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풍수지리
· ISBN : 9791192071091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1-12-24
책 소개
목차
머리글
풍수 이야기
제1장. 제왕과 환경론(帝王과 環境論)
1. 제왕(帝王)터
(1) 대통령생가 공통점
(2) 생가사격(生家砂格)
(3) 생가 떠난 대통령
(4) 정신병 생길 땅
(5) 권력과 맞는 땅
2. 제왕혈(帝王穴)
(1) 암장 대통령
(2) 만사형통 대통령
(3) 장군폐검 대통령(將軍佩劍 대통령)
(4) 금계포란 대통령(金鷄抱卵 대통령)
(5) 혁명 대통령
(6) 권력지향(權力指向)
3. 제왕과 환경(帝王과 環境)
(1) 권력, 환경, 야합
(2) 천불시지불수(天不貽地不受) 환경윤리
제2장. 환경유래(環境由來)
제3장. 양기(陽基)
1. 양택(陽宅)
(1) 지세(地勢)
(2) 택지(宅地)
(3) 정수론(精水論)
(4) 사격(砂格)
2. 가옥(家屋)
(1) 대문(大門)
(2) 택목(宅木)
(3) 오허택빈모(五虛宅貧耗)
(4) 오실택부귀(五實宅富貴)
제4장. 양택론(陽宅論)
1. 가상과 지역(家相과 地域)
(1) 명당지(明堂地)
(2) 천신기(天神氣)
(3) 양택(陽宅)
(4) 택지(宅地)
2. 택지삼요(宅地三要)
(1) 배산임수 건강장수(背山臨水 健康長壽)
(2) 전저후고 세출영호(前低後高 世出英豪)
(3) 전착후관 부귀여산(前窄後寬 富貴如山)
3. 가상법(家相法)
(1) 길흉(吉凶)
(2) 길배치(吉配置)
(3) 흉배치(凶配置)
(4) 동서사택(東西舍宅)
(5) 라경패철(羅經佩鐵)
(6) 동사택(東舍宅)
(7) 서사택(西舍宅)
(8) 라경고정(羅經固定)
(9) 주기두(主起頭)
(10) 추리법(推理法)
4. 방주측정(房廚厠庭)
(1) 주방(廚房)
(2) 정원(庭園)
(3) 장원(墻垣)
(4) 화장실
5. 신풍정수(神風精水)
(1) 지세(地勢)
(2) 지질(地質)
(3) 대지(垈地)
(4) 건평(建坪)
(5) 부속건물(附屬建物)
(6) 도로(道路)
(7) 택지(宅地)
(8) 담장
(9) 증개축(增改築)
6. 가상오요(家相五要)
(1) 형상(形相)
(2) 아파트(APT)
(3) 사무실(事務室)
제5장. 팔괘론(八卦論)
1. 감정북(坎正北)
(1) 간북동(艮北東)
(2) 진정동(震正東)
(3) 손남동(巽南東)
(4) 리정남(離正南)
(5) 곤남서(坤南西)
(6) 태정서(兌正西)
(7) 건북서(乾北西)
2. 나경패철(羅經佩鐵) 강희윤도
(1) 측정법(測定法)
(2) 가상삼요(家相三要)
3. 질병(疾病)
4. 산곡성시(山谷城市)
(1) 양택총강(陽宅總絳)
제6장. 가상(家相)
1. 구조(構造)
(1) 길상(吉相)
(2) 흉상(凶相)
2. 개수(改修)
(1) 정원허(庭園虛)
3. 흉기(凶器)
(1) 길기(吉氣)
4. 기순환(氣循環)
(1) 살기(殺氣)
5. 패철고정(佩鐵固定)
6. 기두(起頭)
(1) 변화기두(變化起頭)
(2) 라경측정(羅經測定)
(3) 흉가상(凶家相)
7. 정원길흉(庭園吉凶)
(1) 정원길(庭園吉)
(2) 정원흉(庭園凶)
8. 건물정원빈상(建物庭園貧相)
(1) 건물빈상(建物貧相)
(2) 건물부상(建物富相)
9. 라경정위(羅慶正位)
제7장. 화복론(禍福論)
1. 길사택(吉舍宅)
(1) 효자(孝子)
(2) 부귀여산(富貴如山)
(3) 부귀장구(富貴長久)
(4) 부귀속발(富貴速發)
