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 8~11권

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 8~11권

김경식 (지은이)
보민출판사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10% 0원
1,500원
25,5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24,9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0,000원 -10% 1000원 17,000원 >

책 이미지

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 8~11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인물과 사상으로 보는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 8~11권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교회 > 교회일반
· ISBN : 9791192071817
· 쪽수 : 1084쪽
· 출판일 : 2022-09-13

책 소개

총 20권의 세계 칼빈주의 교회사 전집 중 8~11권을 묶어놓았다. 라무스와 멜빌의 사상이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스코틀랜드 대표단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는지에 중점을 두어, 유대인에 대한 반감의 기원 역사를 주요하게 다루었다.

목차

8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4) : 앤드류 멜빌의 실용성과 유대교 사상 그리고 천년설이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스코틀랜드 위원들 중 첫 대표단과 하트리브 집단(Hartlib Circle)의 존 듀리(John Durie, 1596-1680) 및 개혁파 정통주의와 모더니티

0. 들어가며: 버미글리(Peter Martyr Vermigli)에 대한 스코틀랜드인들의 대대적 반대
1. 급진적인 목적으로라기보다 실용적으로 라무스 사상을 사용한 멜빌: 교수법과 교회 치리 중심으로
2. 잉글랜드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주요 신학: 개혁파 정통주의(Reformed Orthodoxy)
3. 스코틀랜드 제1치리서(1560), 제2치리서(1578), 웨스트민스터의 언약도들 문서 비교분석
4. 앤드류 멜빌의 친척이자 제자인 존 듀리(John Dury)와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관계 연구
5. 나오며: 라무스적인 멜빌주의가 스코틀랜드 첫 대표단에 미친 영향은 어느 정도였나?
6. 現 적용: “믿는 자를 보겠느냐? 자유민주주의 공화국들은 더욱 늘어나야겠으나, 장로교단 신학은 더욱 좁혀져야 한다!”(2024年~)
7. 참고문헌

9권. 일본주의(Japanism)의 ‘서양종교(Western Religion)’ 배척 사례 : 일본 민족주의의 ‘서양종교’ 배척 사례로 본 한국 민족주의의 미래

0. 시작하며: 저술 동기와 서술 방향
1. 용어 선정에 있어 일러두기
2. ‘일본주의’ 종교의 기원: 신국(神國), 니치렌의 말법(末法), 쇼토쿠의 신 · 불 · 유 습합(習合)
3. ‘일본주의’의 ‘서양종교’ 배척 사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서양 선교사 추방령(1587)
4. ‘일본주의’의 세속화: 메이지 정부 초기의 신불분리와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정교분리
5. 일본의 메이지 유신과 초대 수상 요시다를 한국의 대한제국과 대한민국 초기와 비교함.
6. 요시다 독트린의 끝: 55년 체제 붕괴와 비(非) 자민당 정권 탄생 이후 계속되는 추락
7. 끝내며: 17세기 Dutch Exceptionalism과 관련된 영국 제국의 Celto-Saxon Israelism은 1차 세계 대전 발발로 끝났다! 1945년에는 일본 제국의 Japanese-Israelism이 끝났다! 2008년에는 미국 제국의 American Exceptionalism이 끝났다! 2023년에는 대한민國 순복음敎의 Korean-Israelism이 끝난다! 시간이 얼마 없다! 南韓(辰國)을 끝으로 북반구 기독교 시대는 끝난다! 北朝鮮(古朝鮮)부터는 남반구 기독교 시대가 시작된다! BRICs 國民 장로교인들이 부유한 선진국가들의 크리스천들을 전도한다! 앞으로 일본 교회는 한국교회는 이를 어떻게 해야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나?
8. 참고문헌

10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5)

* 프롤로그: 드디어 그토록 바라던 제2의 18C 근대화가 시작되는 것인가? (스승 앤드류 멜빌이 보지 못한 시대적 한계를 중점으로: 제자 갓즈크로프트의 데이비드 흄과의 비교 포함)

1부. 인물 및 사상으로 본 16C~19C 스코틀랜드-미국 장로교회사
1. 16C~19C 스코틀랜드의 국민 교회 시기(Church of Scotland, 1592-1843)가 있기까지 지난 3C~16C 유럽 기독교회 약사(略史)
2. 군주제 공화국에서 자유주의 공화국으로의 노상과 훗날 근대화 완료 이후에 있을 ‘보이지 않는 하나님’의 군주 국가가 나타날 것이겠으나 이번에는 진정한 군주제 공화국이 천년왕국(즉, 천년공화국)으로 시작될 것인즉.
3. 이후에 17세기 네오-스콜라주의 방법론의 메마름에서도 느껴지듯 시대적 경기침체 가운데, 웨스트민스터 총회에서 조지 길레스피(George Gillespie, 1613-1648)가 외친 정교분리: “그리스도의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닙니다!”
4. 존 위더스푼과 미국 독립 혁명
5. 스튜어트 로빈슨과 미국 남북 전쟁

