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토요타 EV 전쟁

토요타 EV 전쟁

(세계 1위 토요타, 전기차 전략의 위기와 도전)

나카니시 다카키 (지은이), 정문주 (옮긴이)
시크릿하우스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800원 -10% 0원
1,100원
18,700원 >
19,8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980원
17,82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400원 -10% 770원 13,090원 >

책 이미지

토요타 EV 전쟁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토요타 EV 전쟁 (세계 1위 토요타, 전기차 전략의 위기와 도전)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92312989
· 쪽수 : 414쪽
· 출판일 : 2024-07-30

책 소개

세계 1위 완성차 기업이지만, ‘전기차 지각생’으로 우려 섞인 시선 또한 받고 있는 토요타가 소모전 양상을 띠고 있는 EV 패권 경쟁에서 어떻게 도전하고 승리할지 그 전략을 자세히 진단한다.

목차

프롤로그
이 책의 의도

1장. 토요타의 실책과 이면의 본질

CASE 혁명과 모빌리티의 미래
토요타의 새로운 철학
2021년 배터리 전기차 전략 설명회
bZ4X가 노출한 문제들
전기차 전용 플랫폼 e-TNGA 전략
전기차 지각생 토요타

2장. 탄소 중립을 둘러싼 새로운 육중고

CASE 2.0, 모빌리티 산업의 가속도
탄소 중립을 향한 거대한 움직임
포스트 코로나의 뉴노멀
공적 표준 전략 vs 사실상 표준 전략
토요타가 움직인다
탄소 중립 연료를 향한 집념

3장. 경쟁 상대들의 움직임과 전략

그레이트 리셋 중인 세계 전기차 시장
메리 바라 GM 회장의 야망
CEO 해임과 멈춰 선 폭스바겐
약진하는 현대자동차그룹
테슬라를 넘어선 중국 BYD

4장. 토요타의 멀티 패스웨이 전략

토요타가 세계적 기업으로 클 수 있었던 요인
탄소 중립이라는 산을 오르는 여러 방법
멀티 패스웨이의 함정
멀티 패스웨이를 지탱할 밸류 체인 전략

5장. 10년 주기로 도래하는 토요타의 위기

실패와 극복으로 점철된 역사
최대 난제로 부상한 품질 문제
토요타 뉴글로벌 아키텍처의 성과
자멸한 유럽 표준화 전략의 변화

6장. 2020년, 다시 찾아온 최대 위기

전기차, 디지털, 소프트웨어에 산적한 과제
토요타는 타이타닉처럼 침몰할까?
강한 조직이 함정이다
반복된 대형 사태들
미래 밸류 체인 전략에 대한 불안

7장. 테슬라의 야망

마스터플랜 3의 세계관
테슬라의 성공 요인
토요타 생산 방식을 뭉개 버린 테슬라
테슬라는 플랫폼 개념을 파괴한다

8장. SDV, 차세대 자동차의 혁명적 변화

완전히 달라진 새로운 데이터 전략
SDV가 만들어 낼 새로운 가치
SDV는 전기차 가치의 핵심이다
SDV가 만들어 낼 생활과 도시의 밸류 체인

9장. 토요타 새 체제의 전략

결단의 시간
신임 사장과 CTO가 그리는 전기차 전략
목표는 2030년까지 우상향 영업이익
사상 최대 작전

10장. 변혁을 위해 필요한 토요타의 도전

토요타를 덮칠 2026년 이후의 수익 절벽
Z 조직의 빛과 그림자
공격하는 법을 잊은 토요타
토요타에 필요한 발상

11장. 세계 자동차 산업의 판도와 새로운 과제

세계 전기차 시장의 현재와 미래
토요타의 전기차 전쟁, 그 끝은?
혼다가 2023년 CES 무대에 선 이유
닛산, 마쓰다, 스바루의 각자도생
2030~2035년의 청사진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저자소개

