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9119173558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3-03-31
책 소개
목차
축간사(祝刊辭) / 奇聖根
축간사(祝刊辭) / 한서(閑墅) 덕수(德洙)
발간사(發刊辭) / 연정(淵亭) 경식(璟植)
1. 영가세적 서언(永嘉世蹟序)
2. 영가세적 권지 1(永嘉世蹟卷之一)
가. 영모록(永慕錄)
1. 자계 육잠(自戒六箴; 스스로 경계하는 여섯 가지)
나. 시(詩)
1. 죽원에서 읊노라 2수 (竹院題詠 二首)
2. 벼슬을 버리고 옥당으로 떠나가는 유미암 희춘을 봉송하며(奉送柳眉巖希春罷官赴玉堂)
3. 부록 : 유미암의 화답시(柳眉巖和韻)
4. 부록: 김하서 인후가 영모당을 두고 지은 시(金河西麟厚題永慕堂韻)
3. 영가세적 권지 2(永嘉世蹟卷之二)
가. 부록 : 영모당선생 사적(永慕堂先生事蹟)
1. 행록(行錄)
2. 행장(行狀)
3. 묘표(墓表)
4. 정문사실(旌門事實)
5. 정문기(旌門記)
나. 은송당선생 사적(隱松堂先生事蹟)
1. 행장(行狀)
2. 행장 발문(行狀跋)
3. 묘갈명(墓喝銘)
다. 현무재선생 사적(賢武齋先生事蹟)
1. 어사 선무원종공신녹권(御賜宣武原從功臣錄券)
2. 봉안각 상량문(奉安閣上樑文)
3. 봉안각기(奉安閣記)
4. 봉안각기(奉安閣記)
5. 도내 유생들이 예조에 올리는 단자(道內儒生呈禮曹單子)
6. 봉안각 창건시 도회소의 통장(奉安閣刱建時道會所通章)
7. 행록(行錄)
8. 묘갈명(墓碣銘)
4. 영가세적 권지 3(永嘉世蹟卷之三)
가. 부록(附錄)
1. 도암사 건립 사적(道巖建祠事蹟)
2. 도암사 춘추 향축문(道巖祠春秋享祝文)
3. 도암사 삼수 상량문(道巖祠三修上樑文)
4. 도암강당 삼수 상량문(道巖講堂三修上樑文)
5. 무장 향중 다사들의 통문(茂長鄕中多士通文)
6. 광주 통장(光州通章)
7. 나주 통장(羅州通章)
8. 고창 통장(高敞通章)
9. 고부 통장(古阜通章)
10. 무장의 유생들이 본관)에 올리는 단자(茂長儒生呈本官單子)
11. 태학 통장(太學通章)
12. 남원 통장(南原通章)
13. 나주 통장(羅州通章)
14. 금구 통장(金溝通章)
15. 정읍 통장(井邑通章)
16. 흥덕 통장(興德通章)
17. 광주 통장 (光州通章)
18. 고창 통장 (高敞通章)
19. 소청) 다사의 통장(疏廳多士通章)
20. 다사들이 본관에게 올리는 단자(多士呈本官單子單子)
21. 무장 유생 등이 완문)을 청구하는 사항을 춘조에 올리는 단자(茂長儒生以請完文事呈春曹單子)
22. 예조의 완문(禮曹 完文)
23. 무장 유생 등이 관칙을 청구하는 사항을 예조에 올리는 단자(茂長儒生以請關飭事, 呈禮曹單子)
24. 무장 유생 등이 제역 사항을 춘조)에 올리는 단자(茂長儒生以除役事, 呈春曹單子)
25. 무장 현감 하첩(茂長縣監下帖)
26. 무장 유생이 역사를 춘조에 올리는 단자(茂長儒生以除役事呈春曹單子)
27. 본관 완문(本官完文)
28. 본원 유생 등이 발관)을 구하는 사항으로 예조에 올리는 단자(本院儒生以請發關事禮曺單子)
29. 향중의 다사들이 절목을 등초할 사항으로 본관께 올리는 단자(鄕中多士以謄書節目事呈本官單子)
30. 영모당 중건기(永慕堂重建記)
31. 도암사 중건 상량문(道巖祠重建上樑文)
32. 도암사 중건기(道巖祠重建記)
33. 본손 통문(本孫通文)
34. 무장 향교 통문 (茂長鄕校通文)
35. 을유 가을 복설할 때의 봉안문(乙酉秋復設時奉安文)
나. 영가세적 발문(永嘉世蹟跋)
다. 발문(跋文) (한글 번역본) / 길건(吉建)
라. 발문(跋文) (한글 번역본) / 수인(洙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