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과학철학
· ISBN : 9791192071794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2-09-22
책 소개
목차
제1장. 서문
(1) 머리말
(2) 천부경의 역사
(3) 천부경 전문
제2장. 천부경 81자 해석의 개요
(1) 개별문장의 해석
(2) 천부경의 전체개요
제3장. 천부경의 상세해석과 실생활의 적용
(1) 一始無始一(일시무시일)
(2) 析三極 無盡本(석삼극 무진본)
(3) 天一一地一二人一三(천일일지일이인일삼)
(4) 一績十鉅 無匱化三(일적십거무궤화삼)
(5) 天二三地二三人二三(천이삼지이삼인이삼)
(6) 大三合六 生七八九(대삼합육 생칠팔구)
(7) 運三四 成環五七(운삼사 성환오칠)
(8) 一妙衍 萬往萬來(일묘연 만왕만래)
(9) 用變不動本(용변부동본)
(10) 本心本太陽 昻明(본심본태양 앙명)
(11) 人中天地一(인중천지일)
(12) 一終無終一(일종무종일)
제4장. 음양오행의 배경인 천부경
(1) 음양이론이 처한 현실
(2) 음양의 개념
(3) 사상으로의 분화
(4) 오행의 형성
(5) 오행론과 십간
(6) 육기론과 십이지지
제5장. 우주운동에서의 특이지점
(1) 火金交易은 황극, 神의 자리
(2) 水, 겨울의 역할, 회복과 진화
(3) 무극 → 태극 → 황극
제6장. 우주에서 나타난 천부경
(1) 지구의 생존에 필요한 일월
(2) 우리 은하와 천부경
(3) 태양계의 은하계 내에서 움직임
(4) 은하계회전주기의 빈자리
(5) 전문주기의 비교
제7장. 천부경의 실생활의 응용
(1) 피라미드의 생성
(2) DNA와 천부경
(3) 주식 DATA와 천부경
제8장. 종교와 천부경
(1) 동양종교와 서양종교의 차이점
(2) 종교의 종말론의 실체
(3) 사과나무와 뱀
(4) 우상의 이해
(5) 無-神의 밝음과 어둠
(6) 척짓지 말라 / 척지지 말라
(7) 윤회와 제사
(8) 한국인의 소도문화
(9) 한국 불교의 특이점
제9장. 수행을 통한 완성의 길
(1) 道를 닦는 것이 수행
(2) 천부경에서 알려주는 수행의 내용
(3) 수행의 목표와 방법론
(4) 수행과 인체와의 관계
(5) 호흡수련
(6) 주문수련법
(7) 불교의 화두선
(8) 상두호흡과 뇌과학
(9) 맑은 물을 마주한다
(10) 見性과 완성의 모습
제10장. 천부경에서 보는 양자역학
(1) 4차원의 시간과 허수
(2) 계의 형상과 차원의 이동
(3) 양자역학의 비교
(4) 무속의 양자현상
(5) 집필을 마치면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무진본에서 本이 출현하면서 불교에서 말하는 空의 개념을 해석할 수 있게 된다. ‘일시무시일’에서 언급된 존재와 비존재의 뜻은 空이 말하는 개념과 천부경의 無의 개념과는 직접 비교할 수 없는 해석 시점의 차이가 존재한다. 불교에서 마음을 비우는 개념의 空은 천부경에서 無가 本인 마음으로 변신하면서 비로소 같은 시점의 비교가 가능해진다.”
“육기는 태양과 달의 사이에서 지구가 공전과 자전을 규칙적으로 반복하게 되는 성격의 틀에 맞춰진 모습으로 육기가 일정한 틀에 갇히게 되고, 이것은 끊임없이 변하는 음양이 가세하여 12가지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면서 천부경의 ‘운삼사성환오칠’에 따른 생장염장의 사계절의 모습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토의 모습 4개는 묘한 역할로 목화금수의 변화를 성격의 충돌 없이 원만하게 순환하게 하여준다.”
“천부경에 의하면 종교는 신을 대신해야 하는 인간의 책임에서 발생된 발명품이 되며, 동물보다 더 다양한 뇌 구조를 가진 인간들의 책임의식에서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책임의식은 신의 능력인 창조를 활용하여 적극적인 차원의 수행이란 도구를 사용하여 신의 영역에 도달하고자 하기도 하며, 소극적인 차원에서 신의 보호하에 영원히 살고 싶은 욕망으로 유일신에 대한 믿음으로 나타난 것이 종교가 되었다고 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