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1609073
· 쪽수 : 220쪽
· 출판일 : 2022-05-20
책 소개
목차
1장. 들어가면서 _이수인 p7
2장. “코로나19 이후 중·소형 교회의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연구”에 붙이는 글 _이숙경 p15
3장. 교회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_이수인 p26
4장. 교역자들이 인식한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_전병철 p55
5장. 부모들이 인식한 비대면 교회교육 현황 _서혜란 p67
6장. 연구 결과 _ 교회학교 교사 p91
7장. 연구 결과 _ 교역자 p113
8장. 연구 결과 _ 부모 p133
9장. 연구 결과 _ 전체 설문 문항 p156
부록 설문 문항 p187
책속에서
[시작하는 글]
1장_들어가면서 중에서 (이수인 교수)
코로나19는 우리 사회의 모든 삶의 방식을 송두리째 뒤흔들어 모든 이들이 아무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도록 하였다. 특히 코로나19가 가져온 변화와 그 변화의 충격은 이러한 변화에 준비되지 않은 영역과 사람들에게 더 크게 다가왔는데, 그렇게 큰 변화와 충격을 경험한 곳이 바로 교회다. 코로나19가 터지기 전, 교회교육은 교회라는 물리적 환경과 얼굴과 얼굴을 마주하며 교육하는 오프라인 모임을 중심으로 모든 교육이 이루어졌다. 거의 200여 년 전, 주일학교가 생긴 이래 이런 교육 방식은 너무나도 당연하였으며 특별한 변화의 필요성 자체를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팬데믹의 어려움은 변화에 대한 준비가 되어 있지 못한 교회와 교회교육 환경을 뿌리째 흔들어 버렸다.
제대로 된 교육의 시스템을 떠나 변변한 교재나 충분한 교회학교 교사가 없었던 교회는 거의 교회교육 자체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그나마 교회교육을 위해 고군분투했던 교회도 사역자나 교사들의 미디어 역량 부족으로 효과적인 교육을 하기는 어려웠다. 물론 재정과 인력적 여유가 있는 대형 교회에서는 어느 정도 이러한 상황에 빠르게 대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중·소형 교회에서의 교회교육은 그야말로 전쟁터를 방불케 하는 모습이었다.
더 큰 문제는 이렇게 한국 교회 전체가 교회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단 또는 학교, 연구소 차원에서 코로나 이후 교회교육의 현황과 어려움은 물론 그 대책을 모색하는 연구가 부족해 보인다는 것이다. 물론 연구가 아예 없었다는 것은 아니다. 이 미증유의 위기 앞에 많은 기독교 교육학자는 나름대로 현재의 어려움을 분석하고 전망과 대책을 내놓았다.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느끼며 연구자들은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 교회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교회교육의 현황을 설문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네 가지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해 한국 교회 교회교육에 어떤 변화들이 나타났는가?
둘째, 비대면으로 진행된 교회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한가?
셋째, 교회학교 교사, 교역자, 학부모는 코로나 팬데믹이 끝난 이후에 교회교육은 어떻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하고, 어떤 준비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
넷째, 교사와 교육부서 사역자들의 미디어 활용 능력(미디어 리터러시)과 비대면 교회교육의 만족도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바라기는 이 연구가 아무도 상상조차 못 했던 어려움 가운데 있는 한국 교회의 신앙교육과 다가오는 미래 세대를 위해 귀하게 사용되기를 소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