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토리텔링 범죄학 1 : 기초 및 이론

스토리텔링 범죄학 1 : 기초 및 이론

정진성 (지은이)
솔과학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5,000원 -0% 0원
0원
25,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스토리텔링 범죄학 1 : 기초 및 이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토리텔링 범죄학 1 : 기초 및 이론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91192404325
· 쪽수 : 516쪽
· 출판일 : 2023-02-03

책 소개

‘맥락적 인과성 파악’을 반영하여 이론과 방법론 두 축의 중요성을 잘 반영한 교재다. 역사적.사회적 맥락의 산물인 범죄학을 맥락 중심으로 풀어내고 있다. 맥락-이론-정책의 순환고리인 ‘범죄학 루프’ 개념과 조곤조곤 설명해주는 듯한 스토리텔링을 접목하여 범죄학의 핵심을 흥미롭게 전달한다.

목차

추천의 글 _4
책 소개 _8

제1부 범죄학의 기초

제1장 범죄학의 의의
제1절 범죄학의 정의 및 특성 _28
I. 사회현상으로서의 범죄, 그리고 범죄학 _28
II. 체계적인 탐구 _30
III. 연구를 통해 축적된 지식체계 _33
제2절 범죄학의 연구영역 _40
I. 범죄학의 확장성과 이 책에서의 기술범위 _40
II. 범죄 현상, 범죄 원인, 범죄 대책 _42
III. 소결 _47
제3절 범죄학의 연구방법 _50
I. 연구방법의 의의 _50
II. 이 책에서의 기술범위 _52
III. 과학적 연구의 추론 과정 _55
IV. 추론의 타당도 _59
V. 과학적 연구의 실제: 데이터 수집 과정을 중심으로 _63

제2장 범죄 현상: 범죄의 개념 및 실태
제1절 범죄의 개념 _86
I. 형식적 의미 vs. 실질적 의미 _87
II. 합의적, 갈등적, 상호작용주의적 시각 _90
III. 두 분류법 정리 _95
제2절 범죄 데이터 수집방법 _99
I. 경찰의 공식 데이터 _100
II. 설문조사 데이터 _102
III. 우리나라의 범죄 데이터 수집방법 _105
IV. 데이터 수집방법과 관련된 방법론적 이슈들 _107
제3절 범죄의 실태: 범죄 현황 및 추세 _111
I. 범죄 현황과 관련된 패턴 _113
II. 범죄 추세와 관련된 패턴 _120
III. 범죄의 패턴 정리 그리고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소고 _129
제4절 범죄의 예측 소개 _132

제3장 범죄학의 발달과정(역사)
제1절 범죄학 루프 _141
I. 범죄학 루프의 개념 _141
II. 범죄학 루프의 구성요소: 맥락과 이론을 중심으로 _144
제2절 범죄학의 3대 관점 _156
I. 고전주의 _159
II. 실증주의 _161
III. 비판주의 _174
제3절 현대범죄학 소개 _186

제2부 범죄학 이론

제4장 고전주의 범죄학과 합리적선택 관점
제1절 고전주의 범죄학 _193
I. 등장 배경 _193
II. 베카리아와 벤담 _195
III. 정책적 함의 _201
IV. 쇠락 및 부활 _201
제2절 합리적선택 관점 _206
I. 합리적선택 관점의 의의 _206
II. 억제이론 _208
III. 상황적 접근 소개 _224

제5장 특성이론과 생물사회학적 관점
제1절 특성이론 _238
I. 등장 배경 _238
II. 주요 이론 및 학자 _241
III. 요약 및 정책적 함의 _253
IV. 쇠락 및 부활 _255
제2절 생물사회학적 관점 _263
I. 쌍생아 연구와 입양아 연구: 유전의 영향 시사 _264
II. 행동유전학 _267
III. 분자유전학과 뇌신경과학 _269
IV. 유전자와 환경이 범죄에 이르는 과정 _275
V. 소결 _280

제6장 사회구조적 관점
제1절 사회생태학과 사회해체이론 _290
I. 시카고학파 _291
II. 사회생태학과 사회해체이론 _294
III. 정책적 함의 _300
IV. 쇠락 _301
V. 부활: 생태학적 관점 _302
제2절 긴장이론(아노미이론) _314
I. 뒤르켐 _315
II. 머튼의 긴장(아노미)이론 _323
III. 메스너와 로젠펠드의 제도적아노미이론 _330
IV. 소결 _335
제3절 문화적일탈이론 _336
I. 코헨의 일탈하위문화이론 _339
II. 클로워드와 올린의 차별기회이론 _341
III. 정책적 함의 _344
IV. 사회구조적 관점 정리 _349

제7장 사회과정적 관점
제1절 사회학습이론 _365
I. 서덜랜드의 차별접촉이론 _365
II. 에이커스의 차별강화이론과 사회학습이론 _370
III. 사이크스와 마짜의 중화(기술)이론 _376
IV. 정책적 함의 _381
제2절 사회통제이론 _381
I. 시카고학파의 통제이론들 _383
II. 허쉬의 사회유대이론과 자기통제이론 _389
III. 현대의 통제이론들 _395
IV. 정책적 함의 _399
제3절 일반긴장이론 _401
I. 개관 _401
II. 주요 내용 _402
III. 평가 _405
IV. 사회과정적 관점 정리 _406

