유형과 일상으로의 확산 p.30
딥러닝의 발달과 챗봇의 성장 p.32
자산 투자를 전담하는 로보어드바이저 p.34
인공지능 정책결정의 낙관론과 비관론 p.36
합리적 정책결정에 활용되는 인공지능 p.38
인공지능과 인간이 공존하는 공공영역 p.40
블록체인으로 시도하는 행정개혁 p.45
막강한 보안성을 지닌 블록체인 p.48
블록체인의 핵심 요소와 분권화 p.50
이미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외국 정부 p.52
공공부문에서 디자인 싱킹의 개념 p.54
개방적 사고를 환영하는 디자인 싱킹 p.56
프로토타입이 반복되는 디자인 싱킹 p.58
디지털 트윈 모델의 연속적 특징 p.59
디지털 트윈 핵심 기술의 발달 단계 p.61
실시간 예방과 대응을 돕는 디지털 트윈 p.63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복합재난관리 p.66
디지털 트윈을 활용한 재난관리 p.68
빅데이터 중심의 스마트시티 운영 p.70
안전, 교통, 전력을 책임지는 스마트시티 p.73
지능정보화 사회에서 행동경제학의 가치 p.75
가용성 휴리스틱과 빅브라더의 위험 p.78
노동자 대체 논란을 일으키는 스마트 사회 p.79
프레이밍 효과와 개인정보침해 논란 p.82
보이는 정부와 합리적 선택주의 p.84
보이는 정부 모델의 필요성 p.85
보이는 정부의 거버넌스 p.90
국가미래전략원과 공유경제 플랫폼 설계 p.92
장인협통인(場人協通人)이 역할을 다 하는 정부 p.93
메타정부와 메타버스 p.96

03. 생각의 속도를 넘어선 공감의 속도를 이루는 정부 P.101
참고 문헌 P.108
찾아 보기 P.120
저자 소개 P.122

저자소개

노재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융합보안e거버넌스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재직중이다. 2021년 한국행정학회 인공지능데이터행정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으며, 2022년 한국행정학회 디지털대전환특별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관심분야는 디지털 정부, 지역정보화, 스마트시티 등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Factors Influencing Social Media Use in Local Government”, “인구특성에 따른 도시유형과 행정서비스 구현방안”, “지방자치단체 정보화 조직 정체성 연구” 등이 있다. Smart Cities in Asia(Edward Elgar publishing), 스마트시티의 미래 2030(윤성사)의 저자로 참여한 바 있다.
펼치기
장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에서 U-City Planner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경대학교 융합대학 교수로 및 디자인 싱킹 센터장으로 재직 중이며, 청운대학교 창의융합대학 교수(디자인 싱킹 센터장), (재)디코리아 사무총장/이사(빅데이터 디자인 싱킹), 이비젼 대표(ERP, SCM 혁신교육 & 컨설팅) 삼성JAPAN(TOKYO) 경영혁신팀 책임연구원, 삼성SDS 솔루션 사업부 책임연구원, 중앙대학교 컴퓨터 소프트웨어학과 겸임교수, 한국과학기술원 시스템공학연구소 연구원을 역임했다. 관심분야는 빅데이터, 디자인 싱킹, 조직변화관리, 디지털 트윈이다.
펼치기
서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글로벌 e거버넌스 학과에서 e거버넌스 행정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융합보안 e거버넌스센터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분야는 정보화정책, 전자정부, 정책학, 거버넌스, 사회자본 등이다. 최근 논문으로는 “플랫폼 정부의 온라인 시민참여 ‘인천은소통e가득’ 코로나19 관련 청원 토픽모델링을 중심으로”(2021), “Determinant Factors for Adoption of Government as a Platform in South Korea: Mediating Effects on the Perception of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2021), “공공부문 정보보안 행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 정보보안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2021), “플랫폼 정부 관점에서 조명한 국내 COVID-19 대응 정보화 사례: ICT와 데이터 활용을 중심으로”(2020), “The Priority of Factors of Building Government as a Platform with Analytic Hierarchy Process Analysis”(2020)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현웅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민대학교 BIT전문대학원에서 박사 과정을 수료하고 한국오라클 교육사업부 팀장으로 재직중이다. 시만텍코리아 컨슈머비즈니스 매니저와 후지쿠라일본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을 역임했다. 현재 핀테크지원센터 기술멘토, 금융연수원 클라우드 기술자문위원이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클로벌스타트업 페스티발 기업심사/멘토, 인터넷진흥원 핀테크기술지원센터 입주기업 평가위원 등 기술자문과 멘토로 활약하고 있다. 관심분야는 클라우드, 인공지능과 경영전략, BM이다.
펼치기
홍성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북대학교에서 정보통신공학 학사를 취득하고, 현재 셔블에서 대표로 재직 중이다. 녹원정보기술 디지털 트윈 사업부장, DMX Korea 상무(마케팅 팀장/기술본부장), Cisco Korea 수석부장(통신사업자 컨설팅), Dimension Data 부장(SKBB 백본 디자인/컨설팅/운영), LG-CNS 대리(LG*Net 그룹망 설계/운영)를 역임했다. 관심분야는 디지털 트윈, B2B기반 메타버스이다.
펼치기
명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Syracuse University에서 정책학(Social Science)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세청 자체평가위원, 정보통신부 자체평가위원, 국무총리실 자체평가위원,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전자정부연구회 회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8년 한국정책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산업보안거버넌스 전공주임, 융합보안e거버넌스 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마트전자정부론(4판, 2020), 행정학개론(2010), 사이버 거버넌스(2002), 정보사회와 현대조직(2004) 등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