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취업/진로/유망직업 > 국내 진학/취업
· ISBN : 9791192160184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23-05-23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1. 내 유튜브 콘텐츠를 결정하는 것은?
멘사 코리아 회원 그리고 ENFP인 나의 직업
MBTI 성격 유형_좋은 성격, 나쁜 성격은 없다
지름길을 알려주는 적성검사_다중지능검사
PART 2. 코로나19 이후 유튜브 추이
코로나19 이후 최근 유튜브 추이_Gig worker, Shot, Random, Sensitive to trends, Infinity
유튜브 채널 분석_백종원 채널
유튜브 분석 사이트
PART 3. MBTI 유형별 유튜브 컨설팅
EST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조조캠핑)
IST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류캠프)
ESF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김나영의 nofilterTV)
ISF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Jane ASMR 제인)
ENF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게티타로)
INF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타로마스터 정회도) / ENFJ & INFJ 타로 유튜버 콘셉트 차이
ENF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브루스리) / ENFP & ISTP 여행 유튜버 콘셉트 차이
INF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침착맨)
EST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1분미만)
IST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시스레터)
ESF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미소정)
ISF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따니네 만들기)
ENT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잠뜰 TV)
INTJ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MonsterKook, MCKook)
ENTP -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디바제시카)
INTP -적응하기 쉬운 직업 / 유튜브에 적용 가능한 능력 / 유튜브 콘셉트 예시(사나고)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영향력 있는 BJ, 유튜버를 꿈꾼다
필자의 유튜브 첫 책인 《영향력 있는 BJ, 유튜버를 꿈꾼다》는 2016년도 하반기에 나왔다. 그때만 해도 유튜브는 대중에게 낯선 채널이었다. 그보다 더 인기 있는 것은 아프리카 TV였고, 먹방이나 겜방, 톡방, 춤방이 대부분으로 구독자에게 별풍선을 받기 위해 일부 채널은 더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소재에 치중하는 병폐를 안고 있었다. 그래서 어떻게 하면 선정적이지 않고 재미있는 콘셉트로 방송을 이끌어갈 수 있을까에 대한 나름의 고민을 정리했다.
첫 책으로 국방전직교육원에서 유튜브 e-러닝 과정을 개발하게 되어, 어떻게 연락하게 되었는지 담당자에게 물었다. 유튜브 관련 도서는 대부분 경험이나 어떻게 찍는지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인데, 콘셉트나 주제 선정 등 이론을 다룬 책은 없었다는 것이다.
알파 세대가 온다
2009년 겨울에 아이폰이 KT를 통해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되었다. 당시 KT에 근무하던 나는 그 과정의 중심에 있었다. 그리고 기존 세대의 아이폰에 대한 반응도 경험했다. 아이폰을 들고 부산으로 내려갔을 때 부산 센터장은 ‘인터넷은 컴퓨터로 하는 것이지, 아이폰은 무슨?’의 반응이었다. 세상 쓸데없는 물건이라는 반응이었다.
그리고 이듬해에 나는 알파 세대의 첫째인 2010년생을 낳았다. 2~3년 후에 아들을 데리고 간 식당이나 카페에서 엄마들은 자연스럽게 자녀에게 스마트폰을 틀어주고 편히 식사하거나 담소를 나누었다. 불과 2~3년이 흘렀는데, 대중은 스마트폰을 자연스럽게 사용하고 있었다.
멘사 코리아 회원
이 책을 시작하기 전에 적성과 성격에 대한 예시로 나에 대해 이야기하려 한다. 나는 멘사 TEST 상위 1% 이내에 해당하는 IQ 156 이상이다.
전 과목 중 수학을 가장 잘했고 고등학교 3학년 모의고사에서 ‘수리 Ⅰ’ 최고 성적이 전국 8등이었다. 대부분의 모의고사에서 수학만큼은 반에서 1등, 전교 1등이었다. 그러나 내 친구들은 내가 이렇게까지 수학을 잘한 것을 모른다. 적당히가 아닌 월등히 뛰어난 나를 내세우고 싶지 않았다. 경쟁을 싫어하고 누군가를 이기려는 마음이 없던 나는 나를 평범하게 만들고 싶었다. 물론 지금 생각하면 너무 멍청한 생각이다. 그러나 그때는 수학만 전교 1등이나 전국 100등 안에 드는 것이 무슨 의미일까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