2부. 20세기: 양차 대전 발발과 이에 따른 보수주의와 사회주의의 맹공으로 자유주의는 가라앉으면서 서구의 제2차 근대화가 끝난 때이자, 대신 동아시아에서 앞서 있었던 서구 근대화 역사를 압축 체험하며 경제가 급성장한 때. (정형적 제국 질서가 종말한 현재, 다음 근대화도 비정형적 제국(공화국) 질서 확장의 연속적 과정!)
1. 1861년 以前 영미 자유주의 휘그당과 2008년 以前 미국 보수주의 공화당 : 순수한 부르주아 사회이자 고전적인 자유주의 사회 그리고 반(反)국가주의적이고 자유방임주의적인 정당들
2. 남북전쟁까지의 미합중국 후(後)천년설에서 대한민국 전(前)천년설로의 기독교 천년왕국 종말론 담론 이동 과정 疏略

* 에필로그: 제2의 18C 근대화에 있어서 아쉬운 점들이 있었다면 그것은 정치가 아닌 신학!
* 참고문헌

11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1)

1. 첫머리: 세계에 미국, 영국, 이스라엘, 한국의 네 곳에 설치된 구글 캠퍼스 뉴스를 접하며.. (과연 미래 천년왕국 시작은 어디??)
2. 일러두기: millenarianism? millenarism? millennialism? chiliasm?
3. 잉글랜드 장로회주의의 아버지 중 한 분인 토마스 브라이트맨(Thomas Brightman, 1562-1607)을 소개합니다.
4. 잉글랜드 장로회주의의 아버지이자 근대 후천년설의 아버지인 토마스 브라이트맨의 생애
5. 브라이트맨의 명저 ‘요한계시록 해석’이 있기까지: 제임스 멜빌의 염세적 세계관을 끝으로
6. 브라이트맨의 ‘요한계시록 해석’(A Revelation of the Apocalyps) 분석: 휘트비(Daniel Whitby, 1638-1726)와 다비(John Nelson Darby, 1800-1882) 전에 브라이트맨이 있었다!
7. 브라이트맨의 장로교회 후천년설과 코튼의 회중교회 후천년설 이후 프로테스탄트교회에 나타난 반동: 17세기 전천년설의 부흥
8. 17세기 말에 명확해진 스코틀랜드의 역사주의적인 유대-장로주의 후천년설 묵시종말 전통 (당대 잉글랜드의 세대주의적 유대-감독주의 전천년설 묵시종말 전통과 다른 부분 비교대조)
9. 브라이트맨의 ‘요한계시록 해석’ 이후 17세기 영국과 독일과 네덜란드 프로테스탄트敎에 나타난 유대인과 이스라엘 회복 관련 사건들 및 저작들 소개
10. 19-20세기 앵글로색슨족의 영국-이스라엘주의(Anglo/British-Israelism) 비판 및 보완
11. 현 시대의 분산(divergence)에서 1260일 예언과 2300일 예언으로의 수렴(convergence): 브라이트맨과 플레밍의 요한계시록 해석을 멜빌리언의 종말론으로 보완하여 발전시킨 담론
12. 끝머리: 기원전 4880년이나 3966년 또는 3761년에 천지창조 → 유대인들의 회심과 교황권 붕괴 (‘서력으로 21세기의 후반이나 초반에 있겠다’ 또는 ‘히브리력으로 2240년 이후에야 있겠다’) → 1861년에 시작된 세계 모든 종교의 현대 정교분리가 완료 (2120년쯤) → 그리스도의 두 번째 오심에 개교회주의와 다신론 · 초교파 시대는 끝나고 유대인(종)의 장로교회주의 시대가 시작 (Christ’s Advent destroys Papacy. Pax Judaica, The Age of Jewish Presbyterian Church, thus ensued.: (A.D. 2120 이후) 24세기 초반에 시작된다? 예루살렘 장로교회 세계정부의 참 글로벌 언약 시대의 實際千年王國期間은 제3천년기(24C 초~34C 초)가 아닐까?) → 유대인(종)교회와 異邦人교회의 큰 배교 → 로마에서 사탄과의 아마겟돈 전쟁이 일어날.. → 그리스도의 세 번째 오심 (Christ’s Third Coming)!
13. 참고자료

저자소개

김경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방경(金方慶, 1212~1300)의 26대손이다. 예장합동교단 목사로, 2006년에 총신대학교 신학과를 졸업(B.A)하고, 2009년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M.Div)을 졸업 후, 2012년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에서 신학석사학위(Th.M)를 취득하였다. 논문은, 신학대학원에서는 『하버드 유니테리언주의의 약사, 1805-1861』를, 일반대학원 신학석사에서는 『앤드류 멜빌의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가 장로교 국교회와 언약도 탄생에 미친 영향』으로 썼다. 2013-2014년 잠시 웨스트민스터 디지털 신학교(서울 양천구 소재)에서 교회사 교수로 있었고, 현재는 독립학자(Independent Scholar)로, 16-18세기 세계 장로회주의와 서양 천년왕국사상을 연구 중이다. 2015년 6월에는, 한국성경신학회 임원모임에서 ‘17세기 개혁파 헤브라이즘이 20세기 이스라엘 건국에 미친 영향 탐구’로 발제하였다. 현재 유튜브 채널 [J.C.144,000’요셉:舊안동金氏’군사공파·제학공파中나]를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세계 칼빈주의 세계사 전집 구성

