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청소년 역사
· ISBN : 9791192444154
· 쪽수 : 212쪽
· 출판일 : 2022-08-19
책 소개
목차
머리말 / 한국사와 세계사를 한눈에 읽는 연표
제1장 조선, 나라의 기틀을 완성하다
조선을 세운 사람은 이성계일까, 정도전일까?
*한 걸음 더 / 정도전이 디자인한 도시 한양
*한 걸음 더 / 세계 최대의 역사 기록 《조선왕조실록》
태종은 왜 형제까지 죽여야 했을까?
*한 걸음 더 / 함흥차사는 정말 감감무소식이었을까?
백성들은 정말 신문고를 두드렸을까?
*그때 세계는 / 마녀로 몰려 화형당한 성녀 잔 다르크
*그때 세계는 / 유럽의 대항해보다 70년 앞선 정화의 대항해
세종은 어떻게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받는 왕이 되었을까?
*한 걸음 더 / 한글날은 왜 10월 9일일까?
세종은 그 많은 업적을 혼자 힘으로 이루었을까?
*한 걸음 더 / 자동으로 시간을 알려 주는 물시계 자격루
왜 오른쪽 문과 왼쪽 문이 삶과 죽음을 갈랐을까? – 계유정난
*한 걸음 더 / 녹두나물이 숙주나물이 된 사연
*그때 세계는 / 천년 제국 비잔티움의 멸망
어떻게 《경국대전》으로 나라의 질서가 잡혔을까?
제2장 사림, 조선의 중심으로 떠오르다
훈구와 사림은 왜 권력 다툼을 벌였을까? – 무오사화
*그때 세계는 / 유럽인의 욕심에 희생당한 아메리카 원주민
죽은 폐비 윤 씨가 어떻게 피바람을 몰고 왔을까? – 갑자사화
*한 걸음 더 / 왕실 호칭의 이모저모
*한 걸음 더 / 밤낮으로 놀이를 즐긴 연산군과 흥청망청
*그때 세계는 / 16세기 유럽 최대의 사건 종교 개혁
무엇이 조광조에게 비극적 최후를 가져왔을까? – 기묘사화
*한 걸음 더 / 과학으로 밝혀낸 거짓, 주초위왕 이야기
*한 걸음 더 / 갑자년, 을축년… 그해의 이름 짓기
‘대책 없는 난장판’이 과거 시험 때문에 생겨난 말이라고?
*한 걸음 더 / 출석 점수가 중요한 성균관
율곡 이이가 절에서 불교를 공부했다고?
*한 걸음 더 / 유교? 유학? 성리학?
*한 걸음 더 / 지방의 사립 학교 서원
임꺽정은 어쩌다 의적이 되었을까?
*그때 세계는 /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 절대 왕정의 등장
제3장 조선, 외적의 침입을 물리치다
조선의 200년 평화는 왜 깨졌을까? – 임진왜란
적에겐 경악을, 아군에겐 경의를, 백성에겐 희망을 안긴 장군은?
임진왜란의 진정한 영웅 의병의 자취는 어디?
*그때 세계는 / 근대적 정치 체제인 입헌 군주제의 등장 – 영국 혁명
광해군은 과연 명군일까, 폭군일까?
조선은 왜 삼전도에서 굴욕을 당해야 했을까?
*한 걸음 더 / 굴욕의 상징 삼전도비는 역사의 교훈으로 삼아야 할까, 없애야 할까?
*그때 세계는 / 베스트팔렌 조약 체결로 끝난 30년 전쟁
*그때 세계는 / 세상을 보는 새로운 방법 과학 혁명
조선 시대 여성은 어떤 삶을 살았을까?
맺음말 / 그림 목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대를 돌리며 본격적으로 시작된 새 나라 건국의 움직임은 신진 사대부 사이에서도 찬성과 반대가 엇갈렸고, 이는 조선 건국 직후에도 조선에 참여하기를 거부하는 사림 세력으로 이어져 조선의 역사 전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조선이 몇 차례의 치열한 권력 다툼을 거치면서 지배 체제를 완성해 가는 과정, 사림 세력이 참여하여 성리학 중심의 국가로 발전하면서 벌어지는 일들, 왜란과 호란이라는 두 차례의 큰 전쟁으로 나라의 근본이 뿌리부터 흔들리는 시기까지가 이 책 《재밌어서 밤새 읽는 한국사 이야기 3》에서 다루는 내용이다.
― 〈머리말〉에서
칠거지악은 왕실에도 엄격하게 적용되어 그로 인해 종종 예상치 못한 큰 사건이 일어났다. 무오사화에 이은 연산군 대의 두 번째 사화인 갑자사화가 그 예다. 갑자사화는 수많은 정치적 숙청 중에서도 대단히 처참하고 기이한 사건이며, 연산군의 폭정으로 조선의 중앙 정치는 개국 이래 가장 심각한 파탄에 직면한다. 조선은 과연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앞으로 이어지는 이야기에 귀 기울여 보면 조선 왕조가 500년이 넘도록 유지될 수 있었던 요인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 〈죽은 폐비 윤 씨가 어떻게 피바람을 몰고 왔을까-갑자사화〉에서