나카니시 다카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나카니시 자동차 산업 리서치의 대표 애널리스트. 자동차 산업과 모빌리티의 미래를 중심으로 한 산업 및 기업 조사, 컨설팅을 하고 있다. 1994년 이후 30년간 일관되게 자동차 산업 조사에 종사하며 쌓아온 전문 지식, 글로벌 네트워크, 독자적인 분석 데이터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자동자 업계 최고 애널리스트이다. 〈닛케이금융신문〉 ‘닛케이 베리타스 인기 애널리스트 랭킹’ 자동차·자동차 부품 부문, 미국 금융 잡지 〈인스티튜셔널 인베스터(Institutional Investor)〉 자동차 부문 모두 2004년부터 6년 연속 부동의 1위 자리를 지켰다. 현재 〈니혼게이자이신문〉 자동차 분야 칼럼니스트로도 활동 중이며, 〈베스트카〉, 〈닛케이 모빌리티〉, 〈주간 다이아몬드〉 등 다양한 매체에서 자동차 산업에 대한 칼럼을 기고했고, 기업 강연과 방송 활동도 활발히 하고 있다. 오리건대학교를 졸업한 뒤 야마이치증권, 메릴린치증권 등을 거쳐 JP모건증권 도쿄지점 주식 조사부장, 얼라이언스번스타인 재팬의 그로스 증권 조사부장을 역임했다. 셀사이드(증권사), 바이사이드(자산운용사) 모두에서 매니지먼트, 리서치 품질관리, 퍼블리싱 애널리스트 등 세 가지 분야에서 폭넓은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저서로 《2030 자동차 산업혁명 CASE》(국내 출간), 《자동차 뉴노멀》, 《CASE/MaaS의 새로운 승자》 등이 있다.
펼치기
정문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 학력 및 경력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일과 졸업 한일 정부, 지자체, 국제기구, 기업, 학술 관련 통번역 출판기획 및 출판 번역, 온ㆍ오프라인 강의, 저술 활동 * 저서 [다시 시작하는 일본어] 50패턴 일본어 회화 50패턴으로 여행하는 랜드마크 일본어 회화 등 * 역서 《물리학자의 대단한 일상》 《토요타 EV 전쟁》 《제국 일본의 프로파간다》 《시골 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관저의 100시간》 외 다수 * 강의 다락원, YBM 등 교육 플랫폼, 기업 등에서 다수의 강의 제공
펼치기

책속에서

디지털화의 물결은 자동차를 덮쳤다. 테슬라와 중국 차가 기세등등한 이유는 자율주행, 디지털 계기판, 멀티미디어, 엔터테인먼트 등을 내세운 이른바 스마트폰 같은 자동차, SDV(소프트웨어 정의 자동차)가 인기를 누리기 때문이다. 2023년 4월에 열린 상하이 국제 자동차산업 박람회(Shanghai International Automobile Industry Exhibition, 이하 상하이 모터쇼)에는 모처럼 전 세계 다수의 자동차 제조사가 참가했다. 일본 제조사에서도 여러 관계자가 참석해 몇몇 전략적 새 모델과 콘셉트 카를 전시했지만, 그리 주목받지는 못했다.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중국 입국이 어려웠던 4년 사이에 상하이 모터쇼가 상상을 초월하는 SDV의 세계로 진화해 있었기 때문이다. 현장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디지털화, 지능화 모델이 가득했다. 바야흐로 전기차라는 점만으로는 주목받을 수 없는 세상이 온 것이다. “기존의 우리식 가치 전달 방식으로는 못 버틸 수도 있어요.” 한 일본 자동차 제조사의 기술 기획 담당 임원이 중얼거렸다.
_<포스트 코로나의 뉴노멀> 중에서


IRA에는 자국 전기차 우대라는 의미도 있지만, 여기서 주목해야 할 더 중요한 점은 배터리 등 청정에너지 산업을 미국 내에서 확립하겠다는 것과 중국 조달을 배제해 경제 안보를 강화하겠다는 측면이다. 목표는 우려국, 특히 중국에 대한 배터리 및 광물 조달 의존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IRA는 북미에서 생산하는 자동차라 하더라도 배터리 부품과 배터리 광물의 현지 조달을 정해진 비율까지 올릴 것을 요구한다. 이에 따르면 ①2024년부터는 배터리 부품, ②2025년부터는 배터리 광물에 대해 우려국인 중국으로부터의 조달을 완전히 배제해야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 조건을 충족하기는 미국에서도 상당히 힘들다. 그중에서도 토요타는 이 요건을 충족시킬 만한 준비를 해 오지 않았기에 큰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_ <공적 표준 전략 vs 사실상 표준 전략> 중에서


최근 NEV 시장에서 BYD가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은 2장에서도 언급했지만, 지금까지 NEV가 공략하지 않았던 10만~25만 위안의 대중적 차량에 휘발유 차량보다도 싼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를 선행 도입한 데 있다. 이런 수를 쓸 수 있었던 것은 ① 전기차 전용 플랫폼 3.0, ② ‘DMi’로 불리는 독자적인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술, ③ ‘블레이드 배터리’가 모두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기 때문이다. 블레이드 배터리는 자회사인 핀드림스 배터리(FinDreams Battery)가 개발과 생산을 모두 맡는데, 양극재로 저렴한 인산철을 이용하는 리튬이온배터리(LFP)다. 블레이드 배터리는 셀을 모듈화하지 않고 배터리 셀 자체를 배터리 팩의 구조 부품으로 삼아 박형 블레이드(날) 모양의 셀을 촘촘하게 배터리 팩에 장착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터리 팩의 공간 이용률을 기존 대비 약 50% 높여 에너지 밀도를 높인다. 구조의 복잡성이 떨어지기에 고장률도 낮다.
_ <테슬라를 넘어선 중국 BYD>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312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