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언어학
· ISBN : 979119216923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23-02-09
책 소개
목차
책을 내며 5
머리말 12
1. 언어와 문자 15
1.1 문자란 무엇인가
1.2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1.3 문자와 언어의 혼동
1.4 문자 개념
1.5 언어학에서의 문자
1.6 문자의 종류
2. 문자의 생성 및 발달 원리 93
2.1 상형: 사물의 형상을 본뜨다
2.2 전주: 문자가 가진 의미가 늘어나다
2.3 가차: 문자가 소리를 나타내다
2.4 문자를 결합해서 나타내다
2.5 의미표시자
2.6 소리지시자
2.7 문자가 표상하는 언어 단위
2.8 음절문자
2.9 자음문자
2.10 음소음절문자
2.11 음소문자
2.12 훈민정음의 문자 유형
2.13 문자 차용
3. 문자와 종교, 문자와 상업, 문자와 매체 187
3.1 필기도구와 필기재료
4. 문자와 표기법 195
4.1 표음문자의 환상
4.2 표음성과 표기법
4.3 표기법의 보수성
5. 문자의 도상성과 자질성 221
5.1 문자의 도상성과 의미
5.2 문자의 도상성과 소리
5.3 훈민정음의 도상성
5.4 문자 도상성의 속성
5.5 도시 간판의 도상성
5.6 문자의 자질성
6. 자용론: 문자의 화용론 267
6.1 문자의 시각성
6.2 문자의 공간성
6.3 문자기호를 활용한 의미
7. 문자의 혼종 291
7.1 문자 혼종의 역사
7.2 한자 전용
7.3 한자 혼용: 한주 국종
7.4 한글 전용
7.5 한자의 새로운 기능
7.6 표의문자와 단어문자
7.7 단어문자와 상형문자
8. 문자의 미래: 새로운 문자 연구를 위하여 307
참고문헌 311
연규동 교수 논저 일람 316
저자소개
책속에서
언어학자들이 문자를 언어에 종속된 피동적인 존재로 이해한 것은 분명한 오류다. 문자도 얼마든지 언어에 적극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각종 약자나 부호 같은 것이 나날이 언어 못지않은 기능을 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요즘의 새로운 통신기기 역시 예상하지 못한 기묘한 문자 사용 양식을 쏟아내고 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문자의 사용을 그 사용자 집단의 ‘지혜’의 산물이라고 생각해왔다. 그래서 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집단은 미개하다고 생각했다. 과연 그럴까?
‘사랑해’를 ‘ㅅㄹㅎ’로 쓴다면 이는 한글을 자음문자적인 용법으로 사용한 것이다. 하지만 ‘ㅅㄹㅎ’를 소리 내어 읽어야 할 때 [사랑해]라고 읽는다면, 이 때 ㅅ, ㄹ, ㅎ는 각각 ‘사, 랑, 해’라는 음절을 표상하고 있으므로, 이 문자들은 자음-음절문자로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