(5) 생자가(生子家)
(6) 세가형통(貰家亨通)
(7) 전화위복(戰禍爲福)
(8) 길상(吉相)
(9) 사무실 점포(事務室 店鋪)
2. 흉사택(凶舍宅)
(1) 건물빈상(建物貧相)
(2) 순양(純陽)
(3) 부거(婦去)
(4) 부거(婦去)
(5) 부거(夫去)
(6) 부거(夫去)
(7) 부거(夫去)
(8) 내주장(內主張)
(9) 부녀음탕(婦女淫湯)
(10) 후원첩산재(後園妾散材)
(11) 장남사(長男死)
(12) 쌍금극목(雙金克木)
제8장. 천년항해(千年航海)
1. 고려건국신화(高麗建國神話)
(1) 삼건(三建)
(2) 호경(虎景)
(3) 강충(康忠)
(4) 보육(寶育)
(5) 작제건(作帝建)
(6) 용건(龍建)
2. 신정치권(新政治權)
(1) 도선(道詵) 국사(國師)
(2) 선인(仙人)과 도선(道詵)
(3) 오호통지(嗚呼痛地)
(4) 새판(新板)
3. 천년출항(千年出港)
(1) 미래도선사(未來導船師)
4. 민족분열(民族分裂)
(1) 임금의 종자씨
(2) 난세영웅(亂世英雄)
(3) 비법오종(秘法五種)
(4) 성주왕건(城主王建)
(5) 옥룡자(玉龍子)
5. 고려건국(高麗建國)
(1) 도선비기(道詵祕記)
(2) 훈요십조(訓要十條)
(3) 창업론(創業論)
6. 조선건국(朝鮮建國)
(1) 조선과 무학(朝鮮과 無學)
7. 천년후 기항(千年後 寄港)
(1) 미래(未來) 터전
책속에서
“역대 대통령 집터의 공통점은 집 뒤로 산능선이 이어진다는 점이다. 동네를 감싸주는 변두리에 있지만 산자락의 끝집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환경론(環境論)은 산능선 끝집을 산이 다하는 곳이라 하여 중요시한다. 전선 따라 흐르는 전기처럼 산천의 정기는 산능선인 용의 지표면 따라 흐른다는 관념이다. 사람이 거처할 집은 산능선의 기세가 중요하다 하여 집 뒤로 이어지는 산능선을 중요시한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김 대통령만이 환경(環境, Environment)에서 자유로운 것처럼 보인다. 대통령뿐만 아니라 국회의원이나 대권을 꿈꾸는 많은 정치인들이 꿈을 이루기 위하여 조상의 무덤을 옮기거나 환경(環境)에 관심을 보인 것과 대조적으로 김 대통령의 정치 인생에서 환경(環境) 따라 이장하거나 이사한 흔적이 없기 때문이다.”
“산(山)골짜기는 음(陰)한 습풍(濕風), 질풍(疾風)이 불기 때문에 건강에 나쁘니 피해야 한다! 이런 곳에서 오래 살면 재산이 흩어지고 음(陰)이 강(强)하여 남자(男子)가 상하며 과부가 되는 곳이다. 이런 곳에 사는 사람들은 고생하며 남자가 맥을 못 쓰고, 과부가 된 사람이 많아 여기를 떠나야 한다. 삼년(三年)을 넘기지 못하고 패가(敗家), 절손(絶孫), 파산하여 망하고 고향(故鄕)을 떠나간다.”
“우리나라는 산천이 빼어나게 아름다워 감응이 빠른 음택으로서 세계 제일로 인정한다. 산천(山川)이 아름다워서 명당자리가 많기로 세계 제일이요, 지구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천하제일 명당이 금수강산에 결응되어 있다. 지구가 처음 생길 때부터 정해 있어 70억 세계 인구를 이끌어갈 위대한 통치자를 배출할 세계 제일의 명당은 과연 우리나라 어디에 있을까?”
- 이 책 「복가터는 있는가」 본문 中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