1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1) : 학자 앤드류 멜빌과 스코틀랜드 제2치리서

2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2) : 시인 앤드류 멜빌과 데이비드 흄의 영국 연합

3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3) : 20세기 다윈주의 진화론과 세속주의 무신론 사회에 적응한 장로교회의 기원과 문제점 - 교회사적 접근으로 짚어본 부목사 제도

4권. 페트루스 라무스(Pierre de la Ramee, 1515-1572)의 생애와 사상으로 본 서유럽 종교개혁 지형도 : 앤드류 멜빌과 로버트 롤록의 스코틀랜드 라무스주의를 중심으로

5권. 하버드 유니테리언주의의 약사, 1805-1861년 (A Short History of Harvard Unitarianism, 1805-1861)

6권.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Kyrillos Loukaris, 그는 칼빈주의자였나?

7권. 아르미니우스(Jacobus Arminius)에게 앤드류 멜빌(A. Melville)이란?: 아르미니우스(Jakob Hermanszoon, 1560-1609)의 학생시절(-1587)에서 라무스(Ramus)와 베자(Beza)와의 관계로 본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과의 연관 정도 연구에 대한 소고(小考)

8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4) : 앤드류 멜빌의 실용성과 유대교 사상 그리고 천년설이 웨스트민스터 총회의 스코틀랜드 위원들 중 첫 대표단과 하트리브 집단(Hartlib Circle)의 존 듀리(John Durie, 1596-1680) 및 개혁파 정통주의와 모더니티

9권. 일본주의(Japanism)의 ‘서양종교(Western Religion)’ 배척 사례 : 일본 민족주의의 ‘서양종교’ 배척 사례로 본 한국 민족주의의 미래

10권. 칼빈의 못다 이룬 꿈, 앤드류 멜빌이 이루다! (5) : “내 나라는 이 세상에 속한 것이 아니니라(요 18:36 상)” - 교회정치관이 완성된 1590년대 스코틀랜드 장로회주의부터 1860년대 미국 장로회주의에 이르기까지 인물 중심으로 본 세속정치관 발전사

11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1) : “역사적 개혁주의 후천년설(Historical Reformed Post-Millennialism): 예수님은 언제 다시 오실까요?”

12권. 첫 프로테스탄트 청교도들인 카라이파 유대인들의 중세 최성기, 900-1100 (In a Short History of Karaism: A History of Medieval Karaism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12th century)

13권. 터키-칼빈주의자(Turco-Calvinist) 알리 우프키(Ali Ufki, 1610-1675)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중근동 자본주의(Middle Eastern Capitalism)의 미래

14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2) : 1722년, 세계사에는 어떤 역사적 사건들이 있었을까요?

15권. 영국 공화국의 종말 : 리처드 크롬웰 집권기 264일, 무슨 일이 있었나?

16권. 칼빈과 앤드류 멜빌이 못다 이룬 꿈, 로버트 플레밍 주니어가 이뤘나? (3) : 앵글리칸 개혁파의 아우구스티누스주의적 후천년설 비판

17권. 주요 인물들로 본 미국 하버드 대학교의 신학 · 종교사 : 존 캘빈(John Calvin, 1509-1564), 앤드류 멜빌(Andrew Melville, 1545-1622), 존 하버드(John Harvard, 1607-1638), 앤드류스 노턴(Andrews Norton, 1786–1853),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 1803-1882), 맥카난(Dan McKanan), 리베라(Mayra Rivera Rivera), 월턴(Jonathan L. Walton), 라가브(Ahmed Ragab), 케인(Ousmane Oumar Kane), 홀란드(David F. Holland), 갸초(Janet Gyatso), 산체스(Michelle C. Sanchez) 등

18권. 일본인-유대인 공통선조설(Japanese-Jewish common ancestry theory)인 일유동조론(日猶同祖論)을 비판 및 보완하다 : 스코틀랜드인 일본 선교사였던 노르만 맥리오드(N. McLeod, fl. 1868–1889)의 왜(倭)왕 ‘단 지파 유대인’설(說)을 중심으로

19권. 대한민국에 반유대주의자(anti-Zionist)가 많은 이유?

20권. 칼빈은 네스토리안 유대인인가? (Was John Calvin a Nestorian Jew?)

21권. 14만 4천, 문명의 종결자들로 the final form of storytelling : 2300 유대-칼빈주의(Judeo-Calvinism), The End of History.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0718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