제8장 비판주의
제1절 요점 정리 _417
I. 등장 배경 _417
II. 갈등적 시각: 패러다임의 대전환 _420
III. 실증주의에 대한 비판 _423
IV. 핵심 의제 _426
V. 이 장의 구성 _427
제2절 낙인이론 _428
I. 개관 _428
II. 주요 내용 _429
III. 정책적 함의 _433
IV. 평가 _435
제3절 갈등이론 _436
I. 개관 _436
II. 계급 갈등에 대한 이론: 마르크스주의 범죄학 _438
III. 성 갈등에 대한 이론: 여성주의(페미니즘) 범죄학 _446
제4절 현대의 비판주의 이론과 회복적 사법 _452
I. 개관 _452
II. 평화주의 범죄학 _454
III. 회복적 사법 _455
IV. 비판주의 정리 _459

제9장 현대범죄학과 통합이론/발달범죄학
제1절 현대범죄학 _470
I. 이론적 진화와 통합 = 설명력 강화 _470
II. 이념적 중립성 지향 = 범죄예방에 관심 _471
III. 새로운 연구영역의 확장 = 범죄학의 확장성 _472
제2절 통합이론 _473
I. 이론적 통합의 의의 _473
II. 이론적 통합에 대한 논쟁 _475
III. 통합이론들 _478
IV. 소결 _483
제3절 발달범죄학 _484
I. 발달범죄학의 의의 _484
II. 범죄경력 연구 _486
III. 발달이론들 _489
IV. 잠재적속성이론과의 대립 _498
V. 정책적 함의 _500
VI. 평가 _501
VII. 소결 _502

서평 _510
색인 _511

저자소개

정진성 (지은이)    정보 더보기
• 경찰대학 행정학과 졸업(행정학 학사) •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대학원 범죄학과 졸업(범죄학 석사) • 미국 미시간주립대 대학원 형사정책학과 졸업(형사정책학 박사) • 경찰대학 교수요원 • 경비지도사 시험출제위원 • 현재 순천향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한국경찰연구학회 이사 경찰청 과학수사 자문위원 ■ 저서 • 폴리스트랜드 2020(공저, 박영사, 2020) • 범죄학(공역, 그린, 2015) • 형사사법 연구방법론(공역, 그린, 2013) • 범죄예방론(공저, 경찰대학, 2009) ■ 논문 • 약한 자기통제력과 부정적 양육방식이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상호작용효과(형사정책연구, 2021) 외 다수
펼치기

책속에서

I. 범죄학의 확장성과 이 책에서의 기술범위
범죄학은 무엇을 탐구하는가? 또는 범죄학자들은 어떤 분야에 관심을 갖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대부분의 독자들은 범죄가 무엇이며 어떻게 발생 또는 분포하고 있는지(현상), 그 이유가 무엇인지(원인), 어떻게 대응하거나 예방할 것인지(대책)에 관심을 갖고 연구한다 생각할 것이다. 필자도 그러한 생각에 동의하는바, 범죄학 활동의 본질은 범죄 현상을 파악하고, 원인을 규명하며,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또한 이 책의 기술범위를 제시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스토리박스 <보충설명 Ш-4>
인류 역사의 발전과정 검토
범죄학의 역사적 발달과정을 학습하다 보면 중세, 근대, 현대,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이 역사를 구분하는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고 각 시대의 사회문화적 맥락도 간간이 소개된다. 이 책의 주요 전략 역시 범죄학의 발달과정을 추적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용어와 시대상이 필수적으로 논의되어야 하는바, 이미 앞서 맥락과 기본가정을 설명하면서 잠깐 소개되었다. 특히 범죄학은 근대 이후 등장한 학문으로서 두 핵심 축인 고전주의와 실증주의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근대의 특성(근대성)을 잘 알아야 한다. 그리고 세 번째 관점인 비판주의는 이들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관점으로서 비판주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1960-70년대의 극심한 혼란기를 거치며 본격적으로 등장한 ‘포스트모더니즘(탈근대성)’에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근대와 현대를 중심으로 인류 역사의 발전과정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자 한다. 그런데 이 책이 계속 강조하고 있는 맥락의 중요성에 빗대어 생각해보면, 근대와 현대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것의 맥락에 해당하는 전 역사 발전과정을 살펴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먼저 역사발전의 전 과정을 5단계로 나눠 간단히 살펴보고, 본격적으로 근대와 현대의 특성에 대해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II. 주요 이론 및 학자
이 책은 초기 실증주의의 특성이론을 크게 생물학적 설명과 심리학적 설명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현대의 생물사회학적 관점에서는 충동성, 분노조절장애, 공감능력력부족, 우울, 불안 등 정신이나 감정 상태가 유전자,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하여 생물학과 심리학의 일부가 서로 결합되어 논의되지만(예, 생물심리학, 인지심리학), 19세기 전체와 20세기 중반까지는 두 학문이 별개의 영역으로 존재했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이 시기의 생물학에서는 DNA를 분석하여 유전자를 해독한다거나 신경전달물질의 존재와 기능을 탐구하는 연구가 불가능했었다. 즉, 이 시기에는 생물학과 심리학을 연결할 수 있는 매개체에 대한 연구가 없었기 때문에 양자를 따로 살펴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참고로 가계(家系) 연구는 범죄성향을 생물학적 유전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생물학과 심리학의 결합으로 볼 수 있지만, 현대의 기준에서 보면, 문제성향이 특정 가족에게서 높은 확률로 발현되었다는 일부 사례로 유전을 단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그다지 과학적이지 않은 접근이었다. 가계 연구는 핵심이 범죄성향이기 때문에 심리학적 설명에서 간단히 소개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