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SNS 민주주의와 주민참여

SNS 민주주의와 주민참여

임승빈, 명승환, 임정빈, 하동현, 권혁준, 이정철 (지은이)
윤성사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2,000원 -10% 600원 10,200원 >

책 이미지

SNS 민주주의와 주민참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SNS 민주주의와 주민참여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91188836345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9-07-30

책 소개

SNS를 통한 시민과 정부가 정책 순환고리는 정책 효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온라인 참여, 주민투표 플랫폼, 스마트 시티 등을 통해서 점차 소멸하는 지역공동체를 소생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담았다.

목차

Chapter 1. 비정형적 참여의 일상화 11
제1절 소셜 미디어와 비관습적 시민참여 13
1. 새로운 정치참여 도구의 등장 13
2. 비관습적 시민참여 17
3. 소결 29
제2절 스마트사회로의 전환 34
1. 스마트사회의 도래와 행정 패러다임의 변화 34
2. 새로운 행정 패러다임으로서의 스마트정부 42
3. 스마트정부의 유형과 조건 47
4. 소결 65
Chapter 2. 온라인 주민참여 69
제1절 온라인 주민참여 확대를 통한 주민자치 강화 71
1. 서론 71
2. 주민참여 이론 73
3. 우리나라 지자체의 대표적 온라인주민참여제도 90
4. 주민자치 강화를 위한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 확대 방안 107
제2절 직접민주주의와 주민참여의 확대 방안 114
1. 서론 114
2. 연구 내용 및 연구 방법 118
3. 주민참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주민참여의 현실 그리고 대안 121
4. 상향식 민의 전달 모델 : 온라인 주민투표 플랫폼의 기본 구성 129
5. 온라인 주민투표 플랫폼의 성공 가능성 확인 141
6. 결론 153
Chapter 3. 변화하는 도시행정 157
제1절 지속 가능한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사례 : Smartopia Gimpo 159
1. 서론 159
2. 스마트 시티에 대한 이해 165
3. 김포시 스마트시티(Smartopia Gimpo) 사례분석 173
4. 김포시 스마트시티(Smartopia Gimpo) 평가 186
5. 결론 192
제2절 도시형 스마트 커뮤니티 구축 방안 : 동대문구에 대한 예시 195
1. 동대문구의 현황 195
2. 동대문구형 스마트 커뮤니티 212
Chapter 4. 소멸해 가는 지역공동체에서의 직접민주주의를 통한 소생의 가능성 219

저자소개

임승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임승빈은 일본 동경대학교 상관사회과학(학술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최종학위 논문은 “包括奉事形の政策執行”이다. 지역사회의 민간인 명예직 행정위촉위원들과 행정과의 상호의존적 네트워크를 통한 정책집행과정에 관한 논문이다. 이론적 틀은 N.루만의 사회체계론과 M.베버와 T.파슨즈의 구조기능주의적 이론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기본적으로는 지역사회와 행정과의 상호의존관계가 구조기능적만으로도 또는 현상주의적만으로도 해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오히려 일본의 경우는 권력의 순환과정과 권위의 순환과정이 메이지 유신 이후에 만들어진 국가제도주의 하에서 경제적 보상 관계가 아닌 사회적 보상 관계를 통하여 특수한 제도가 형성되었다는 경위를 밝힌 논문이다. 학위 이후에 그는 한국에 귀국하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국립순천대학교 등을 거쳐 지금의 명지대학교 행정학과에 근무 중이다. 그동안 주요 단독 저서로는 2003년 초판 발행 이후 2023년까지 16판을 거듭해온 “지방자치론(법문사)”, 5판 개정판까지 출간된 “정부와 NGO(대영문화사)”가 대표적이다.
펼치기
하동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게이오대학(慶應義塾大?) 정책·미디어 연구과 (政策·メディア?究科)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수석연구원, 안양대학교 행정학과 부교수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지방자치, 정책형성과정, 숙의민주주의, 일본의 행정과 정책 등이다. 최근의 논문으로 “일본 지정도시 제도의 특성분석을 통한 특례시에의 함의 검토”(2019), “공론화를 통한 정책결정의 한계 연구: 제주 녹지국제병원 사례를 중심으로”(2019), “역사교과서의 국정화를 둘러싼 정책실패 연구”(2018), “인구감소시대의 지역활성화와 지방분권: 일본의 지방소멸론과 지방창생을 소재로”(2017), “서울시 갈등관리시스템의 운영실태 및 역할유형”(2017), “일본 지방자치단체의 국정참여: 국가와 지방의 협의의 장을 사례로”(2016) 등이 있다. 사회활동으로는 한국지방자치학회 연구위원장(2017년, 2019년), 대통령소속 자치분권위원회 전문위원(2018년~현재),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자문위원(2018년~현재),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이사 등을 맡고 있다(eastwiser@gmail.com).
펼치기
하동현의 다른 책 >
명승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Syracuse University에서 정책학(Social Science) 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관세청 자체평가위원, 정보통신부 자체평가위원, 국무총리실 자체평가위원, 한국지역정보화학회 회장, 전자정부연구회 회장, 정책분석평가학회보 편집위원장,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2018년 한국정책학회 회장으로 활동하였다. 현재는 인하대학교 산업보안거버넌스 전공주임, 융합보안e거버넌스 연구소 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스마트전자정부론(4판, 2020), 행정학개론(2010), 사이버 거버넌스(2002), 정보사회와 현대조직(2004) 등이 있다.
펼치기
임정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건국대학교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성결대학교 행정학부에서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행정, 조직성과, 지방자치, 갈등관리 등이며, 최근 주요 논문으로는 “지방정부 비대면 업무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이 업무시스템의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2020), “조직특성과 전문직 정체성이 출입국관리직 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2020), “재난안전 로컬거버넌스 네트워크분석”(2020), “캐나다 우수인재 유치정책에 관한 연구”(2019), “통일 대비 북한지역주민 직업능력개발추진체계 구축을 위한 전문가 인식조사 연구”(2019) 등이 있고, 주요 저서로는 「SNS민주주의와 주민참여」(2019), 「정부간관계론」(2019) 등이 있다(jbyim@sungkyul.ac.kr).
펼치기
권혁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행정학과에서 행정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국가정책연구소 선임연구원, 고양시 자치공동체지원센터 기획팀장을 거쳐 현재 C&F 재정공학연구소 수석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관심 분야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재정(예·결산, 기금, 회계 등), 주민참여예산, 정보시스템(SI) 등이다. 한국일보 전국지자체 평가위원(2017년~현재), 한국정책학회 이사직을 역임(2018)했으며, 경기도 안성시 주민참여예산연구회 위원(2018~현재) 등을 맡고 있다(thekiller80@cnfsystem.co.kr).
펼치기
이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정책학회, 한국갈등학회, 한국공공관리학회 이사를 역임했고, 고양시 자치공동체지원센터에서 빅데이터사업 총괄 프로젝트 매니저로 활동했다(candyrain01@naver.com).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